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해명(海鳴)이 싫다.
아득히 멀리, 정신까지 아득해질 정도로 멀리에서 차례차례 밀어닥치는 한적하고 위협적인 굉음.
대체 어디에서 들려오는 걸까. 무슨 소리일까. 무엇이 울고 있는 걸까. 울고 있는 것은 물일까- 아니면 바람일까. 그도 아니면 또 다른 것일까. 끝없는 넓이나 무의미한 깊이만 느끼게 하고, 전혀 안심할 수가 없다.
애초에 바다가 싫다.
바다가 없는 곳에서 자란 나는 처음으로 그것을 보았을 때 어디에서 어디까지가 바다일까, 그런 생각밖에 들지 않았다.
바다의 주체는 물일까? 아니면 그 밑의 해저일까?
우선 그게 확실하지 않다. 물에 잠겨 있는 땅은 이미 바다인걸까?
그렇다면 저 불길한 파도라는 것은 뭘까.
파도도, 생각하기도 싫어질 만큼 아득히 먼 곳에서 너울너울 밀려왔다가는 떠나간다. 그것이 지금도 끊임없이 온 세상 해안에 똑같이 밀려왔다가는 돌아가는 걸까 생각하면 미칠 것만 같다. 그렇다면 바다는 흐느적거리며 그 영토를 쉼없이 넓혔다 좁혔다 하고 있다는 뜻이 되기 때문이다
|
|
|
|
 |
바다가 바로 보이는 방에서 파도 소리를 들으며 잠이 깨서는 계속해서 '해명이 싫다.'고 생각했다. 정확하게 하자면, [광골의 꿈]의 첫문장을 계속해서 떠올렸다. 전날 퍼마신 술이 덜 깨어 어지러운 귓청에 파도 소리가 계속해서 울리자, 이 '해명은 싫다.' 라는 문장이 눈 앞에 전광판이 그러하듯 계속해서 번쩍이고 있었다. 싫어, 정말 싫다..
바다 옆에 산다는 것은 어떤 느낌일까. 창문을 닫는다고, 귀를 닫는다고 끊이지 않는 해명을 계속해서 들어야 한다는 것. 괴로운 일이다. 이 책을 읽기 전 파도소리는 내게 언제나 낭만적인 것이었고, 꿈같은 소리었다. 하지만 교고쿠 나츠히코는 언제나 그렇듯 내 무의식 깊은 곳에 침투해서 무언가를 건드려서는 해명을 두려워하게끔 만들어버렸다. 마치 내가 태어났을 때부터 바다를 두려워 했던 것만 같다. 그 깊이. 그 아득함. 사람을 미치게 하는 끝없는 해명.
앞으로 나는 바닷가에서 살 수 없을 것이다. 이 강렬한 첫문장에 의해 바다는 불길하고도 두려운 폭력이 되어버렸다.
나 역시, 해명(海鳴)이 싫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