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중권의 서양미술사 : 고전예술 편 (반양장) - 미학의 눈으로 보는 고전예술의 세계 진중권의 서양미술사
진중권 지음 / 휴머니스트 / 2008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그다지 대단한 지식을 쌓고 있는 사람은 아니다.. 하지만 '지적인 것'에 대한 욕심은 굉장히 많다.. 하지만 역시 그다지 지적으로 많이 발전하지는 못했다.. 그런 나에게 살면서 정말 지적으로 도전을 받게 하는 사람이 살면서 두 사람이 있었다..
한 사람은 도올 김용옥 선생.. 김용옥 선생의 책은 고등학교 때부터 탐독했지만 그 넓은 지식은 실로 헤아릴 수가 없는 것 같다.. 그리고 또 한 사람은 바로 이 책의 저자인 진중권 선생이다.. 진중권에 대해서는 그다지 많은 책을 읽지 못했기 때문에..(이게 겨우 두 권째) 잘 알 수는 없지만.. 어쨌든 지적인 호기심을 자극하는 저작자 중에 한 명이다..

두 사람의 특징은 (내가 생각하기에는..) 일단 많이 공부를 했고.. 그 공부를 겸손이라는 덕목으로 구태여 감싸지 않고.. 공부한 것을 통해 사회에 자신의 뜻을 얘기하는데 주저함이 없다는 것이다.. 그들의 의견이 나의 의견과 일치하지는 않더라도.. 도무지 반박하기는 힘든.. 뭐.. 그런 인물들이다..

요새 들어 갑자기 미술에 관한 책을 10여권 이상 살 정도로 많이 사게 되었는데 진중권의 책도 그렇게 산 책 중에 하나다.. 난 새로 나온 책인지 알았는데 이전에 나온 책의 개정판인 것 같다.. 서양미술사는 그동안 3권 정도 읽어 보았다.. 그리고 모든 책들은 시간에 따른 미술사조의 변화와 대표적인 화가와 작품들에 대해 써놓은 책들이다.. 하지만 이 책은 좀 다르다.. 저자가 머릿말에서 쓴 것처럼.. 그저 '하나를 더 덧붙이는' 것만은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일단 이 책은 역사로서의 미술사책이 아니다.. 오히려 '미술사'라는 제목 자체가 어울리지 않는 책이다.. 미술의 역사를 다루고 있기는 하지만 그것이 시간의 흐름과 연관이 있다기 보다는 하나하나의 장면, 혹은 변화에 초점을 두었기 때문이다.. 특히 특이하게도 이 책은 역사를 다루는게 아니라 논문을 다룬다.. 미술의 역사에 대한 논문을 이해하기 쉽게 풀어 놓은 책이라고 이해를 하면 되겠다.. 게다가 이 책은 흔히 미술사를 생각하면 기대하게 되는 역사적인 흐름에 대해서는 크게 관심이 없는 것 같다..

그렇 다고 이 책이 재미가 없다거나.. 읽을만하지 않다거나.. 하지는 않다.. 충분히 나름대로 읽을만한 가치가 있어 보인다.. 가장 인상적인 건 비록 미술사 전체를 다루는 것은 아니지만 일부를 떼어서 그 부분에 대해 깊이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좋은 점을 찾을 수 있다.. 한장한장이 굉장히 재미있었지만.. 12개의 장 중에서 제일 흥미로웠던 장을 따지면.. 사물을 보는 새로운 시각을 보여준 러시아의 투시법을 설명한 5장과 그저 허접한 매너리즘의 시대라고 생각했던 르네상스 이후의 엘 그레코에 대한 일종의 새로운 시각을 보여준 7장이 재미있었던 것 같다..

나머지 장들도 재미있기는 한데.. 일단 미술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이 너무 모자른 사람이 읽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을 것 같다.. 특히 익숙하지 않은..(하지만 저자에게는 굉장히 익숙한 듯한..) 단어들이 중간중간에 툭툭 튀어나올 때가 가끔 있는데..(예를 들면14, 15, 16, 17세기를 나누는 용어..) 그럴 때 읽어 나가는게 좀 막히긴 했다..

정말 '서양 미술의 역사'를 알고 싶은 사람한테는 비추다.. 서점가서 곰브리치의 서양미술사를 사서 보기를 권한다.. 그리고 서양미술에 대해서 전혀 아무런 지식이 없으면서 교양을 쌓고자 하는 사람에게도 비추다.. 하지만 (진중권 선생의 책이 다 그런 편인 것 같긴 하지만..) 서양미술을 통해 지적인 즐거움을 얻고 싶은 사람에게는 강력하게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