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혜영의 식탁 - 가족을 위해 짓고, 만들고, 담아 내는 정혜영의 따뜻한 식탁 이야기
정혜영 지음 / 이덴슬리벨 / 2019년 10월
평점 :
부지런한 살림꾼, 정혜영의 식탁!
한 마을에 아주 큰 부자가 살았습니다. 그런데 사람들은 그 가족들을 보면, "가장 비싼 요리를 가장 맛 없게 먹는 사람들"이라고 수근거렸습니다. 가족 안에 다툼과 불화가 끊이지 않으니 세상의 온갖 진미가 가득한 식탁 앞에 앉아도 맛이 없다는 것입니다. 우리의 허기를 채우는 가장 좋은 요리는 귀한 재료로 만든 비싼 요리가 아니라, 맛있게 먹어주길 바라며 사랑과 정성을 가득 담은 요리가 아닐까 합니다. <정혜영의 식탁>에서 만난 요리처럼 말입니다.
<정혜영의 식탁>은 배우 정혜영 씨가 '우리집 요리사'로 살아온 날들의 기록이라고 합니다. 사계절 별로, 상큼한 봄 식탁, 시원한 여름 식탁, 풍성한 가을 식탁, 따뜻한 겨울 식탁을 담았습니다. "정성 들여 밥을 해 주는 것이 가족에게 사랑을 표현하는 방법 중 하나"라는 <정혜영의 식탁>은 가족을 위한 마음으로 가득했습니다. 다양한 메뉴에도 놀랐지만, 보기만 해도 요리 솜씨가 수준급이라는 것이 절로 느껴져 더욱 놀랐습니다. 가족들을 위해 식탁을 차려내는 것을 정말 즐기는 분이라는 걸 알겠더라고요. 정혜영 씨의 고백처럼 그 순간들을 깊이 사랑하고 감사하지 못하면 절대 그런 비주얼이 나오지 못할 것 같습니다. 감탄스러울 정도로 요리들이 예뻐서, 먹어보지 않아도 알 것 같았습니다. 그 안에 행복이 가득하다는 것을 말입니다.
가족을 생각하는 마음이 깊어서일까요, <정혜영의 식탁>을 보고 있으니 투박하지만 따뜻했던 엄마의 요리들이 생각납니다. 한참 철이 없을 때에는 4남매를 키우며 시집살이를 하는 엄마에게 밥투정을 하기도 했는데, 생각해보면 엄마는 항상 옥수수빵, 호떡, 마요네즈, 토마토 주스 같은 것을 직접 만들어 먹여주셨습니다. 가정식이라고 하기에는 격이 다르게 보이는 <정혜영의 식탁>을 보며 이런 아날로그적 감성에 젖는 것은, 아마도 음식 하나하나에 엄마의 마음이 가득하기 때문일 것입니다.
<정혜영의 식탁>에는 재료와 레시피, 그리고 요리에 대한 짧은 이야기가 실려 있습니다. 가족의 취향과 재료의 성격을 정확하게 알고 있는 것만 보아도 이분의 요리는 연출된 것이 아니라, "찐"이다 싶습니다. 누군가는 여유가 있으니 이런 요리도 할 수 있는 거라 쉽게 말할 수도 있겠지만, 여유가 있다고 모두 이처럼 사는 것은 아니니, 새삼 정혜영 씨가 참 예쁜 사람이다 싶습니다. 예쁜 사람이 예쁘게 사는 모습을 보니, 좋은 기운이 마구 채워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