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 비겁한 승리
김연수 지음 / 앨피 / 201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순신밖에 모르는 임진왜란..

우리나라 사람치고 임진왜란을 모르는 사람들이 누가 있을까.. 그리고 임진왜란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사람은 충무공 이순신일 것이다.. 조금 더 관심이 있다면 권율이 생각이 날테고.. 행주산성.. 한산대첩.. 진주대첩.. 곽재우.. 등등.. 많은 사람들이 임진왜란의 승리의 기록을 더 많이 기억하고 극난극복의 자랑스러운 역사로 기억하고 있을 것이다..

이 책은 제목부터 그런 고정관념을 깨고 들어간다.. 임진왜란을 '비겁한 승리'라고 규정하고 있는 저자는 우리들이 역사적으로 어렴풋하게 기억하고 있는 영웅들의 이야기보다는 임진왜란이라는 전대미문의 국난과정에서 정통성리학이라고 하는 주자학을 떠들고 '충'​을 절대적인 가치로 여겼던 왕과 집권기득권 세력의 부끄러운 역사를 하나하나 까발리고 있다..

이순신 장군만하더라도 당대에는 전쟁 후에 거의 죽음이 확실시 되던 사람이었으며 권율은 몰라도 조선의 수군을 거의 전멸상태로까지 몰고 간 원균과 같은 반열에 올려 격하되었으며 선조를 호송하던 일개 내시들보다 더 공을 인정받지 못했다고 이 책은 밝히고 있다.. (실제로 ​이순신 장군이 성웅으로 추앙받고 민족의 영웅으로 떠오른 것은 훨씬 훗날 정조 때 재조명을 받으면서이다..)

미리 알고 있었으나 전혀 대비를 하지 않았던 무능력하고 부도덕한 조정..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충격적인 사실은 당시에 이미 왕부터 일반 민중에 이르기까지 조선 사람​ 모두가 일본이 조선으로 쳐들어 올 것이라는 걸 알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하지만 조정은 전혀 대비를 하지 않았다고 한다..

"조선의 지배세력은 조선이 중국 황제를 받드는 한, 명이 조선을 지켜 줄 것이라고 믿었다. 그들로서는 상비군을 유지하는 데 드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어서 좋았다. 이러한 '공짜안보' 의식 속에서 조선은 태평했다." - P.35

아무 대비도 하지 않고.. 그냥 ​명만 바라보고 있었다는 거다.. 그리고 결국은 일본에 의해서 파죽지세로 거의 전 국토를 유린당하고 만다.. 게다가 제일 어처구니없는 것은 일본의 경험상으로 봤을 때 궁궐을 지키면서 왜적과 싸워야 했을 선조가 자신의 몸을 보살피기 위해 몽진을 떠나고 게다가 국경을 넘어 명으로 피신할 생각까지 했었기 때문에 역설적으로 일본이 승리하지 못했다는 것은 참 우습기까지 한 대목이다..

진행은 무능.. 결론은 부도덕..

​이 책은 계속해서 임진왜란의 진행상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 가장 중요한 논점은 무능력한 왕과 대신들이다.. 백성에 대한 근심은 전혀 없이 오로지 자신들의 일신상의 안전만을 생각한 왕은 도망치고 또 도망친다.. 하나하나 기억은 못하지만 대신들 또한 탁상공론만을 계속한다.. 결국 온 백성의 1/3이 전쟁통에 사망하고 그 나머지 백성들도 온전했을 리가 없다.. 가끔은 어떤 책들에서 임진왜란이 전국가적인 전쟁이 아니라 주요 거점만을 중심으로 한 그야말로 왜란이라고 하는 글들을 봤었는데.. 이 책을 보면 그런 생각은 싹 사라지고 만다..

그리고.. 전쟁이 끝난 후의 논공행상은 더 어처구니없게 진행이 된다.. 임금을 호송한 '호종공신'과 왜적을 물리친 '선무공신'으로 나누어서 '호종공신'을 더 앞에 놓은 것도 낯부끄러운데.. 의병장들은 공신에 책봉이 되지도 않았다고 한다.. 부끄러운 역사의 기록이다..

이 책에서는 나오지 않지만 내 생각에는 이런 어처구니 없는 논공행상의 결과가 병자호란으로 이어져.. 결국은 인조가 청의 황제가 보낸 사신에게 머리에 피가 날 정도로 아홉번이나 머리를 찧어 절해야 했던 삼전도의 굴욕으로 이어졌다고 생각한다.. 전쟁이 났을 때 도망가는 왕과 대신들.. 전쟁이 끝난 후에 공신들을 대접하지 않는 조정을 위해 어떤 백성들이 목숨을 바쳐 충성을 할 것인가..?

결국 역사는 되풀이된다..

이 당시의 조선의 정세.. 그리고.. 전쟁의 와중에 벌어진 일들은 훗날에도 쉽게 찾아 볼 수 있는 것 같다.. 6.25가 터지자 시민들은 피난할 수 없도록 한강다리를 끊어버리고 도망쳐버린 이승만 대통령이라든지.. 북한과의 대치상황에서 미군이 철수하면 북한으로부터 우리나라를 지킬 수 없다고 하는 정부를 보면 과연 우리나라는 임진왜란 이후 400여년이 지났지만 과연 무엇이 변했는지 알 수가 없다..

이런 관점에서 이 책은 역사책이기도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정책을 비판하는 책이기도 하다..

우리역사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 꼭 한 번 읽어 보도록 추천한다.. 읽으면서 현재 우리나라의 상황과 비교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역사에 관한 책이긴 하지만 어렵지 않고 흥미진진하게 읽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약간 오타가 많은 것은 이 책의 단점이다..

p.​77 평성 → 편성, p.101 산새 → 산세, p.117 병령 → 병력, p.240 읽고 → 잃고, p.244 전랑 → 전란, p.259 가가마자 → 가자마자, p.267 그들이 → 그들의, p.281 수군의 → 수군을, 무함 → 모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