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나라와 한나라 사이에는 수많은 전투가 벌어졌지만, 생사와 존폐를 결정하는 승부라기보다는 양군 전력의 강약과 우열이 지루하게 교차하는 형태로 변해 갔다. - P12
한신의 대군이 형양을 떠나 서쪽으로 갔다는 소문이 돌자, 먼저 그런 걱정이 한창 치솟던 초나라 장졸들의 기세를 한풀 꺾어놓았다. - P13
"머지않아 머리 없는 귀신이 될 자가 아직 입은 살아서 큰소리로구나. 다시 한번 깨우쳐 주거니와, 그 변변찮은 머리라도 어깨 위에 남겨 두려거든 지금이라도 어서 서초로 돌아가는 게 어떠냐?" 그리도수하가 그렇게 한 번 더 초나라 사신의 허파를 뒤집었다. - P34
어디서 무슨 소리를 들었는지 패왕 항우는 이번에도 범증의 말을 듣지 않았다. "장막 안에서 천하의 형세를 따지고 계책을 짜는 데는 아부가 낫겠지만, 싸움터를 달리며 승패의 기미를 살펴 적을 무찌르는 데는 과인이 앞설 것이오. - P44
패왕의 명을 받은 장수들은 저마다 조나라의 성을 들이쳐 멋대로 사람을 죽이고 불을 놓고 재물을 빼앗았다. 그렇게 되자 처음에는 두 세력 사이에 끼여 어쩔 줄 몰라 하던 조나라의 인심이 차츰 한신과 장이 쪽으로 돌아섰다. - P46
이제부터 대왕께서는 또 한번 거록의 싸움을 치른다는 심경으로 힘과 물자를 모두 형양에 집중하신 뒤에 적이 숨 돌릴 틈없이 매섭게 들이치셔야 합니다. 한신이나 팽월, 장이의 무리가 구원을 오기 전에 형양성을 우려 빼고 유방을 목 베어야만 천하가 대왕의 다스림 아래 안정될 것입니다. - P6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