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효석문학상 수상작품집 2023 - 애도의 방식
안보윤 외 지음 / 북다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손쉽게 구분되는 것 같지만 기준점이 조금만 바뀌어도 완전히 달라지게 되는 것들에 대하여"(너머의 세계, 안보윤, 48-49).

오랫만에 한국 단편 소설을 읽었고, 오랫만에 이효석 문학상 수상작품집을 읽었습니다. 오랫만에 소설을 읽으며 처음 들었던 생각은 소설은 참 정직하다는 '느낌'이었습니다. 소란하고 요란한 세상에서 모두가 목청을 높이면서도 어쩌면 모두가 아무렇지 않은 듯 살아가고 있지만, 소설은 우리가 사는 세상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것을 드러내고, 그 안에서 우리의 모습이 얼마나 일그러져 있는가를 (말없이) 보여주는 느낌입니다.

가장 인상적이었던 작품은 안보윤의 <너머의 세계>였습니다. 마치 요즘 우리 사회를 떠들썩하게 하는 학교와 교사와 학부모 사이의 사회적 이슈들을 예견한 듯한 이야기입니다. '연수'는 하루 두 차례 열두 곳의 무인점포를 청소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청소 일로 받는 돈은 터무니없이 적었지만, 누구와도 부딪지 않고 아무 생각도 하지 않아도 되는 이 일에 '연수'는 만족했고, 별다른 불만이 없습니다. 너무 많은 사람들에게 조언과 충고를, 그보다 더 많은 사람들에게 비난과 조롱을 받으며 마음이 으깨진 탓일지도 모릅니다. 사실 '연수'가 감당할 수 없어 도망쳤던 일은 학교에서 중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사'의 일이었습니다. '연수'가 일단 휴직계를 내고 도망치듯 학교를 떠난 것을 두고, 사람들은 오해로 생긴 '약간의 트러블' 때문이라고 말했지만, 그 '오해'에는 지저분한 진실들이 얽혀 있었습니다. '한모'는 소문이 좋지 않고, 미숙하고 제멋대인 학생이었고, 그래서 이런 저런 일로 '한모'의 부모가 학교에 오는 일은 흔했습니다. '연수'는 한모 어머니에게 해야 할 이야기가 있었습니다.

- 한모가 사람과 거리 조절을 못 하는 게 아무래도 신경 쓰여서요. 한모는 스스럼없고 매사 적극적인 성격이잖아요? 그러다 보니 저기, 상대에게 너무 바짝 붙어 얘길 하거나 얼굴이나 신체를, 들이밀거나 해서 상대방이 불쾌해할 때가 있더라고요. 남학생들은 시비 건다고 느낄 수도 있고…… 실제로 한모가 남학생들과 불화가 좀 있는 편이잖아요.

- 그런 행돌은 그러니까, 여학생들이나 여선생에게는 저기…… 너무 달라붙거나 몸을 흔들거나 하면 상대가 성적 불쾌감을 느낄 수도 있거든요. 그러니까 제 말은요, 어머님.

- 우리 애가 성추행이라도 한다는 거예요?(53-54)

'한모' 어머니는 자리에서 벌떡 일어났고, '연수'는 '한모' 어머니가 머리채를 잡고 휘두르는 대로 이리저리 허정댔습니다. '연수'는 산발을 한 채 쓰러져 '한모' 어머니가 쏟아내는 폭언과 욕설을 한참이나 들어야 했고, '한모' 어머니는 보름 동안 매일같이 학교에 찾아와, 아들이 억울한 누명을 썼다고, 파렴치한 선생이 자신의 아들을 성범죄자로 몰고 있다고 아무 곳에서나 울고 소리쳤습니다.'한모' 어머니는 '한모'가 저질러왔던 모든 문제들이 '연수'에게서 비롯됐다는 듯이 오로지 '연수'만을 표적으로 삼았고, 사람들은 그저 학교가 조용해지기만을 바랐으므로 '연수'는 학교로 돌아갈 수 없었습니다.

<너머의 세계>를 읽으며 과연 우리 사회에 객관적인 진실이라는 것이 존재할 수 있을까 의문이 들었습니다. '한모'의 문제행동을 그냥 둘 수 없었던 교사 '연수'도, 아들을 성범죄자로 몰고 있다고 악을 쓰는 '한모 어머니'의 심정도 조금은 이해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누군가에게 비난의 돌을 집어 던지기 전에, "손쉽게 구분되는 것 같지만 기준점이 조금만 바뀌어도 완전히 달라지게 되는 것들에 대하여" 우리의 한계를 인정하는 겸손이 필요해 보입니다.

안보윤 작가는 이렇게 경고합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는 하나의 문제가 발생하면 또 다른 문제와 교묘하게 얽히고, 많은 경우 같은 문제가 더 진화한 형태로 반복되고 있어요"(89). 내가 "원하는" 진실 안에 갇혀버리면, 정의의 이름으로 으깨진 삶을 다시 한 번 더 으깨버릴 수 있다는 것이 우리가 사는 세상의 무서움 같습니다. 모든 게 다 괴롭고 피로해 견딜 수가 없는 '연수'와 같이 이 모든 것이 피로하기 그지 없지만, 그럼에도 우리가 소설을 읽어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나를 죽게 한 건 병이 아니고 사람이었다는 걸. 그러니 나를 살게 할 수 있는 것도 약이 아니고 사람이라는 걸"(세월은 우리에게 어울려, 김병운, 154) 기억하며, 누군가에게 하루라도 더 살고 싶게 하는 사람이기를 소망하며 오늘을 살아내기 위해서 말이지요.

<이효석 문학상 수상작품집 2023>은 SNS 등에 가려진 우리의 자화상을 보여줍니다. 보이지 않지만 보이는 것보다 더 강력한 실체이고, 사실에 가려져 외면받고 있는 우리 삶의 진실이 여기 있습니다. 만족한 웃음을 짓고 있지만 사실은 채워지지 않은 허기를 인정하지 않으려 발버둥치는, 그래서 더 비참하고 불안하고 어리석게 살고 있는 우리들의 진짜 모습을 여기서 볼 수 있었습니다. 이런 이야기를 재밌게 들려주는 작가들에게 박수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