헨리에타
마틴 클루거 지음, 장혜경 옮김 / 북스캔(대교북스캔) / 2009년 3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이야기의 배경을 알고 있어야 내용의 이해가 쉽다.
시대적 배경을 모르고 읽으면, 나처럼 읽어도 무슨 말인지 몰라 지루함을 느낄지도 모른다.
나는 읽어도 읽어도 도무지 내용 파악이 안 되는 지점이 많아, 
배경적 설명을 찾아보고 책을 다시 읽었다.

시대적 배경은 비스마르크 시대이다.
이야기가 전개되는 주요 무대는,
한 시대가 가고 새로운 시대가 오는 혼란과 흥분으로 가득하면서도,
19세기 새로운 의학적 발견의 중심지가 되었던 독일 베를린이다.
바로 그 독일의 베를린의 한 자선병원 산부인과에서 시작되는 이야기이다.

주인공 ’헨리에타.’
그녀는 공방을 운영하는 목수 아버지 파울과
자유를 꿈꾸는 집시 여인(실제 집시는 아님) 어머니 루이제의 딸이다.
그러나 헨리에타는 어머니의 목숨과 맞바꾸어 생명을 얻은 가혹한 운명을 안고 태어났다.
’엄마를 죽인 아이’라는 무지와 편견 속에 태어난 헨리에타의 인생은
그야말로 무지와 편견과의 끝없는 투쟁의 연속이다.

아버지 파울이 자선병원에서 일자리를 얻게 되어,
헨리에타는 자선병원 의사들의 귀여움을 독차지하면서 자라게 된다.
자선병원의 위대한 학자들 틈에서 ’아이’라는 특권을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새로운 의학적 지식을 접하며 성장하는 헨리에타는
자신이 ’엄마를 죽인 아이’가 아니라,
엄마를 죽인 진짜 범인은 바로 ’세균’이었음을 알게 되고,
의사가 되고자 하는 꿈을 키운다.
그러나 헨리에타의 꿈은 사회를 지배하는, 여성을 차별하고 속박하는
구시대의 이데올로기와 정면 충돌이 불가피한 도전이었다.

당시 여성에게 학문은 금기시 되었다.
건물과 다리와 역들은 끊임없이 세워지고 부서지고,
의학은 새로운 발견이 계속되는데, 사람들의 사고 수준은 그것을 따라가지 못했다.
단지 여자이기 때문에 ’안 된다’는 사회의 편견과 금기,
그러나 헨리에타는 포기하지 않고 의대 수업을 받기 위해 남장을 하는 대담한 도전을 한다.

[헨리에타]의 표지에 보면,
"아버지는 과거로 돌아가고 싶어 했고,
엄마는 이제야 행복을 찾았노라고 썼다.
하지만 나는 강을 건너 저편 물가에 도달하고 싶었다."라는 문구가 나온다.

사랑하는 아내를 잃은 뒤 알코올 중독자가 되어 삶으로부터 도피하는 아버지 파울.
그는 끊임없이 과거로 돌아가려고 하는 구시대의 대표적 인물이다.
구시대에 저항하며 새시대를 열어갈 딸을 낳다 사망한 헨리에타의 엄마 루이제는,
강 건너 저편을 바라보며 "이제야 행복을 찾았노라"라고 썼지만,
그녀의 딸 헨리에타는 직접 "강을 건너 저편 물가에 도달하고 싶어 했다."

[헨리에타]가 보여주는 삶과 시대 착오적인 무지와 편견을
’여성 차별’의 문제로만 국한시켜 생각하고 싶지는 않다.
풍족한 소유 속에 그저 오늘을 즐기는 것이 삶의 목표가 되고 있는 요즘 사회 분위기에서
내가 안타까운 것은 ’강 저편 물가에 도달하고 싶다’는 높은 이상을 향한 도전이나
옳은 것을 향한 열정적인 투쟁과 같은 고상한 삶의 철학이 사라지고 있는 것이다.
옳지 않은 것을 알면서도 저항하거나 맞서 싸우기보다
적당한 타협과 차선적인 선택으로 영악하게 살아가는 나의 오늘이 서글퍼진다.
비록 무모할지라도 도전하고 시도해보는 ’무한도전’식 어리석음을 보며 
혼자서 위대하다고 느끼며 감동하는 것도 그런 이유일 것이다.

새시대를 열어가는 학문적 진보의 주역으로서 스스로 깨어 있다고 자부했지만,
다른 한편으로 여전히 모순된 무지와 편견 속에 ’헨리에타’를 외면했던 동료들처럼,
스스로는 나름대로 깨어있는 정신이라고 자부하지만,
사실은 여전히 무지와 편견 속에 살아가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또한 엄습해오는
그런 문제의식으로 가득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