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은 너털웃음을 터뜨렸다.
"내 성이 주(周)가라면 알겠느냐?"
그제야 곽정은 알았다는 듯 외쳤다.
"아하! 주백통(周伯通)이라는?" - P135

"노완동 주백통, 오늘 곽정과 의형제의 연을 맺습니다. 앞으로 기쁨도 슬픔도 함께 나눌 것을 맹세합니다. 이 맹세를 깨뜨린다면 저의 무공을 모두 거두시어 개나 고양이도 상대할 수 없게 하소서."
스스로 노완동(老童, 늙은 악동이라는 뜻)이라 하고 맹세하는 말도 어쩌면 이렇게 괴상망측한지 터져 나오는 웃음을 참을 수가 없었다. - P139

주백통이 계속 말을 이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말해서, 무공을 연마하는 것 자체가 무궁한 즐거움이지. 사람이 세상을 살면서 무공을 닦지 않는다면 무슨 재미가 있겠는가? 세상에 할 일이야 많지만 오래 하다 보면 모두 지겹고 재미가 없지. 하지만 무공만은 무궁무진한 재미가 있단 말이야. 아우, 아니 그런가?" - P149

곽정이 갑자기 꼼짝 않고 서서 한참 동안 멍해 있다 입을 열었다.
"대형, 뭔가가 떠올랐어요."
"뭔데?"
"대형의 두 손은 초식이 완전히 다르니, 두 사람이 각자의 초식을 쓰는 것과 마찬가지잖아요? 진짜 결투를 할 때도 이 무공을 이용한다면 둘이서 한 사람을 상대하는 것이니, 얼마나 승산이 크겠어요?
비록 내공을 두 배로 쓸 수는 없지만, 초식으로만 따지자면 상당한 우위를 차지하는 거예요." - P189

‘곽정은 전진교 제자가 아니니 내가 비급의 무공을 그에게 모두 가르쳐 주고, 그가 나에게 시범을 보인다면 사형의 유언을 어기는 것이 아니지 않은가….….‘ - P204

구양극과 나란히 서 있는 곽정을 쏘아보며 두 사람을 비교하니, 준수한 용모에 기품 있는 풍모, 재주까지 갖춘 구양극이 어딜 봐도 훨씬 뛰어나 보였다. 결국 구양극에게 시집보내리라 결심을 굳혔다. 하나 홍칠공의 체면도 생각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 P236

"왜 내게 절을 하는 게냐?"
"황용이 절을 하라고 해서요."
황약사는 속으로 끌끌 혀를 찼다.
저 녀석, 정말 바보로구나.‘ - P268

하늘의 도는 넘치는 것을 줄이고 부족한 것을 보충한다. 그런 연유로 허(虛)가 실(實)을 이기고, 부족한 것이 넘치는 것을 이기는 것이다.
天之道損有餘而補不足是故虚勝實不足勝有餘 - P272

<구음진경>의 경문을 이미 수백 번 외운 곽정은 조금도 머뭇거리지 않고 거침없이 외워 내려갔다. 그렇게 반 장 정도를 외우자 모두 놀라 입을 다물지 못했다.
‘저 젊은이는 일부러 우둔한 척하고 있었던 거야, 실제로는 총명하기 그지없구나.‘
모두 같은 생각이었다. 순식간에 곽정은 네 장을 단숨에 줄줄 외웠다. - P278

"주백통과 곽정이란 아이는 <구음진경>을 모조리 외우고 있소. 내가 이 두 사람을 배에 태워 바다에 빠트리면 <구음진경〉을 불태운 것과 마찬가지 아니겠소? 그러면 하늘에 있는 당신의 혼령도 편안히 쉴 수 있을 것이오." - P32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