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총칼을 거두고 평화를 그려라 - 반전과 평화의 미술
박홍규 지음 / 아트북스 / 2003년 11월
평점 :
절판


" 제국에게는 전리품,  

  민중에게는 민생고, 

  주인에게는 영광의 별, 

  노예에게는 부러진 뼈"   - 하트필드의 아버지의 詩 中 - 

 전쟁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표현인 것 같다.  

 " 전쟁은 악이다. 죄악이다. 전쟁은 인간이 저지르는 모든 악의 근원이다. 전쟁의 본질은 잔인함이다. 전쟁은 오직 파괴이다. 아니 인간을 개처럼 죽게 하는 가장 비인간적인 파멸의 심연이다." 

저자는 전쟁에 대한 위와 같은 정의를 내리며, 역사 속에서 전쟁으로 민중과 서민, 시민의 참상을 그리며 그들의 아픔을 보듬으려고 했던 화가들을 이 책에서 소개하고 있다.   

시대의 거울인 자크 칼로, ' 나는 보았고, 내 그림은 비명을 지른다 ' 고 외쳤던 프란시스코 데 고야, 정치적으로 압박을 받은 최초의 반체제화였던 오노레 도미에, 고리키의 어머니와 같은 존재였던 케테 콜비츠(유일한 여성화가)["구제받을 길 없는 사람들, 상담도 변호도 받을 수 없는 사람들, 정말 도움을 필요로 하는 이 시대 사람들을 위해 한 가닥의 책임과 역할을 담당하려한다"],조르주 루오 등 반전과 평화를 추구하는 이들의 삶과 그림을 소개하고 있다.  

본 독자가 관심을 가지고 본 부분은 '멕시코혁명과 반전화'이다. 리베라, 오로스코, 시케이로스 이 세사람으로 대표되는 민중벽화운동이다. 그림의 자리를 도화지나 캔버스에서 벽화로 돌려서 민중과 같이 호흡하는, 민중에게 알리는 역할을 감당한 것이 벽화운동이다. 이 세 사람이 이 일을 감당했던 것이다.  

이 부분을 읽고 벽화에 대한 관심과 우리가 살고 있는 현장에서 그려진 벽화들을 사진으로 담아 보고 싶어졌다.  

제목처럼 미술을 역사를 시각화한 것으로, 시대와 동고동락하며 흘러온 것이 미술이다라고 생각한다. 특히 이 책은 전쟁을 통한 '苦' 에 포커스를 맞춰 그 아픔을 없애기 위해 각고의 노력을 기울였던 수많은 화가들을 소개하며 이들을 통해 전쟁을 멈추고 이젠 평화를 그릴 것을 촉구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헤르만 헤세와 임어당
김주연 지음 / 작가 / 200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떤 문학을 전공하는지, 어떤 형태의 신앙의 소유자인지 저자에 대해 잘 모르겠으나 그는 기독교인들의 삶이 현재에 만족하여 정체되어 있는 사고로 사는 것은 위험하다는 것을 잔잔한 에세이로 풀어내고 있다. 쉬운 카테고리로 기독교의 심연 속에 자리 잡은 모순의 뿌리를 캐내고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교회와 신앙의 정체성이 어떤 형태로 나아가야하는 반문을 통해 신앙인들의 자기 정체성을 찾아가는 노력을 끊임없이 행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기독교인의 삶은 편하지만은 않다. 왜냐하면 따지니까?(分析) 현대 생활의 구석구석도 또 다른 의미에서 편하지 않다. 편한 것면 모두 좋다는 생각속에만 머물러 있다면 삶은 허구가 될는지 모른다.


-믿음의 살코기 : 괴테에 대한 쉴러의 평가 " 독일 정신의 본질이다. 왜냐함녀 그가 '살'이 었기 때문이다. "


  성경은 인생을 경영해 나가는 기본 골조'뼈'이며 그 사이사이에 '살'을 채워야 한다. 살이란 표현의 다양성을 개발해야 함을 이야기 한다. 성경과 교회라는 기본 필수에서 출발하여 넓은 지식의 바다로 뛰어들어야 함을 말한다. "돈도 열심히 벌고, 멋진 연애도 하고, 맛있는 음식도 먹고 좋은 취미 생활도 하면서 그 속에서 숨겨진 원리로 작동하는 주님의 섭리를 느끼고 확인해야 할 것이다.


- 기독교는 윤리적 이데올로기


  교회의 발전과 신앙이 반드시 함께 가는 것일까? 라는 질문을 던지면서 현재의 교회의 모습과 신앙의 모습의 형태를 윤리적 이데올로기에 기독교가 깔려 있다고 보고 있다. 이런 현상에 대한 비유로 물질과 권력, 명예의 추구 맞은 편에 놓아야 할 정신적 추의 평형을 위해 신앙을 찾는다 하면서 이런 신앙을 땜질 신앙이라 명명하고 있다.


- 기도의 위력은 가시적 결과 가 아닌 거기에 매달리는 인간의 절실한  간구 속에 이미 존재한다는 것이다. 기도의 전형으로 시편 13:1,3  86:1,3


- 하나님은 이 땅을 고통없는 세상으로 만든다고 하시지 않으셨다. 고통을 껴안고 사는 법을 배우라고 오늘도 말씀하지 않는가? 이 물음은 우리에게 삶의 지혜가 무엇인가를 알려주는 것으로 풍요의 하나님과 풍요의 교회가 아니라 사랑의 하나님, 나눔의 교회와 헌신의 신앙인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