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르댕의 오메가 포인트, 시바이쩌의 생의 외경, 베르그송의 생의 약동들은 인간이 추구해야 할 존재의 형태들의 또 다른 이름이었다. 또한 엘륄이 바라 본 기술의 수레바퀴 밑에서 목적이 부재하고 수단만지 존재하는 세상 속에서 기독교인들이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 를 보여주고 있다.

오메가는 단순히 시공간적인 개념이 아니라 인격적인 개념이다. 진화의 끝무렵을 샤르댕은 주장하고 있다. 이 오메가 포인트의 특징은 자율성, 현재성, 불가역성, 초월성이다. 기독교 정신의 본질은 곧 오메가의 본질은 무엇인가? 그것은 다음 생명과 사랑이다. 다음 생명이란 생명의 진화가 기독교를 향하여 발전하여 진화의 종국에 인격적인 존재인 오메가 포인트로 수렴될 것이라는 점이고, 사랑이란 진화가 사랑을 바탕으로 해서 의식들을 통합해 가는 것이라는 의미이다.

베르그송의 현대인들에게 던지는 질문 " 인류는 이제 그가 이루어놓은 진보의 무게에 짓눌려 반쯤 으스러져 신음하고 있다. 그는 그의 미래가 자기에게 달려 있다는 사실을 잘 알지 못하고 있다. 이제 그는 그가 앞으로 계속해서 살기를 원하는지 알아보아야 한다. 그리고 만약에 살기를 원한다면 그저 단순하게 살기만 할 것인지 아니면... 우주가 그에게 부과한 본질적 기능인 신을 계속해서 만들어내는 작업을 해야 할 것인지 물어보야 하는 것이다."

시바이쩌는 세계사를 재조명하면서 각각의 문화와 그 문화를 뒷받침하고 있던 세계관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세계관이란 사람들에게 있는 삶의 의지를 사상으로 파악하려는 것인데 문화는 삶의 의지가 밖으로 전개된 모습이기 때문이다. 그는 세계와 인간을 긍정하는 낙천주의적 세계관만이 인간에게 문화에 대하여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이다라고 생각한다. 현대 문화를 몰락의 길에서 구하려면 현대인들은 이제 세계 긍정과 삶의 긍정의 세계관을 내면화시키고 윤리화시켜야 한다. 그것이 바로 생의 외경이다.  그가 말한 생의 사상은 세 가지 특성이 있다. 1. 절대 윤리적 특성  2. 사랑의 신비주의  3. 자기 완성의 윤리와 자기회생의 윤리를 하나로 통합하고 동시에 윤리와 신비주의를 하나로 통합하는 특성이 있다. 시바이쩌는 예수 그리스도와 바울의 종말론적 신앙을 현대 사회에 설득력있게 제시하기 위하여 생의 외경의 윤리로 바꾸었다.

쟈크 엘륄은 기술적 환경의 명확하게 그 내면을 비판 분석함과 동시에 이에 대한 대안으로 기독교인의 올바른 기도를 찾아 나갈 것을 이야기 하고 있다.  그는 기술적 환경의 지배를 받아 목적이 부재된 현대인들이 기도를 하지 않음을 발견하고 그 이유를 몇 가지로 들고 있다. 1. 세속화되고 탈성화된 사회풍조가 기도를 하지 못하게 한다.  2. 이성과 회의주의의 풍토이다. 기술적 환경은 유용성이 가장 중시되는 것으로 기독교 계시는 더 이상 유용하지 않다는 생각에서 발생한 것이다.  3. 기도의 비효율성이다. 더 이상 효과적이지 않다. 4. 강령이해을 위한 효율적인 수단으로 기도가 축소, 해석하기 때문이다. 5. 언어의 붕괴 현상은 현대인들의 기도를 무의미하게 만들고 현대인들로 하여금 기도를 하지 못하게 한다.

이런 분석을 통해 기도의 회복을 주장하고 있다. 기도를 드려야 하는 이유로 그것이 하나님의 계명이며, 순종으로서의 기도를 주장, (순종은 수동적인 태도가 아니라 오히려 우리가 그리스도인으로 살지 못하게 하는 많은 조건들을 분쇄시키는 적극적인 투쟁임을 강조) 마지막으로 기도를 함으로써 기독교인은 자유를 누리기 때문이다. [ 세상의 속의 그리스도인 : 이문장 역 대장간]

마지막으로 존웨슬리의 회심체험과 아이덴티니의 형성을 현대 기독교인들이 사랑을 실천하고 그리스도를 회복하는 모델로 제시하고  있다.

이 책은 이런 제반의 신앙의 지성인들의 몸부림과 분석이 현대를 살아가는, 현재 한국 그리스도인들에게 어떤 형태로 답을 해야 하는가? 라는 질문을 던지는 것 같다. 각자의 삶의 현장 속에서 그리스도를 올바르게 정립하고 하나님과의 관계맺음을 어떻게 고민하며, 서 있어야 하는가를  질문하게 하며 도전적 자세로 삶을 살게 나의 사고를 북돋운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대교, 기독교, 조로아스터교, 불교, 이슬람교, 힌두교, 유교)종교의 기원과 발생의 원인들, 종교가 끼친 세계사 속에서의 영향들을 알기 쉽게  만화로 그려 이해를 돕고 있다. 또한 각 종교에 대한 기본적인 배경과 상식을 재미있게 서술해 놓아 독자로 하여금 종교에 대한 꺼리낌없이 접근할 수 있는 길을 제시해 주고 있다.

종교의 형태를 크게 세가지로 구분할 수 잇다.  샤먼(만주어, 흥분하는자, 자극하는자) 종교학자 밴자로프가 명명, 동북 시베리아를 중심으로 번져 나간 신앙의 형태,유일신적 성격), 토템(집단의 상징, 신화, 전설이 그 집단과 관계, 동식물의 눈), 애니미즘(모든 사물에 혼이 있고, 생명을 지닌 다신교적 성격)

주목할 만한 종교들의 내용...

조로아스터교-바이킹 족을 비롯한 북방민족의 종교로 페르시아에서 발생한 종교, 조로아스터라 불리는 또는 자라투스트라라고 하는 예언자가 창시한 종교, 배화교라고도 부름, 주신은 빛의 신(아후라 마즈다)과 암흑의 신(앙그라 마이뉴)이다. 이 종교는 불을 가장 신성하게 여긴다.

이슬람교-아라비아 반도에서 마호메트의 노력으로 탄생, 알라(Allah) Al (관사, the)  ilah(신) 코란, 남녀평등한 신, 알라는 다른 신처럼 복수 사용금지, 코란(마호메트가 알라로부터 받은 계시를 모음,시아파) 수나(수니파, 마호메트의 행적과 그가 남긴 말을 기록)  다섯가지 황금규칙-1샤하다드, 2. 살라트(하루다섯번 기도), 3. 자카트(가난한자에게 자비) 4. 사븜(라마단 기간동안에 금식) 5. 하드쉬(메카로 순례여행)

힌두교-아리아의 다신교(베다교), 인더스 강가의 여러 종교, 남부 인도의 드라비다교의 혼합-브라만교-힌두교(인도의 신은 3억 3천만여 신이 지배하는 세계), 최고의 신-브라마, 비슈뉴, 시바, 카스트 계급제도에 얽매여 있는 종교의 모습 

종교에 대한 일반 상식을 정리하며 이야기 나눌 수 있는 좋은 책이다. 틈나는 대로 한장씩 넘겨 보며 종교에 대한 의미를 찾아 봄직하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acmaca 2021-01-31 03: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공자님에 제사하는 동아시아 세계종교 유교가 성립하기전에는, 은나라왕족후손, 기자가 세운 기자조선이 있었습니다. 고려.조선때 인정하던 기자조선이 일본강점기를거쳐 부정되어, 공자님이전의 始原유교를 부정하는 경향이 새로 생긴것인데, 기자조선 마지막왕 기준왕은 유교 한문성씨.본관을 사용하여 서씨.한씨가 그 후손이 되었습니다. 한씨는 三韓의 지배층이 되었고, 삼한은 始原유교부터 전해진 제천의식인 상달제.시월제.단오절을 지냈습니다. 추운겨울인데, 건강하십시오.


하느님의 종교인 수천년 동아시아 세계종교인 유교의 정체성을 확실히하고, 하느님과 별개의 철학인 도교,불교를 이해하는것도 어느정도 필요합니다.도교는 유교처럼 하느님이 인간을 창조(天生蒸民)하신 점에 주안을 두지 않고, 후대에 갈수록 불교의 보살같은 용어도 사용하여, 동아시아 세계종교로 수천년 이어진 유교의 하느님(天).공자님과 맞지는 않습니다. 불교는 원래부터 창조신 브라만에 항거하여 부처가 새로 만든 후발신앙으로 브라만을 섬겨온 인도에서도 다시 배척받게 된 인도발 신앙입니다. 창조신보다 높다는 Chimpanzee류의 부처를 받드는 무신론적 Monkey철학임을 염두에 두고, 불교와 섞인 후대의 중국 도교도 그런 위험을 가지고 있는 철학임을 염두에 두고 철학.민속적으로만 접근해야 합니다. 동아시아 세계종교인 유교나, 서유럽의 세계종교인 가톨릭의 하느님은 인간을 창조하신 절대적 초월자이십니다.

@ 공자님의 시호.

공자님의 시호. 하늘이 보내신 성자이신 성인 임금 공자님은 황제 칭호인 문선제(文宣帝).대성지성문선왕(大成至圣文宣王)의 오랜 전통으로 호칭되어 오고 있습니다.聖人에 이르신 스승(至聖先師). 은나라 왕족의 후손이신 공자님. 참고로 하면, 공자님 아버지 시호는 계성왕(启圣王)이시고 공자님 어머니 시호는 계성왕 부인(启圣王夫人)이십니다.

http://blog.daum.net/macmaca/3127

@

일제강점기 강제포교된 일본 신도(불교), 불교, 기독교는 주권없음. 강점기에 피어난 신흥종교인 원불교등도 주권없음.

주권없는 패전국잔재 奴隸.賤民이자, 하느님.창조신을 부정하는 Chimpanzee계열 불교일본서울대Monkey와 추종세력들이 학교교육 세계사의 동아시아 세계종교 유교,윤리의 종교교육 유교, 국사등과 달리, 일본강점기때 일본이 유교를 종교아닌 사회규범으로 했으니까, 유교가 종교아니라고 최근 다시 왜곡하는데,이는 일제잔재 대중언론에 포진하여 루머수준으로 유교에 도전하는것임.한국은 미군정때,조선성명복구령으로 전국민이 조선국교 유교의 한문성명.본관을 의무등록하는 행정법.관습법상 유교국임은 변치않으며 5,000만이 유교도임.

@

인도에서 불교도는,불가촉賤民.조계종승려賤民한국과비슷.강점기 하느님에덤비며(창조신내리까는 부처처럼)유교부정,불교Monkey일본.하느님보다높다는 성씨없는 일본점쇠賤民.후발천황(점쇠가 돌쇠賤民.불교Monkey서울대 전신 경성제대설립)옹립.한국은 세계종교유교국.수천년 유교,하느님,조상신,공자 숭배.해방후 조선성명복구령 전국민이 행정법.관습법상 유교국복귀. 동아시아(중국,한국,베트남,몽고) 세계종교국중 하나인 한국이 불교Monkey 일본의 강점기를 겪으며 대중언론등에서 유교가 많이 왜곡되고 있음.

http://blog.daum.net/macmaca/3131


@

유교,공자.은,주시대始原유교때 하느님.조상신숭배.세계사로보면 한나라때 공자님도제사,동아시아(중국,한국,베트남,몽고지역)에 세계종교 유교성립,수천년전승.한국은殷후손 기자조선 기준왕의 서씨,한씨사용,三韓유교祭天의식. 국사에서 고려는 치국의道유교,수신의道불교.

세계사로 보면 한나라때 동아시아 지역(중국,한국,베트남,몽고지역)에 세계종교 유교가 성립되어 지금까지 전승. 이와 함께 한국 유교도 살펴봄.

한국 국사는 고려는 치국의 도 유교, 수신의 도 불교라고 가르침. 고려시대는 유교 최고대학 국자감을 중심으로, 고구려 태학, 백제 오경박사, 통일신라 국학의 유교교육을 실시함. 유교사관 삼국사기가 정사(正史)이던 나라.

http://blog.daum.net/macmaca/3057


@ Royal성균관대(조선.대한제국 유일무이 최고교육기관 성균관승계,한국 最古.最高대).Royal서강대(세계사반영,교황윤허,성대다음예우)는 일류,명문.주권,자격,학벌없이 대중언론항거해온 패전국奴隸.賤民불교Monkey서울대.주권,자격,학벌없는 서울대.추종세력 지속청산!

http://blog.daum.net/macmaca/733

http://blog.daum.net/macmaca/2967



 



우리 국민들이 열라 싫다네.
꼭 그래야 하겠니?
방송법 신문법 날치기 해야 하겠니?
지랄하고 자빠졌네.

우리 국민들이 열라 싫다는데
꼭 그래야 하겠니?
꼼수를 써가며 4대가 파야겠니?
지랄하고 자빠졌네.

쩐다 쩔어 조삼모사 청화대
쩐다 쩔어 후안무치 조중동
쩐다 쩔어 개념상실 한나라

쩐다! 쩔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매년 이맘 때쯤 어김 없이 걸리는 성탄 트리!

그 동안 못했던 나눔을 실천하는 소중한 날인데...





어이하여 이 날!

모텔은 방이 없어 난리들인가?

아기 예수가 이 땅에 올 때도 그랬던 것처럼...



메마른 사랑을 나누어 주기 위해 이 땅 오신 예수!

그 사랑을 나누어 주며 네 이웃에게도 그 사랑을 나누어 주라!

명하셨는데.....

사랑을 나누기는 하지! 남녀간의 찐한 사랑을...

왜 꼭 이날인가? 그것도 집 놔두고....

모텔 업자들만 좋은 X-mas 특수!!!!

 

why!!! why!!! why!!!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힌두교가 우리를 불가촉천민으로 만들었고, 힌두교를 포기하는 것만이 우리가 가촉민이 될 유일한 길이다. 인도의 독립운동과 우리 개종운동의 근본적인 추진력은 모두 자유를 향한 열망인 것이다. 종교가 인간을 위한 것이지, 인간이 종교를 위한 게 아니다. 불가촉천민을 인간으로 인정하지 않고, 짐승보다 못하게 취급하며, 공용 우물에서도 물도 마시지 못하게 하는 종교라면 그것은 종교로 불릴 가치가 없다. - 신도 버린 사람들 중 바바사헤브가 인도 민중에게 전한 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