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 & 노자 : 道에 딴지걸기 지식인마을 6
강신주 지음 / 김영사 / 201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두번째로 읽은 책인데 이 책의 내용이 이러했던가? 하는 의문을 던지면서 다시 읽어 나가게 되었다. 저자는 노자와 장자의 철학은 근본적으로 다르다를  화두로 글을 전개해 나간다. - 노자와 장자는 다릅니다. 그리고 두 사상가의 차이는 단순히 표면적인 것이 아니라 근본적인 것입니다. -  

보통 대부분의 사람들은 노자와 장자를 노장사상으로 이해하면서 그 중심에 도를 두고 있으며 무위적인 삶을 이야기 한다. 그러나 전자는 도를 형이상학적으로 설정해 놓고, 뿐만 아니라 그 도를 실천함의 대상이 군주와 지배계층의 지배논리를 위한 이념으로 삼고 있다. 후자는 '우리가 걸어가야만 도가 만들어진다' 고 주장하면서 실천적 삶을 통한 철학함을 이야기한다.  

즉 이전까지 가지고 있던 선입견을 완전히 무너뜨리는 것이다. 그래서 저자는 부제로 도에 딴지걸기라는 말로 표현했던 것이다. 뿐만 아니라 글 전개에 있어서도 장자를 먼저 이야기 한 후 노자의 철학적을 이야기 하고 있다.  

먼저 소통인 철학자인 장자가 비유를 들었던 이야기를 통해 그의 사상을 엿볼수 있다. 장자의 사상 전개는 마치 동네 할아버지가 꼬마들을 사랑방에 앉혀놓고 재미있는 옛날 이야기를 전해주는 듯한 모습으로 그려진다. 그 이야기 속의 주인공들을 살펴보자. 송나라 모자 장수, 새를 죽인 노라 임금, 원숭이를 키우는 사람(조삼모사), 호접몽 속의 장주, 소를 잡는 포정 이들을 통해서 장자는 타자와의 만남을 긍정하고 나아가 타자와 소통하여 주체(나)의 변형을 긍정하는 것이다.  

-타자와 더불어 봄이 된다. (與物爲春 ) - 이문장이 장자가 의도한 바로 그것이다. 여기서 봄은 타자와 만나서 그에 맞게 자신을 새롭게 생성시키는 사태를 상정한다. 즉 타자와의 만남을 통해서 자신을 돌아보고, 자신을 변화시켜서 자연스러운 결을 찾게 된다.  

결론적으로 장자는 제물편에서 '길은 걸어간 뒤에 생기는 것이다(道行之而成)' 속에서 장자의 사상의 본질을 알게 된다. 걸어간다는 비약이 없다면 길이고 뭐고 생길 여지가 전혀 없다.  

노자읽기는 먼저 세 가지 사항을 검토한 후 읽기를 권한다. 1. 노자의 철학적 문제의식 2. 그 문제 의식에 대한 해법이라고 할 수 있는 자신의 철학적 주장 3. 그 주장의 정당한 근거로 제공한 합리적인 철학적 근거 이다.  

노자가 살았던 시기는 전국시대였다. 수많은 갈등과 대립이 난무한 시대로 노자는 이 시기에 국가를 오랫동안 통치하는 방법과 천하를 통일하는 방법을 제안했던 것이다. 즉 그는 국가권력을 가진 자를 중심에 두고 자신의 사상을 전개해 나간다. 저자는 노자의 도는 무엇보다도 국가, 정치, 역사에 대한 통찰에서 추상화된 법칙이다 라는 정의를 내린다. - 노자 철학은 분명 영원한 진리의 철학이다. 그렇지만 그가 영원하다고 본 것은 '국가'와 '천하'라는 정치 구조에 관한 것이었다' - 저자는 이처럼 노자의  철학을 정치 철학적 관점으로 축소하여 읽고 있다.  

노자는 주어진 현실을 비판적으로 사유하지 못하고, 주어진 현실을 유지하기 위해 어떤 조치가 필요한지 깊이 생각하는 데 그쳤다는 점이 아쉽다. 라는 표현 속에서 저자의 의도를 읽을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노자 철학의 한계를 이렇게 표현하고 있다.  

결국 노자는 '국가'의 존재 이유에 근본적으로 반성하지 못한 사상가 였다는 점에 한계를 가진 철학자라고 말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노자의 소국과민이라는 정치이념에 대한 비판을 가하고 있다. 소국과민은 통치자의 지배의지가 함축되어 있는 것으로 이러한 노자의 정책 결과 물론 겉으로는 평안하고 질박하기까지 한 시골 마을의 풍경이 나온다. 사람들은 이것에 현혹되어 노자의 정치 이념이 목가적 공동체, 원시 공동체를 이루는 것이다라는 오해를 한게 된다는 것이다.  

실상은 지배계층의 철저한 지배논리가 스며들어 있고, 진 나라 효공때 상앙이 실시한 변법 개혁을 연상할 수 있는 것이다. 상앙은 피통치자를 십오제라는 연좌제로 묶으려고 하였다. 국가 권력의 원천인 농민들이 시골마을 떠나지 못하게 하기 위함이기 때문이다.   

노자의 정치철학의 결론을 본문 중에서 끌어오면 "그러나 노자는 낮고 천한 보통 사람이 어떻게 높고 고귀한 사람이 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서는 전혀 모색하지 않았다. 노자는 높고 고귀하 사람이 어떻게 그 높고 고귀함을 영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을지만을 모색했다. 그러므로 노자 철학의 핵심을 알려고 하는 사람은 다음과 같이 물어보라 "  

[낮고 천한 사람이 어떻게 하면 높고 고귀한 사람이 돌 수 있을까?]  

--   장자 : 타인과 소통하기 위한 도  노자 : 국가 통치를 위한 도 -- 

다 읽고 기분 묘해졌다. 내가 노자에게 품었던 생각이 한갖 지배논리을 위한 이념적 체계였던가? 노자 다시읽기를 해 보아야 겠다. 과연 저자가 명명한 단지 정치철학자로서 노자였던가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