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가을에, 내가 겁도 없이 원서를 샀던 건 영어에 자신감이 붙어서였다기 보단, 한국에서 가져온 읽을 책들이 램프레히트의 [서양철학사] 밖에 남지 않아서였다. 어려운 책들만 골라서 가져갔는데도, 흥청망청 노느라 책읽을 시간이 거의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4개월만에 그 책들을 모두 2번씩 읽어버리고, [서양철학사]를 읽다가 자다가 하며 반이나 읽어버렸을 무렵 난 서점에 가기로 결심한 건 아니고, 친구의 문법책을 사러 서점에 따라갔다.
내용을 알면 읽기 쉽겠지 하며 [향수]와 [백년동안의 고독]을 사게 되어버렸는데, 자기 전에 조금씩 읽다보니 신기하게도 참 잘 읽힌다. 그래서 용기내어 마르케스의 단편집도 사게 되었는데, 다른 어떤 책보다도 열심히, 최선을 다해 읽었다는 이 쓸데 없는 이야기를 왜 하고 있냐면, 바로 [이야기하기 위해 살다]에 그 단편집 중 한 이야기가 나왔기 때문이다.
나는 마르케스의 이야기를 원어로 읽기 위해 콜롬비아에 갈 계획을 세우고 있는 한 사람으로, 그의 이야기와 그의 수다를 정말 미칠듯이 사랑하는데, 한 장 읽고, 그 한 장이 아까워서 책을 덮고 책을 안고 바둥대다가 다시 또 한 장 읽고,,, 를 반복하고 있다. 그러다가 '어, 이거 어디서 많이 봤는데' 하는 이야기를 읽으면서 보니 내가 3년 전에 읽었던 단편집의 'Siesta' 였던 것이다.
왠지 그 때 읽었던 이야기들은 내 마음 속에 아주 아름답게 자리잡고 있다. 이야기들 자체도 재미있고 분위기가 좋았지만, 한국어가 아닌 다른 언어로 쓰인 이야기를 읽는 것은 좀 더 환상적이고 색다른 이미지의 언어로 이야기를 접하는 새로운 방식이었다. 단지 짐을 줄여보겠다며, 이젠 더이상 보지 않는 사람에게 그 책을 딸려보내는 바람에 한국에 와서 내내 그 이야기를 그리워했었기에 이야기들은 점점 미화되고, 동시에 희미해져갔다.
그러던 와중에 그 이야기중의 하나를 뜻하지 않게 다시 만나고, 또한 그 이야기가 마르케스의 잊을 수 없는 경험담이었다는 사실을 읽으며 다시 책을 덮고 바둥댈 수밖에 없었다. 마치 호주에서 친하게 지내던 일본인 친구를 명동거리에서 우연히 만나게 된 것만 같았다. 정말로 책장을 넘기는게 아깝다. 난 행복하다.
(작년에 단편집을 알라딘 외서에서 사긴 샀는데, 원래 내 책보다 표지도 거지같고 영어도 거지같아져서 그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