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언어의 온도 (100만부 돌파 기념 양장 특별판) - 말과 글에는 나름의 따뜻함과 차가움이 있다
이기주 지음 / 말글터 / 2016년 8월
평점 :
품절

잘 읽지 않는 종류의 책
다양한 분야에 대해서 쓸데없는 관심이 많아서 책을 좀 잡다하게 읽는 편이다. 한 권의 책은 다른 몇 권의 책을 낳고, 또 그 책들은 다른 책을 소개하고.. 그러다 보니 읽지 못하면서도 언젠가는 읽을 거라는 생각으로 사서 쌓아 두기도 한다. 사 놓은지도 모르고 기억에서 사라졌던 책들을 책장 구석에서 꺼내 읽고 나서는 너무 늦게 읽은 걸 아쉬워 할 때도 있다. 나는 책에 관해서는 잡식성이다.
좋다고 하는 책은 어지간하면 읽어 보려고 하는 욕심을 가지고 있지만 잘 손에 잡지 않는 책이 있다. 첫번째로 자기계발서는 절대로 읽지 않는다. 이전에 읽었던 몇 권 되지 않는 자기계발서는 성공하는 방법을 아는 (척 하는) 사람들이 너무나도 한정된 경험과 그 경험을 증명하려는 의도를 가진 왜곡된 데이터를 통해서 자신의 주장을 합리화하고 강요했다. 두번째로 에세이도 잘 읽지 않는다. 감성적인 글이 그다지 마음에 와닿지 않기 때문인 것 같기도 하고, 책을 통해서 지식과 정보를 얻는 것을 중요시 하기 때문일 것 같기도 하다. 꼭 정보가 없더라도 소설은 꽤 많이 읽는 편이고, 시집도 간혹 읽는 것을 보면 감성적인 글을 싫어 하는 것 같지는 않은데.. 이상하게 에세이는 읽지 않게 된다.
그러니까 내가 <언어의 온도>를 읽은 건 내 독서 스타일에서는 꽤 벗어난 의도하지 않은 접촉사고와 비슷하다.

저자 이기주. 개인 프로필을 찾기가 힘들다. 검색하면서 몇 가지 알게 된 것은 있지만 그의 정치적 성향은 이 포스팅에서는 따지지 않기로 했다.
섬세한 필치로 일상을 더듬어 나간다
<언어의 온도>는 글쓴이가 일상을 훑어서 감성을 담아낸 글을 모아 놓은 것이다. 보통 사람들은 소소한 일상들을 그냥 지나치게 마련이다. 그 속에서 의미를 찾기에는 삶이 너무 바쁘다. 하지만 글을 쓰는 사람에게는 소소한 일상이라는 것은 훌륭한 글의 소재가 되는가 보다. 때로는 옆자리에서 하는 얘기를 엿듣기도 하고, 지나가는 사람을 구경하기도 하고, 친구한테 문자가 오기도 하고, 어머니를 모시고 병원에 가기도 하는 아무 것도 아닌 일상을 뽑아내서 그 속에 감성을 불어 넣고 그것을 글로 표현한다. 평범한 일상과 섬세한 감성, 각기 두 단어로 이루어진 두 개의 말로 이 책을 설명할 수 있을 것 같다.

<언어의 온도>의 첫 번째 대목은 '말'에 관한 내용이다.
편안하게 읽을 수는 있는 유려한 문장
어렵지 않게 읽을 수 있고, 문장이 굉장히 좋다. 감성적이고 따뜻함이 느껴진다. 글쓰기에 대해서 여성과 남성을 가를 수 있다면, 강인한 느낌보다는 섬세한 여성의 필치가 느껴진다. 글쓴이를 잘 알지 못하지만 글대로라면 굉장히 따뜻하고 섬세한 사람일 것이라는 느낌이 든다. 이런 글을 쓰려면 일상적인 생활을 하는 가운데서도 항상 주변을 잘 살피고 아무 것도 아닌 것을 보고도 깊이 생각해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섬세하게 살피는 것도, 그것을 써내려가는 것도 보통 사람은 하기 힘든 일이다. 책 전체를 통틀어서 대단한 철학이라든지 굉장한 지식이 들어있지 않기 때문에 편안하게 끝까지 읽을 수 있다. 그리고 그게 이 책의 장점이기도 하지만 다시 읽고 싶지 않은 이유이기도 하다.

두 번째는 '글'에 대한 대목이다.
역시 나에게는 맞지 않는다
이제 내가 왜 에세이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지를 얘기해 봐야겠다. 에세이는 도대체 읽어도 내가 뭘 얻을 수 있는지를 모르겠다. 좋은 소설은 치밀한 주제의식으로 삶에 대해 생각할 기회를 준다. 좋은 시는 한껏 벼리어 놓은 글을 읽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 지식에 관한 글이야 읽는 목표가 뚜렷한 것이 읽는 이유이다. 그렇다면 이 책은 어떨까?
감성은 과잉되어서 일상적인 감정같지가 않다. 일상이라고 하지만 전혀 일상적이지 않은 것같은 에피소드가 중간중간 들어가 있다. 일상을 통해서 얻은 통찰을 써 놓지만 통찰이 있어 보일 뿐이지 깊이가 있어 보이지는 않는다. 지금까지 읽어 본 에세이들은 대부분 진심을 담은 것 같아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나에게는 <언어의 온도> 역시 다른 에세이들을 뛰어넘을 정도로 다른 느낌을 주지는 못했다.

세 번째는 '행동'에 대한 대목이다.
왜 베스트셀러일까?
이 책을 읽은 건 워낙 오랫동안 베스트셀러 맨 앞자리에 있었기 때문이다. 어째서 그토록 오랫동안 베스트셀러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지 궁금했다. 하지만 책을 읽어보고 나서도 책 속에서 딱히 베스트셀러가 될 이유를 찾지는 못했다. 그렇다면 책의 외적인 면에서 그 이유를 찾아봐야 할 것 같다.
1. 제목이 정말 좋다. 내용과는 상관없이 제목 하나만큼은 굉장히 잘 지은 것 같고, 머릿글에서 밝혀 놓은 뜻도 굉장히 좋아 보인다. 크게 고민하지 않고 고를 수 있어 보인다.
2. 책이 작다. 이 책은 내가 가지고 있는 책 중에서 가장 크기가 작은 책이다. 한 손에 쏙 들어 온다. 남자들이라면 코트 주머니에 넣고 다니기 좋고, 여자들이라면 핸드백 속에 넣고 다니다가 읽기에 좋다.
3. 표지가 눈에 확 띈다. 가지고 있는 책들을 살펴 보니 보라색 책이 거의 없다. 그것도 이 책처럼 선명한 보라색 책은 더더군다나 없다. 가지고 다니면 좀 있어 보일 것 같다.
4. 책을 읽으면서 감정의 동요를 크게 느낄 일이 없고, 집중해서 읽어야 할 부담도 없다. 차례대로 읽을 필요도 없이 중간을 펼쳐서 아무 곳이나 눈에 띄는대로 읽어도 된다. 책을 읽는데 대한 부담이 전혀 없다는 것이다.
공감이 가는 부분은 있을 수 있지만 새로운 내용은 그다지 많지 않다. 인터넷과 SNS에 떠도는 많은 감성적인 글보다 크게 훌륭해 보이지 않는다. 물론 그런 글들을 한 사람이 책 한 권의 분량으로 써내려가는 것도 멋진 일이다. 하지만 딱히 일부러 찾아 읽을 것까지는 없어 보인다.
책을 많이 읽지 않는 사람이라면 들고 다니면서 부담없이 읽을 수 있으니 추천할 만하다. 이 책을 읽은 후에 독서에 관심을 가질 수 있다면 그것도 나쁘지는 않을 것 같다. 평소 책을 많이 읽는 사람이라면 거르고 지나가도 괜찮을 것 같다. 궁금하면 서점에서 몇 장 들춰 보는 것만으로도 충분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