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고 싶다 - 2014년 제10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이동원 지음 / 나무옆의자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친구가 죽은 이유를 밝혀야 하는 열외 병장

나(이필립)은 수색대다. 군에 오면서 남자다운 군인이 되고 싶었다. 하지만 훈련 중 무릎이 망가진 이후 광주통합병원에 4개월씩 2차례, 총 8개월을 치료받는 사이에 자대에서는 열외취급을 받게 되었다. 계급은 병장이지만 아무도 나의 말에는 신경쓰지 않는다. 그저 몸은 고달프지만 마음만은 편한 탄약고 근무를 말뚝서면서 제대할 날만을 기다린다.


그렇게 시간을 보내던 중 기무대 박대위가 찾아왔다. 나를 광주통합병원에 다시 보내 주겠다고 한다. 그곳에 가면 얼마남지 않은 군생활을 환자로 편하게 보낼 수 있다. 하지만 조건이 붙지 않는 혜택이 있을 리 없다. 박대위와 정체를 알 수 없는 '낯선 발자국'은 내가 광주통합병원에서 뭔가 조사해 주기 원한다. 곰곰히 생각하던 나는 친하게 지냈던 정성한에게 무슨 일어났는지 추리해 냈고, 정성한이 죽은 것까지 알아챘다. 이미 공식적으로는 자살로 결론이 난 정성한 병장의 사망. 두 사람은 그 이유를 알고 싶어 한다. 정확히는 기무대의 상관인 '낯선 발자국'이 알고 싶어하는 것을 위해 박대위가 움직인 것이다. 두 사람의 제안을 받아들이고 자대보다 익숙한 광주통합병원으로 돌아온 나는 정선한이 죽은 이유를 캐내기 시작한다.


이동원 1979 ~ . 소설가. 2014년 《살고 싶다》로 세계문학상 수상


노골적인 제목, 예상과 다른 내용

처음 읽은 이동원의 소설이다. 사실 누군지 잘 모른다. 제목이 노골적이다. '살고 싶다'. 제목만 봐서는 누군가 주인공이 고통 속에서 살기 위해 발버둥칠 것같은 느낌이다. 하지만 예상과는 내용이 많이 다르다. 주인공은 군대에서 짬밥대접 받지 못하는 찬밥 신세이고, 자대보다는 병원에서 자기 자리를 잡고 있는 군대 부적응자이다. 소설의 배경은 군병원이고 주요 등장인물들은 환자다. 모두가 최소한 부대내에서는 '쓸모없는' 존재들이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그 쓸모없는 존재들 속에도 권력을 가진 사람이 있고 권력관계에 따라서 다른 환자를 억압하는 사람도 등장한다. 최고 권력자의 편의에 따라서 을 사이의 권력관계가 생기는 것을 보니 씁쓸한 느낌이다.


군대라는 장소는, 특히 우리나라에서 군대는 터무니없는 폐쇄성 때문에 존재 자체로 두려움이 지배하는 공간이다. (최근에 휴대폰 반입이 가능해져서 폐쇄성이 많이 약화된 것은 정말 다행이다.) 더구나 사고의 책임이 지휘관에게 지워지기 때문에 부대내의 각종 사건, 사고는 축소, 은폐되거나 그렇다는 의심을 받고 있다. 게다가 어지간한 남자는 모두 군대를 경험했고 많은 남자들이 군대내의 부조리를 목격했기 때문에 군 관계자가 아무리 설명을 해도 믿을 수 없다는 반응이 오히려 자연스럽다.



주인공 보정이 너무 강하다

이런 분위기에서 정선한이 자살을 했다.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은 자명한데 도대체 이유를 알 수 없다. 그 이유를 알아내는 임무가 이필립에게 주어졌다. 병원에 있는 동안 이필립이 정성한과 가장 친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필립은 대단한 사람이다. 굉장히 찌질하게 찌그러져 있었던 이필립은 엄청난 추리력의 소유자다. 처음 사건조사를 의뢰하는 박대위가 아무런 설명을 하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병원으로 되돌아가서 할 일이 있다는 말만 듣고서 정선한의 신상에 무슨 일이 발생한 것을 미리 알아채고, 정성한이 죽은 것까지 스스로 추리해낸다. 첫 추리 이후에도 그의 추리는 거침이 없다. 항상 빈틈이 없고 죄있는 자의 의표를 찌르고 결정적인 순간에 진실을 밝혀낸다.


게다가 담력도 어마어마하다. 다시 병원으로 돌아갔을 때, 병실내에서 절대권력을 휘두르던 병실장에게 엉겨붙어서 승리를 거둔다. 상대가 대위 정도 되면 긴장같은 건 하지 않는다. 특히 기무대 대위 정도의 명령쯤은 무시하고 농담을 던지는 대담함을 가졌다. 설득력은 또 어떤지.. 누구든지 이필립이 궁금해서 물어 보면 모두 말해 준다. 그것도 토씨하나 어긋남이 없는 진실만을 토로한다. 자기 때문에 병사가 죽어 죄책감에 자살하려던 대위는 말할 것도 없다. 특별한 이유없이 사람을 죽음으로 몰아넣은 병사도 다 털어 놓는다. 마치 고해성사를 받는 신부님같다.


주인공인 이필립이 너무 현실성이 떨어지는 인물이라는 것이다. 너무나도 전형적인 추리소설의 주인공 포지션을 차지하고 있다. 꼭 셜록 홈즈같은 느낌이라고 해야 하나? 조금의 단서만 봐도 전체를 파악하고 전투력도 뛰어나다. 그래서 홈즈가 추리를 시작하면 독자는 어떤 의심도 하지 않는다. 위협에 빠져도 별로 긴장되지 않는다. 우리의 명탐정 홈즈 선생은 아무렇지도 않게 그 위험을 빠져 나갈테니까.. 이필립 병장님도 마찬가지다. 아무리 부대에서 투명인간 취급을 당했어도 앞으로 인생이 막막해도, 친구가 죽은 이유를 알 수 없어도 심장 두근거리는 긴장감은 느껴지지 않는다.


소설의 무대가 되는 국군광주통합병원. 소설 속 약칭 광통. 현재는 장소를 옮겨 함평병원으로 이름도 바뀌었다. 사진 출처: 광주in  http://www.gwangjuin.com/

흥미로운 설정에 비해 아쉬운 전개

시작은 재미있다. 폐쇄적인 공간인 군대, 의문스러운 자살을 한 친구, 권력을 지닌 알 수 없는 존재, 작은 권력을 두고 전전긍긍하는 병사들. 이 모든 매력적인 요소들 때문에 흥미진진하게 읽을 뻔 했다. 사실 이필립이 처음 병실에 와서 병실장을 꺾을 때는 속시원함도 느꼈다. 그런데 계속해서 어려움없이 모든 사건을 '깔끔하게' 해결해 버리니 흥미가 떨어진다. 긴장의 풍선이 끝까지 부풀어 올라 터지는게 아니라 중간 어디쯤에서 구멍이 뚫려 피식 바람이 빠지는 것 같다.


밑줄긋고 싶은 문장이 굉장히 많은 책이다. 명문장, 생각하게 하는 문장이 많다. 그런데 그 좋은 문장들이 이 책과 어울리는지, 또는 적혀있는 그 곳에 꼭 있어야 하는지는 잘 모르겠다. 상황에 어울리지 않는 것 같은 멋있는 말이 많았다. 따로 떼어 놓으면 참 좋은 말인데..


★★★☆

아직은 몇몇 좋아하는 작가를 제외하면 한국소설을 고르는 눈이 없어서 대충 아무 소설이나 닥치는대로 사서 읽고 있다. 이미 너무 많이 모아 놓았기 때문에 가지고 있는 책을 읽는데만도 시간이 많이 걸릴 것 같다. 그리고 되도록 무슨 문학상을 받은 책 위주로 읽고 있고 있다. 《살고 싶다》는 게중에 딱 중간정도 되는 책이다. 재미있게 읽을 수는 있는데 조금 아쉽다. 지루하지는 않아서 금세 읽을 수 있다. 어렵지도 않다.


딱 별 3.5개만큼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