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왕에서 회음후로 낮아진 채 장안으로 옮겨 살게 된 한신의 나날은 울적하였다. 고제는 한신을 사면하였으나그에 대한 의심까지 모두 거두지는 못했다. 한신을 장안에서 한발자국도 나가지 못하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언제나 사람을 풀어 그 움직임을 살폈다. - P99

대나라 상국이 되어 다스리는 땅이 넓어지고 거느린 군사가 늘어나자 진희는 조금씩 모반의 뜻을 드러내기시작했다. 전보다 더욱 힘써 군사를 기르고 군마를 늘리는 한편, 널리 인재를 끌어 모았다. - P106

한 10년 7월 태상황이 죽었다. 고제는 조문을 구실 삼아 진희를 장안으로 불렀지만 진희는 몸이 몹시 아프다고 핑계대며 오지 않았다. 그러다가 그해 9월 드디어 왕황 등과 손을 잡고 한나라에 반역하였다. - P107

애초부터 그 일을 여후가 꾸민 것으로 보는 견해다. 곧 다가올 태자의 시대를 위해 회음후 한신을 제거하려고 노리던 여후가 진희의 모반을 틈타 일을 꾸미고 오히려 그 사인 형제를 이용했다고 보는 것이다. - P123

칼이 목에 떨어지기 전에 하늘을 바라보며앙연히 외쳤다.
"내 일찍이 괴철의 계책을 쓰지 않은 게 후회스럽구나. 이렇게 아녀자에게 속아 죽게 되었으니 어찌 하늘의 뜻이 아니겠느냐!" - P132

호첩은 무사들에게 끌려가면서도 팽월을 돌아보며 소리쳐 깨우쳐 주기를 마지않았다.
"대왕, 다시 한번 굽어 살펴 주십시오. 대왕의 목은 쇠 모탕위에 올려져 있고, 신이 죽으면 오래잖아 대왕의 목 위에도 볼넓은 도끼가 떨어질 것입니다. 이제라도 늦지 않으니 돌이켜 헤아리십시오." - P161

팽월은 고제를 향해 피를 토하듯 꾸짖었다고 한다.
"이놈 배은망덕한 유방아, 내 비록 죽어도 반드시 되살아나 이 원수를 갚으리라. 그때 네놈이 죽고 없어도 네놈이 세운 나라와 그걸 이어 갈 자손은 있을 터. 내 반드시 그 나라를 망하게 하고 그 임금을 죽여 구천을 떠도는 네 넋이라도 피눈물을 쏟게 하리라!" - P172

대왕께서는 회음후 한신과 양왕 팽월이 어떻게 죽었는지를 하마 잊으셨습니까? 신이 보기에 한제는 반드시 대왕까지 죽인 뒤라야 두 다리를 뻗고 잠들 수 있을 것입니다. - P189

"이놈 경포야, 내 너를 박대한 적이 없거늘 너는 도대체 무엇이 아쉬워 모반하였느냐?"
그러자 경포가 한 번 망설이는 법도 없이 대답했다.
"나도 황제가 되고 싶을 뿐이오!"
그 소리에 고제는 몹시 성이 났다. - P204

한 무리의 자향 사람들이 경포가 숨어있는 농가에 몰려들어 경포를 죽이고 그 목을 베어 갔다. - P20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