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 달 전 한왕 유방이 불시에 정도로 치고 들어 한신으로부터 제나라 왕위와 거느리고 있던 10여만 대군을 하루아침에 빼앗아간 일은 틀림없이 야속하고 서운한 일이었다. 하지만 오래잖아 한 고제가 된 유방의 배려로 그때 초나라로 옮겨 앉은 한신의 마음속에는 이미 작은 원망의 그늘도 남아 있지 않았다. - P13
한신은 장상들에게 그렇게 말하고는 그 백정을 중위로 뽑아 썼다. "하찮은 일에 목숨을 걸었지만 그것도 기백이라면 기백이다. 더군다나 네 그 기백이 과인을 격동시키고 분발케 했으니 어찌 그냥 넘길 일이겠느냐? 그 기백으로 이 하비 저잣거리를 잘 지켜 보아라." - P16
이려로 떠난 근시는 밤이 늦어서야 유자 차림을 한 종리매를 수레 안에 감춰 왕궁으로 데려왔다. 한신은 종리매를 미리 비워 둔 후원의 한 전각에 옮겨 숨게 하고 변화에 따라 대처하기로 했다. - P22
그렇게 중얼거리면서 초나라를 들어 고제에게 맞서 볼 마음을 먹었다. 하지만 막상 군사를 일으키려 하고 보니 한신의 배포로는 선뜻 엄두가 나지 않았다. - P27
만약 대왕이 나를 잡아다 한제에게 바쳐 그 환심을 사고 싶다면 나는 오늘 이 자리에서라도 기꺼이 죽어 줄 수 있소. 하지만 내가 죽은 다음에는 대왕도 곧 망해 죽게 될 것이오. - P29
"공이 한 말이 참되다 할지라도 종리매의 일은 용서할 수 없다. 짐의 엄명을 거스르고 몇 달이나 숨겨 주었으니, 비록 종리매와 사사로운 정이 깊었다 해도 남의 신하 된 자가 지킬 바른 도리가 아니다. 공을 초왕의 자리에서 열후(列侯)로 내친다." 고제는 그렇게 한신을 풀어 주며 고향 회음을 식읍으로 내리고 회음후(淮陰侯)로 삼았다. - P34
묵돌은 몰래 우는살을 만들어 자신이 이끄는 1만 기에게 그걸 쓰는 법을 가르쳤다. "내가 이 화살을 쏘아 날리면 너희들도 모두 이 화살이 소리를 내며 날아가 맞는 곳으로 활을 쏘아야 한다. 누구든 이를 어기면 반드시 목을 벨 것이다!" - P43
고제에게는 뒷날 효혜제가 된 태자 유영이 있었다. 여후가 낳은 유영은 사람됨이 인자하였으나 유약한 데가 있어, 고제는 자기를 닮지 않았다고 하며 탐탁잖아 했다. 하지만 척 부인이 낳은 여의는 자기를 매우 닮았다고 여겨 누구보다 사랑했다. 때가 되면 태자 영을 폐출하고 여의를 대신 태자로 세우려 했다. - P8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