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몸 희망보고서 - 면역은 최고의 의사이며 치료제다
아보 도오루.히로 사치야 지음, 이윤정 옮김 / 부광 / 2009년 4월
평점 :
절판


멕시코에서 돼지 인플루엔자로 인한 사망자가 150명을 넘어섰고, 
미국에서는 하룻새 감염자가 배 이상 늘었다고 한다.
전 세계가 돼지 인플루엔자로 비상인 가운데, 
"먼저 약부터 챙기는 일본"이라는 헤드라인 기사가 눈에 들어온다.
일본인들은 약에 대한 의존도가 꽤 높은가보다라는 생각이 든다.
일본인 저자가 쓴 [내 몸 희망보고서]에서
약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현대 의료의 모순을 꼬집고 있기 때문이다.

[내 몸 희망보고서]는 약과 투병생활이 우리의 몸을 더 병들게 할 수 있다는 
아이러니하면서도 무서운 경고로 시작된다.
사실 나는 어렸을 때 <닥터스>라는 소설을 읽은 뒤로, 
병원에도 잘 가지 않고 약도 잘 먹지 않는 편이다.
실제 현대 의학이 고칠 수 있는 병이 많지 않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이다.

[내 몸 희망보고서]는 지금 유행하고 있는 병은 모두 생활 방식의 문제와 관련이 있다고 말한다.
과학과 의학이 계속 발전하는만큼 생활 환경도 개선되어가고 있다고 믿지만,
과연 생활 환경이 개선되어지는 것이 맞을까 하는 의구심이 생긴다.
과학과 의학이 발전하는 만큼 환경은 오염되어가고, 신종 질병과 증상이 생겨난다.
일례로, 국제화 시대의 급속하게 늘어나는 다문화 현상으로
풍토병이 이식되고, 후대에 새로운 질병이 생겨날 가능성도 높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내 몸 희망보고서]에서 주장하는 이론은 한마디로 "자율신경 긴장도를 조절하는 건강법"이다.
백혈구의 분포가 자율신경의 지배를 받아서 변동한다는 법칙인데,
자율신경에 최대한의 영향을 주는 것은 우리들 자신의 생활 방식인데,
무리한 생활 방식이 자율신경의 움직임을 한쪽으로 치우치게 한 결과로서 
병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한마디로, 대부분의 병은 자율신경계가 한쪽으로 치우친 탓에 일어난다고 한다.

장시간의 노동이나 마음속 깊은 고민은 자율신경 속의 교감신경을 긴장시킨다. 
교감신경은 본래 활력 있는 활동과 몸을 만드는 중요한 신경이지만, 
계속 긴장하고 있으면 맥박이 빨라지거나 혈압이 높아지거나 혈당이 상승하여,
불안, 불면, 고혈압, 협심증, 당뇨병, 치주염, 궤양성대장염, 암 등으로 이어진다.
또한 휴식의 자율신경이라고 불리는 부교감신경 쪽으로 치우치는 것도 위험하다. 
휴식, 수면, 소화기관 활동을 지탱하고 있는 부교감신경도 너무 지나치게 작용할 수 있다.
마음을 편안하게 하고 웃고 휴식하는 생활이 부교감신경을 약간 긴장되게 해 장수할 수 있다.

"자율신경 긴장도를 조절하는 건강법"은 한마디로,
너무 무리하지 않으면서, 또 너무 편하지 않은 생활을 해야 건강할 수 있다고 말한다.
너무 무리를 하지 않고 살아갈 수 있는 사회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해야
병이 줄어들고 건강하게 살 수 있다는 것이다.

[내 몸 희망보고서]는 [면역혁명]으로 유명한 '아보 도오루' 외에,
종교 사상가라고 하는 '히로 사치야' 공저이다.
히로 사치야는 불교 관점에서 병과 죽음에 접근하며 그것을 해석하고 있다.
나는 기독교인이기 때문에 병과 죽음에 관한 철학에 차이는 있지만,
마음의 힘과 마음과 병의 관계를 믿는다는 것에서는 상통한다.

[내 몸 희망보고서]는 내게 삶의 우선순위를 다시 생각해보게 해준다.
돈을 벌기 위해 건강을 해치고, 
다시 건강을 얻기 위해 그 돈을 전부 쓰는 모순의 굴레에서 벗어나 자유하고 싶다.
너무 무리하지 않으면서, 지나치게 편하지도 않은 
’적당한’ 기준을 세우는 것이 과제로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