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모차르트, 그 삶과 음악 ㅣ 우리가 사랑하는 음악가 시리즈 1
제러미 시프먼 지음, 임선근 옮김 / 포노(PHONO) / 2010년 1월
평점 :
너무 흔해서 오히려 잘 모르는 모차르트
클래식을 처음 들으려고 한다고 생각해 보자. 참 많은 작곡가들이 있고, 많은 음악이 있고, 많은 연주가 있다. 그 중에서 어떤 사람의 음악을 처음 들을 확률이 가장 높을까? 아마도 모차르트 아니면 베토벤이 될 가능성이 가장 높을 것 같다. 그만큼 모차르트는 베토벤과 더불이 세계에서 가장 많은 사랑을 받는 클래식 작곡자이다. 모차르트가 사랑을 받는 가장 큰 이유는 음악이 훌륭하기 때문이다. 더불어 3살에 클라비어를 연주, 5살에 교향곡을 작곡할 정도의 천재성, 빈 음악의 전성기를 이끈 화려한 경력, 거기에 안타까운 죽음까지, 삶 자체가 영웅신화의 모습을 그대로 따르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하지만 정말 많이 아는 것 같지만 영화와 단편적인 에피소드 위주로 알고 있었기 때문에 한번쯤 모차르트의 삶을 제대로 알고 싶어서 이 책을 읽기 시작했다.

모차르트와 손윗동서였던 요제프 랑에 Joseph Lange가 그린 모차르트의 초상화 미완성본. 모차르트의 아내 콘스탄체가 가장 모차르트와 닮았다고 평가했다.
간주곡과 부록과 CD, 모차르트에 대해서 충분히 느낄 수 있는 짜임새
본 내용도 좋지만 이 책의 진가를 느낄 수 있는 건 그 외의 부분이다. 각 장의 사이마다 '간주곡'이라는 해설 부분이 있어서 본 내용에서 다루면 늘어질 모차르트의 음악을 자세히 소개하고 있다. 또한 부록으로 모차르트 당시의 역사적 상황과 용어 설명, 인물 색인, 연표를 책의 뒤에 실어 놨는데, 이게 그저 형식적인 것이 아니라 꽤 공이 들어 있어서 관련된 지식을 정리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하지만 역시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은 책에 붙어 있는 CD 2장이다. 찾아 보니 이 책은 낙소스 레이블에서 만든 같은 이름의 시리즈를 번역한 책이다. 낙소스가 음반 레이블이니만큼 실려 있는 음악도 좋고, 읽다가 궁금한 곡들은 바로 들어 볼 수 있다는 것도 좋다.

제레미 시프먼 Jeremy Siepmann. 미국 출신의 작가, 음악가, 교수. 영국에서 활동하며 클래식 음악가들의 전기 등의 클래식 안내서를 많이 썼다.
불쌍한 살리에리, 피터 셰퍼 나쁜 놈
많은 사람들이 그렇겠지만 모차르트 하면 생각나는 또 한 사람은 살리에리 Antonio Salieri이다. 영화 아마데우스의 영향이 굉장히 큰데, 만약 하늘에서 살리에리가 지금의 상황을 본다면 정말 억울할 것 같기는 하다. 당시 살리에리는 빈의 궁정악장이었고, 모차르트와는 상대도 되지 않을 정도로 명성을 누렸던 사람이다. 후대에 평가가 완전히 역전되긴 하지만 모차르트를 독살하거나 그의 재능을 시기할 이유가 별로 없었는데도 2인자 컴플렉스를 살리에리 증후군이라는 심리학 용어가 나올 정도로 자신의 삶보다는 모차르트와 비교되서 이름이 오르내리기만 한다.
이게 다 나중에 영화로 만들어 져서 큰 인기를 끌었던 피터 셰퍼 Peter Shaffer의 '아마데우스' 때문인데, 좋아하는 극작가이긴 하지만 만약에 우리나라였다면 살리에리의 후손에게 고소를 당할게 뻔해 보인다. 하지만 당시에도 살리에리 독살설은 있었다고 한다. 실제로 베토벤의 제자 중에 한 명이 살리에리가 노환으로 누워 있을 때 정말 독살을 한 것이 맞느냐고 물었다고 하는 것을 보니 상당히 퍼져 있었던 것 같기도 하다. 하지만 사회적 지위의 차이도 너무 많이 나고, 살리에리는 모차르트의 아들에게 음악을 가르치기도 했다고 하니 개연성이 없어 보인다.

살리에리를 '천재를 괴롭혀 죽게 한 나쁜 놈'으로 만들어 버린 영화 아마데우스. 영화자체는 재미와 작품성을 둘다 잡아서 남우주연상 등 아카데미를 휩쓸었다. 두 주연배우가 다 남우주연상에 노미네이트되었는데, 상을 받은 건 누구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