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생을 바꾸는 게임의 법칙 - 못말리는 하버드 박사 박찬희.한순구 교수의 또라이 게임이론
한순구 외 지음 / K-Books(경문사,케이북스) / 2005년 10월
평점 :
품절
게임이론(game theory)를 처음 접하게 된 것은 내 기억으로는 마틴 가드너가 쓴 어떤 책에서 '죄수의 딜레마'라는 것을 보고서일 것이다... 사실 죄수의 딜레마를 왜 딜레마라고 하는지는 아직도 잘 모르겠지만...
얼마전 교보문고에 갔다... 여느때나 마찬가지로 인터넷 서점에서 사면 훨씬 더 싼 줄 뻔히 아는 책들을 구태여 시간을 내어서 큰 서점에 가고 더 비싸게 책을 사면서도 '이런 맛에 책을 사는 거지'하며 자위하면서 책 몇권 사들고 나오는데 입구 근처의 경제학 코너에서 새로 나온 책이라고 이벤트를 하고 있었는데 그것이 바로 이 책이다... 표지도 산뜻한 노란색... 게다가 이벤트 당첨되면 문화상품권 준다고 하지...(며칠전에 전화와서 1만원권 문화상품권을 받았다... 아싸~) 게다가 예전부터 흥미 있었던 게임이론이니... 기대하는 마음으로 들고 나왔다...
책은 이틀만에 읽어 치웠다... 정독을 한 것도 아니다... 그냥 어제 오늘 차를 타고 다닐 일이 좀 있어서 왔다갔다 하면서 다 읽었다는 것이다... '어? 게임이론이 이렇게 쉬운 이론이었나?'라고 생각하지는 마시길... 이론이 쉬운 것이 아니라 책이 워낙에 쉽게 씌여져 있다...
만약에 게임이론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으면 이 책을 살 필요가 전혀 없다... 이 책은 그저 게임이론에 대한 지은이의 에세이일 뿐이다... 이 책은 게임이론 자체에 대해서는 독자들에게 그다지 알려주는 바가 없다... 어떤 사람들은 이런 책을 읽고 나면 '일반 독자들을 위해 게임이론에 대해 알기 쉽게 설명한 책'이라며 극찬을 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웃기지 말라고 하고 싶다... 이 책이 나쁜 책이라는 건 아니다... 단, 이책은 게임이론에 대한 에세이집이지 독자에게 '게임이론이란 이런것이다'라는 점은 거의 알려주지 않고 있다는 거다... 나쁘게 말하면 수박겉핥기 식으로 지나가고 있다는 것이다...
전체적인 내용은 몇가지 구체적인 게임이론을 알려 주지도 않은 상태에서 게임 이론이 응용될 수 있는 역사적 사건들(주로 중국, 일본, 유럽의 고사 및 전쟁사)을 제시한다... 대단한 고사들이 있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뭔가 정교하게 게임이론을 적용시키는 것도 아니다... 특히나 두 분의 저자들 중 한 분은 분명히 이 책을 읽기 전에 '대망'을 읽고 감동을 받지 않았나 생각이 들 정도로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이야기가 많이 나온다...
내가 가장 불만인 건... 서울대를 나오고 하버드를 나왔다는 두 분의 교수님이 썼다는 책 치고는 내용에 그다지 깊이가 없어 보인다... 특히나 이 책은 굉장히 빨리 일필휘지로 써내려갔다는 생각이 계속 든다... 워낙에 배운 것이 많으신 분들이니 빨리 써내려가도 나같이 많이 배우지 않은 사람은 열심히 읽어야겠지만... 끝까지 읽고서는 좀 씁쓸한 마음 금할 수 없다... 특히나 이런 생각이 드는 이유는 뒤로 갈수록 책의 내용이 성의가 없어지고 허접해 지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는 것이다...
특히 6장 교과서에는 없는 실전의 포인트들은 좀 어처구니가 없다... 게임이론에 관한 책에서 게임이론과는 별로 상관없어 보이는 내용들로 책의 맨 마지막을 장식하고는 그것이 교과서에 없는 포인트라고 우겨대고 말도 안되는 고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우화를 지어내고는 '단군은 조폭이네~' '고조선은 나와바리네~' 하고 써놓고는 '너무 지나친 억측일까?' '지나친 비약일까?'라고 반문을 하고 있다... 당연히 지나친 억측이고 비약이다... 자극적으로 책을 쓰려고 한 티가 너무 난다...
이 책의 덕목은 명확하다... 게임이론에 대해 깊이있는 이해 없이 알아 보고 싶은 사람에게는 추천할 만하다... 하지만 이책을 읽고 (하긴 무슨 책을 읽어도 마찬가지이지만...) 제목처럼 인생을 바꿀 것이라는 기대는 싹 버려라... 그저 게임이론의 몇개의 용어라든지 뷰티풀 마인드에 나왔던 존 내쉬 교수가 도대체 뭘로 노벨상을 탔는지... 알고 싶은 사람이 읽으면 좋을 책이다...
거듭 말하지만 이렇게 비판을 많이 했다고 해서 나쁜 책이라고 할 생각은 없다... (나는 나쁘면 나쁘다고 노골적으로 얘기한다...) 기대에 못미친다고 하는 것이 더 맞을 것이다...
참고로 처음 읽을 때는 별4개반이었고 읽다가 4개로 떨어졌고 6장에서 3개반으로 떨어졌고 곱씹으며 글을 쓰다가 3개로 떨어졌다...
- 바람을 가르며 하늘을 주유하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