착한 밥상 이야기 - 거친 밥과 슴슴한 나물이 주는 행복
윤혜신 지음 / 동녘라이프(친구미디어) / 2009년 3월
평점 :
절판


"아침엔 우유 한잔 점심엔 FAST FOOD~!"
신해철은 ’도시인’의 고단한 삶을 노래하는 첫마디에서 
’밥상’ 앞에 앉을 새도 없는 도시인의 분주한 생활을 포착해냈다.
순전히 우연일지도 모르지만, 
’먹는 생활’을 첫 번째 은유 대상으로 삼은 그의 날카로운 시선을 칭찬해주고 싶다.

’우유 한 잔’은 턱없이 가난한 식사를, 
’FAST FOOD’는 쓰레기 음식(junk food)을 섭취하는  병든 삶을 은유한다.
우리는 ’밥상’에 둘러앉을 여유를 잃어버림으로써,
원초적인 즐거움, 즉 먹는 즐거움과 사귐의 즐거움으로부터 소외되고 있다.
"이게 다 먹고 살려고 하는 짓이다"라는 자조 섞인 푸념 뒤에는
제대로 먹고 살지 못하는 우리의 가난한 오늘에 대한 고백이 들어있는 것이다.
집(house)을 얻으려다 가정(home)을 잃어리는 형세이다.

여기 용기 있는 한 여인이 있다.
어릴 적 꿈은 시인이자 화가였지만, 커서는 ’독립적인 여성’이 되는 것이 꿈이었다는
궁중요리 전문가이면서도 건강요리 전문가인 윤혜신(요리가, 시인, 작가, 선생님)!
[착한 밥상이야기]는 먹지 못할 것을 먹으며 미친 속도로 돌아가는 도시를 벗어나,
텃밭에서 나물을 캐고, 꽃밭을 가꾸며, 직접 소박하지만 정갈한 음식을 차려내는
사람 좋은 시골 밥집 아줌마의 이야기이다.
[착한 밥상이야기]에는 이 독특한 시골 밥집 아줌마의 생(生) 철학이 곧 요리 철학이 된다.
건강 이야기, 살아가는 이야기, 음식 이야기, 사람 이야기, 
거기에 팁으로 요리법까지, 읽을 거리가 한 상 가득하다.

윤혜신 님의 건강한 밥상 이야기는 그대로 시가 되고,
맛있는 음식 이야기는 그대로 예술이 되고,
정다운 시골 식당 이야기는 그대로 영화가 되고,
그리운 사람들의 이야기는 그대로 향수가 된다.

윤혜신 님은 심하게 편식한다고 고백한다.
고기도 먹지 않고, 생선도 별로 좋아하지 않고, 
해물도 그다지 먹지 않고, 유제품도 즐기지 않는다.
게다가, 나의 식습관과 비교하면 엄청나게 특이 체질이다.
라면과 자장면을 먹으면 속이 울렁거리고 뱃속에서 전쟁이 나고,
도넛을 먹으면 혓바늘이 돋아 따끔거리고,
단 케이크나 튀긴 과자를 먹으면 속이 느글거려서 김칫국을 마신다.
탄산음료는 물론 오렌지 주스도 마시지 않는다.
그럼 도대체 뭘 먹고 산다는 말인가?
한마디로 말하면, 주식은 "그 밥에 그 나물"이다.
"시커먼 보리밥에 배춧잎을 넣은 슴슴한 된장국, 신 김치를 숭숭 썰어 넣은 비지찌개."

내 주변에 아이들의 아토피로 고생하는 엄마들이 꽤 많은데,
이렇게 "그 밥에 그 나물"로 식단을 바꾼 후, 아이의 증세가 호전되었다는 간증을 많이 한다.

[착한 밥상이야기]는 우리에게도 편식을 권한다.
먹고 싶어서 먹는 것은 아니지만, 농약으로 범벅이 된 수입 농수산물, 
성장호르몬과 항생제로 사육된 고기, 식품 첨가물이 듬뿍 들어간 가공식품, 
기름지고 단 음식들에 대한 먼 거리 유지와 투쟁이 필요하다.
착한 밥상은 바로 "편식하는 밥상"이다.

’윤혜신이 권하는 소박한 음식 이야기’에서 내가 제일 행복했던 음식은
바로 ’슬플 때 먹는 비빔밥’이다.
사춘기 시절 단짝의 심한 경멸의 말에 마음이 고통스러웠을 때도,
첫아이를 유산하고 다시 유산의 기미가 보여 절망스러웠을 때도, 
비빔밥을 먹었다고 한다.
큰 양푼에 찬밥과 김치를 넣고 슥슥 비며 큰 숟가락으로 밥을 밀어 넣었던
삼순이의 분노의 비빔밥이 그려진다.
마이클잭슨도 반했다고 하는 우리의 비빔밥, 나는 이 비빔밥에 가장 정이 많이 간다.

"밥을 짓고 살림하는 것이 나와 이웃을 살리는 아름다운 노동이자,
생명을 살리는 재미난 놀이"라고 말하는 [착한 밥상이야기]는
건강한 밥상이요, 사귐이 있는 밥상이요, 그리움의 밥상이다.
윤혜신 씨의 맛난 밥상을 대할 수 있는 가족과 이웃들이 이렇게 부러울 수가 없다.
어쩌다 한 번 들린 손님으로라도 부러 찾아가야겠다.

음식은 곧 ’권력’이다. 
언제나 좋은 것은 가진 자의 몫이다.
그러나 [착한 밥상이야기]를 읽으면서 
우리의 소박한 시골 밥상에 진정한 건강과 낭만과 사랑이 있다는 사실에
뿌듯했고, 또 감사했다.
물론, 지금은 그 ’시골 밥상’이 엄청나게 비싼 가격으로 차별화 되고, 권력화 되고 있어
부자이거나 아니면 시골에 사는 사람만 누릴 수 있는 호사여서,
나처럼 어중간하게 도시에 사는 사람은 예외지만 말이다.

(이 글의 부제를 "나의 못된 밥상을 엎어버릴까?"로 했다가 수정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