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이 담긴 동양 예술 산책 Easy 고전 31
김갑수 지음 / 삼성출판사 / 2007년 12월
평점 :
절판


오늘날 우리의 삶과 문화, 철학, 가치관 등의 테마들 속을 자세히 들여다 보면 우리 것이 아닌 서양의 색깔로 덧칠된 것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 책은 저자가 베토벤의 교향곡을 듣다가 동양에서는 과연 이런 웅장함과 가슴 뭉클하게 하는 음악이 없나? 하는 의문을 품고 동양 예술의 세계를 그려주고 있다.  또한 동양 예술의 참 의미를 찾고 그 역사적 배경을 가지는지를 설명하고 있다.  

이 책은 여섯 개의 테마를 가지고 유가와 도가의 관념들을 끌어들여 이야기를 풀어가고 있다. 그 여섯 가지 테마는 美, 樂, 風, 遊, 巧, 神 이다. 미-아름다움이란 보는 이의 관점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아름다움은 좋은 느낌과 관련이 있는 것이다. 악-즉 음악은 즐거움을 그 토대로 하며 또한 음악함은 조화를 특징으로 삼고 있다. "즐거워 하되 도를 넘지 않고, 슬퍼하되 마음이 상하지 않는다" [시경 관저] 공자의 이 유명한 말은 시나 예술이 지켜야 할 하나의 지침 구실을 하고 있다.  



풍: 바람따라 들려오는 소리 한 줄기 편에서는 황제가 함지를 연주하는 것을 북문성이 그 음악을 듣고 처음에는 두려웠고, 다음에는 두려움이 사라졌고, 마지막에는 혼란스러워져서 정신이 불안하고 말도 할 수 없었다. 이에 황제의 설명이 이어졌는데 그 설명을 듣고 서야 그 이유를 이해하게 된다. 장자는 이 세번째 단계 소리가 나기는 한데 소리인지 아닌지 긴가민가하여 아무런 확신이 없는 상태 이것을 천악, 천락이라고 불렀다. 즉 하늘의 음악, 하늘과 조화되었을 때 느끼는 즐거움이라는 뜻이다. 이것은 자기에 대한 의식이 없이 자기를 자연과 구별하지 않는 경지에서 들을 수 있는 것을 뜻한다. 또한 이 소리는 그 어떤 것도 무시되는 소리가 없는 음악을 뜻한다. 즉 무위의 경지에 이름을 뜻하는 것이다.  

遊: 노닐다는 뜻이다. 예술 정신에 가장 중요한 경지가 바로 이것이다. 붓따라 그림이 펼쳐지는 경지에 이른 것이다. 즉 장자가 제시한 逍遙遊의 경지로 마음 편히 노는 가운데 그려진 것이라는 것이다. 이 장자의 태도가 동양 예술 정신에 깊은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또한 호접몽을 통해 내가 나비가 되고, 나비가 내가 되는 경지 가운데 그려진 것! 이 속에 창의성과 상상력이 풍성하게 묘사된다는 것이다.  

巧:  한폭의 그림 속에 시와 그림, 글씨 뿐만 아니라 인격과 교양이 배합하여 예술도 승화한 것이 동양화의 중요한 특징 가운데 하나이다. 즉 文자향과 書卷氣가 조화롭게 펼쳐 나온 것이 올바른 문인화가 되는 것이다. 해강의 산수도, 정섭의 묵죽도, 추사의 부작란도 이 작품들은 요란한 기교도 없고, 잘 그려 보겠다는 욕심도 없는 천진난만함이 잘 드러난 것들이다. 그래서 이 그림들을 보고 있노라면 편안함을 느끼게 된다. 이것이 동양화의 특징의 중요한 한 단면인 것이다. 교라함은 어떤 것을 부리거나 테크닉을 구사하는 것이 아니라 노자가 제창한 자연미, 즉 서투름의 아름다움을 통해 감동을 주는 것을 말함이다. 도가에서는 이것을 정의하기를 자연 그대로 있는 상태 素樸이라 정의하고 있다. 이말을 풀이하자면 원래 타고난 바탕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 통나무를 뜻하는 것으로 도가에서는 이 소박한 것이야말로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것이 때문에 어느 누구도 그것과 아름다움을 겨룰 수 없다고 하였다.  

서양화에는 인물을 주제로 그린 그림이 많이 있지만 동양화는 인물이 중심이 된 그림은 매우 드드물고 대부분의 그림이 주로 자연을 중심으로 이뤄지는데 이것이 동양의 세계관이며, 도가의 세계관과 깊게 관계 되어있다.      

神 : 예술의 달인의 경지는 고도의 정신 통일과 잊음으로 이르는 것이다. 이것은 신기에 가까운 예술적 경지에 이를 수있는 두 가지 방법을 말하는 것이다. 첫 번째 방법은 소 백정이었던 포정과 붓글씨(동양 미술의 특징을 다 담고 있는 것)의 특징을 통하여 정신 집중의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동양화나 서예는 단 한 번의 운필만이 허용된다. 따라서 그리거나 글씨를 쓸 때 고도의 정신 집중과 기술적 숙련이 요구된다. 두 번째 방법은 마음 비우기이다. 인간의 칠정이 전혀 지배되지 않은 경지에 이르는 것이다. 이에 이르기 위해 훈련 방법은 심재와 좌망이다. 심재는 마음의 잡념을 없애고 마음을 비우는 방법이며, 좌망은 앉아서 잊는다는 뜻이다.  

집중하는 것인가? 잊는 것인가? 하는 것이 이 둘의 차이라면 나의 개인적인 욕망이나 심리적 동요없이 대상과 하나가 된다는 점에서는 같은 것이다. 자신을 풀어 놓고 잊는 것 동양 예술 정신의 중요한 특징으로 자신을 구속하지 않을 때 자신의 존재마저 잊을 때 영혼의 눈이 열리고 창조의 세계가 열려 자신이 가진 무한한 능력과 진정한 개성이 예술 작품으로 드러게 된다.  

영어 몰입교육으로 대변 되는 mb 정부의 교육관은 서양사대주의에 빠진 교육관의 다름 아니다. 마하트마 간디는 인도 민중에게 나의 교육 철학을 소개하면서 모국어를 두고 영어를 교육하고 영어로 수업을 하는 것의 폐해가 어떤 것인가를 이야기 하고 있다. 영어몰입교육은 교육의 질 뿐만 아니라 쓸데 없는 시간, 비용 낭비일 뿐인다. 학생들이 모국어로 간단히 읽힐 수있는 것을 영어로 수업을 함에 따라 문장해석 및 개념이해를 하는 어려움부터 시작되는 과정을 불가피하게 거쳐하는 어리석은 짓인것이다. 

우리 것이 무조건이다라는 말이 아니라 우리의 것의 우월함과 소중함을 찾는 교육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생각이 이 책을 읽으면서 .........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니콘 2009-11-23 13: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十長生 : 해, 산, 물, 돌, 구름, 소나무, 거북, 학, 사슴, 불로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