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해하고 있는 것 같아서 말해 주는 건데, 나 역시 야시마가 범인일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생각해, 고바야시 주임이말한 동기도 충분히 설득력이 있고 말이야. 하지만 그걸 증명했다고 해서 사건의 전모를 밝혔다고 할 수 있을까? 나는아니라고 생각해. 아오야기 씨가 왜 이 거리를 드나들었는지를 알아내지 못하면 그 가족으로서는 사건이 종결됐다고 볼수 없어."
p.15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데이터 처리 과정은 과거를 코드화할 뿐, 미래를 창조하지 않는다.
미래를 창조하려면 도덕적 상상력이 필요하다. 그런 능력은 오직 인 간만이 가지고 있다.
p.33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학적의 관점에서 볼 때, 신뢰는 정량화하기 어렵다. 이를 측정하 는 것은 모형 개발자들에게 쉽지 않은 도전이다.
p.179

기계 문지기들의 불평등한 평가는 취업 시장을 넘어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다. 기계를 설득하는 능력은 우리의 생계 활동에 갈수록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p.197

인간에게서 지원자들을 차별하는 법을 배운 컴퓨터는 인간들보다 한 술 더 떠서 기가 막힐 만큼 효율적으로 차별적인 심사를 했다.
p.19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기 닷컴 시절에는인터넷이 정말로 익명성이 보장되는 공간이었지만 오늘날에는 정확히 반대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사람들은 자신이 인터넷 세상에서 드러낸 선호도와 패턴을 토대로 수많은 모형에서 나뉘고 분류되며 점수가 매겨진다. 이런 정보는 합법적인 광고 캠페인의 튼튼한 토대가 되는 것은 물론이고 약탈적인 광고들의 연료가 된다.
p.126

수학 모형은 여러 가지 면에서 신을 닮았다. 신처럼 불투명해서 이해하기 힘들다. 각 영역의 최고 사제들, 즉 수학자와 컴퓨터 과학자들을 제외하고는 그 누구에게도 내부의 작동 방식을 보여주지 않는다.
그리고 신의 평결처럼, 잘못되거나 유해한 결정을 내릴지라도 반박하거나 수정해달라고 요구할 수 없다. 무엇보다 사회적 약자와 가난한사람들을 차별하고 부자는 더욱더 부자로 만들어주는 경향이 있다.
나는 이런 유해한 모형들의 적절한 이름을 생각해보았다. 바로 ‘대량살상수학무기 weapons of Math Destruction’, 줄여서 WMD다.
p.1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WMD 모형으로 혜택을 얻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이 아니다. 일부 예외를 제외하면 고통 받는 사람이 너무 많다는 것이 문제다. 알고리즘에 의해 작동되는 모형은 수백만 명의 면전에서 기회의 문을 닫아버리고 이의를 제기할 가능성조차 허용하지 않는다. 더욱이 가끔은 지극히 하찮은 이유로 그렇게 한다. 그러니WMD 모형이 불공정하다고 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p.6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