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바에 가면 쿠바가 된다 - 진동선의 포토에세이
진동선 지음 / 비온후 / 200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난 며칠 아무도 몰래 ’쿠바’에 다녀왔습니다.
쿠바에 가보셨나요?
저는 처음으로 가 본 쿠바였습니다.
제게는 ’쿠바’라는 발음조차도 낯선, 그렇게 전혀 새로운 세상이었습니다.
신천지, 처녀지라고 불러도 좋을 그런 세상이요.
며칠 밤마다 ’쿠바’, ’쿠바’ 부르며 몰두했더니, 
여행이 끝난 후에도 ’쿠바’라는 음절이 머릿속에서 뱅글뱅글 돌아다닙니다.

여행 후기를 남겨야 하는데 아, 내 안에 충만한 이 느낌을 어떻게 전달해야 할지 몰라, 
고민했습니다.
그리고 문.득. 이렇게 편지글을 써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행복한 꿈을 꾸었던 쿠바에서 편지를 쓰고 싶어졌습니다.
멋을 부린다고 뭐라 하시지는 않겠죠?
이해해주세요. 편지 쓰기 좋은 봄날이잖아요. 

[비온후]를 좋아하세요?
그 맑고 청명한 느낌, 기억나나요?
나를 쿠바로 데려다 준 고마운 출판사의 이름이 [비온후]입니다.
진동선의 포토에세이라고 되어 있는 [쿠바에 가면 쿠바가 된다]가 딱 그 느낌입니다.
비온후의 느낌이요.
나는 햇살이 쏟아지는 거리에 있었고,
하늘과 바다의 경계를 찾을 수 없는 부두에 있었고,
세월의 흔적을 간직한 사람들과 자전거를 타고 가는 형제와 울고 있는 아이를 만났고,
빗방울 보았고, 바람을 맞았고, 불빛을 보았고,
파스텔의 집과 코발트 블루, 노란색, 장미색 자동차를 보았는데,
이 모든 것들이 하나로 기억됩니다. 
푸른 새벽 차가운 바다의 색깔로 말입니다.

쿠바에 대한 푸른 새벽의 기억은 첫 장의 이야기가 너무 강렬했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쿠바에 대한 설레임으로 첫 발을 딛자마자 내가 맞닥뜨린 풍경은
푸른 새벽, 공중전화기에 대고 하염없이 울고 있는 한 중년 여인이었습니다.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일입니다.
저자는 그 푸른 필터를 통해 
새벽 강에 눈물짓던 엄마의 뒷모습을 들려주었습니다.
친정에서 쫓겨와 신작로에서 흐느껴 울던 누나의 눈물을 들려주었습니다.

쿠바가 차가운 바다의 색으로 기억되는 것은 
블랙과 붉은 기운의 체 게바라보다, 
바다색을 닮은 헤밍웨이의 파란 이불 때문인 것 같습니다.
헤밍웨이의 삶의 흔적 가운데 내가 오래도록 자리를 떠나지 못했던 곳은
서재도, 그 유명하다는 요트도, ’노인과 바다’를 연상시키는 바닷가도 아니었습니다.
그곳은 붉은 벽돌로 묘를 쓴 4개의 무덤 앞이었습니다.
헤밍웨이가 생전에 키웠다는 애완용 고양이들의 묘지.
나는 잠깐 울었던 것 같습니다.

내 기억에 쿠바에서 만난 사람들은 어른이든 아이이든, 남자이든 여자이든 
거의 소매 없는 티를 입거나, 웃통을 벗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내게는 그 모습이 우리의 여름처럼 습하고 끈끈한 느낌이 아니라,
시원하고 차가운 맥주를 막 따라낸 생맥주 잔 같기도 하고,
비 개인 오후의 서늘함 같기도 한 그런 차가움으로 남습니다.

어차피 다 말할 수 없고, 고스란히 전달될 수 없다는 것을 알지만,
갑자기 내가 전하고 싶은 이야기가, 내가 전하고 싶은 느낌이,
제대로 전달되고 있는지 두려운 마음이 드네요.

사각 프레임에 담긴 진실은,
보여주고 싶은 것만 담아낼 수 있다는 위험한 진실이기도 합니다.
그렇게 포착된 순간은 때로 작가의 연출이기도 합니다.
보여주고 싶은 것만, 아름다운 것만 보았기 때문에 
내가 알게 된 쿠바는 실제 쿠바와 많이 다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나는 작가가 이끄는 대로,
자유로운 그들의 사랑과, 
꿈을 꾸는 쿠바 사람들과 낡은 시간의 삶과, 
세엔푸에코스의 비와 눈물로 쿠바를 기억하고 싶어집니다.
쿠바를 바라보는 작가의 시선이 좋습니다.
그가 말하는 쿠바가 되고 싶습니다.

다음엔 쿠바에 함께 갈 친구가 생겼으면 좋겠습니다.
그 거리에서 ’브이’(V)를 함께 그리며 밝게 웃는 나를 담은, 그리고 우리를 담은 
사진 한 장 가져보고 싶습니다.

소박한 삶을 사랑하고,
자유로운 영혼을 가진 당신이라면,
(내가 좋았던 동물원의 노래를 담아)
이 예쁜 책을 선물 해드리고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