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녀가 요양소로 돌아가기 전에 그녀에게 [일방통행로] 중에서 '주름살에 관한 구절을 읽어주었다. 그리곤 그녀가 낡은 덧신 신는 걸 도와주었다.  
 

[발터 벤야민의 모스크바 일기] 中

그 부분은 다음과 같다. 

누군가를 사랑하는 이는 그가 사랑하는 여인의 '결점들', 한 여인의 변덕과 연약함에도 애착을 갖는다. 그녀의 얼굴에 있는 주름살과 기미, 오래 입어 해진 옷과 삐딱한 걸음걸이 등이 모든 아름다움보다 더 지속적이고 가차없이 그를 묶어놓는다. 사람들은 이미 오래 전부터 이 사실을 알고 있었다. 왜 그런가?감각들이 머릿속에 둥지를 틀고 있지 않다는, 다시 말해 창문과 구름, 나무가 우리 두뇌 속이 아니라 우리가 그것을 보고 감각하는 바로 그 장소에 깃들고 있는 것이라는 학설이 옳다면, 사랑하는 여인을 바라보는 순간 우린 우리 자신의 바깥에 있는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우리는 고통스럽게 긴장되고 구속되어 있다. 우리 눈을 못 뜨게 하면서 감각은 한 무리의 새떼처럼 그 여인의 눈부심 속에서 펄럭이며 날아오른다. 잎이 무성한 나무에서 숨을 곳을 찾는 새들처럼, 그렇게 저 감각들은 안전하게 자신을 숨길 수 있는 그늘진 주름살 속으로, 매력 없는 행동과 사랑받는 육체의 드러나지 않는 흠들 속으로 달아나는 것이다. 그 곁을 지나가는 그 누구도 바로 여기 이 결점들, 이 흠들 속에 덧없는 사랑에의 동요가 둥지를 틀고 있다는 걸 알아채지 못한다.

벤야민같은 남자의 사랑을 받는 건 어떤 기분일까.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포지 2009-11-22 17: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매력적인 글이죠? 하지만 글은, 글일 뿐입니다. ^^

2009-11-22 17:42   URL
비밀 댓글입니다.

아포지 2009-11-23 00:00   좋아요 0 | URL
돌아보니, 좀 미안한 댓글을 남겼네요.... );; 아 소심해라

Forgettable. 2009-11-23 09:42   좋아요 0 | URL
음? 마음상할만한 댓글 아닌데? ^^ 미안하긴요-

2009-11-22 23:2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9-11-23 09:49   URL
비밀 댓글입니다.

새벽 2009-11-23 00: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 생각이지만,, 벤야민 같은 남자든, 니체 같은 남자든, 그 어떤 남자라고 해도 사랑받는 기분은 다 똑같을 것 같아요- 남녀 마찬가지로.. 사랑이라는 것 앞에서는 거의 모든 개인의 역사는 무너져내리지 않을까요,, 사랑을 해본 적 없는 어린 학생의 생각입니다 ㅋ

푸하 2009-11-23 10:05   좋아요 0 | URL
사랑을 못해봤다고 하시지만 사랑의 요체 혹은 사랑의 이상에 대해 이야기하시는 것 같은데요.^^;

Forgettable. 2009-11-23 11:08   좋아요 0 | URL
그러게요. ㅎㅎ 푸하님 말씀에 공감 ^^
시뮬님의 글(혹은 덧글)은 어린(?) 학생이랄 수 없는 것 같아서 놀란다니까요 ㅎㅎㅎ

[모스크바 일기]에는 굉장히 매력적인 문구가 많이 나오는데, 아샤에 대한 사랑이 엿보이는 부분들이 특히나빛나요. 이건 외로워서 이러는거냐능; 사랑 앞에서 개인의 역사가 무너져내린다니 ㅠㅠ 아아- 월요일아침부터 엄청 센치해지는군요 ^^;

새벽 2009-11-23 11:59   좋아요 0 | URL
못 해봤으니 이런 것만 알고 있지요... ㅎㅎ 센치해지셨다니 죄송 ㅠ 무너져내린다니 너무 부정적인 어휘일까요? ㅋ

Forgettable. 2009-11-23 12:58   좋아요 0 | URL
어머 저 센치해지는거 좋아하는걸요^^ 무너져내려야 다시 쌓을 수 있으니 부정적어휘만은 아니에요~!
근데 정말 못해보신거에요? [초속 5cm]같은 풋풋하고 애틋한 첫사랑, 이런 추억 없으신거에요? +_+ 아 너무 사적인 질문이니 패스^^;; (라고 쓰고 계속 궁금해한다)

새벽 2009-11-23 21:47   좋아요 0 | URL
글쎄요~ 어려서 그런지 모르겠군요 ㅋ 열심히 무라카미 하루키를 읽어가며 간접 경험을 하고 있답니다... 하루키 것만큼 멋진 연애소설은 없는 것 같아요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