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회 갱신의 시대에 성서가 우리에게 더 풍성하게 다가온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교회 논쟁의 불가피한 일상적 구호와 투쟁적 구호 배후에는 오직 중요한 것, 곧 예수 자신을 향한 추구와 질문이 더 강하게 일어나고 있다. 예수는 우리에게 무엇을 말하려고 하는가? 예수는 오늘의 우리에게 무엇을 바라는가? 오늘 우리가 진실한 그리스도인이 되는 일에 예수가 무슨 도움을 주는가? 우리에게 궁극적으로 중요한 것은 교회의 이런저런 사람들의 소원이 아니다. 우리가 알고 싶은 것은 예수의 소원이다. 우리가 설교를 들으러 갈 때, 우리가 듣기를 원하는 것은 예수의 말씀이다. 이것은 단지 우리만의 문제가 아니라 교회와 복음을 멀리하고 있는 많은 사람의 문제이기도 하다. 만약 설교 속에서 예수 자신이, 오직 예수만이 우리에게 들려온다면, 어떤 사람은 말씀을 듣겠지만, 어떤 사람은 다시 귀를 막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우리 교회의 설교가 더는 하나님의 말씀이 아니라는 뜻은 아니다. 그러나 얼마나 많은 불순한 소리가, 얼마나 많은 인간적이고 딱딱한 율법이, 그리고 얼마나 많은 거짓된 희망과 위로가 예수의 순수한 말씀을 흐려놓고 있으며, 진정한 결단을 어렵게 만들고 있는가!
<나를 따르라>는 <신도의 공동생활>과 함께 본회퍼 삶의 제2시기(독일에 돌아와 고백교회가 운영하는 휭겔발데 신학교의 책임을 맡아 목회자들을 교육했던 시기)의 대표적인 저작으로 꼽히는 책으로써 오늘날까지 개신교 교회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나치즘을 의식하면서 이 책은 그러한 현실을 두고 해야할 신앙고백에 관해 권고한다. 그에게 있어 그리스도를 제자의 길이란 그리스도에 귀의를 뜻하며, 이렇게 귀의한 신자들은 그리스도의 보냄에 응답해야한다. 그에게 있어 신앙과 순종, 칭의와 성화, 은총과 소명은 구별될 수 없을 정도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오직 믿는 자만이 순종하고, 오직 순종하는 자만이 믿는다(61)".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그는 자신이 이야기하고자 하는 바를 예수의 산상설교와 바울의 가르침에 대한 주석을 통해서 풀어낸다.
<나를 따르라>에서 가장 강하게 비판하는 것은 (널리 알려져있듯) 현실 그리스도교인들이 전통적인 이신칭의 교리를 왜곡하여 은총을 "값싼 은총"으로 만들어버리는 것이다. 본회퍼는 값있는 은총을 전제로 한 값진 순종을 바탕으로 세상을 향해 나아갈 것을 촉구한다. 그 표준은 다름아닌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이다. "그리스도가 오직 고난을 받고 버림을 받은 자로서만, 오직 예수와 함께 십자가에 달린 자로서만 제자가 될 수가 있다. 제자직은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과의 결속으로서 그를 따르는 자를 그리스도의 율법 아래, 곧 십자가 아래 세운다."(93) 십자가를 따르는 길의 첫걸음은 옛 사람의 죽음(즉 회심)과 세상적 가치의 죽음이다. 그리스도가 사람을 부를 때 그 부름은 자신을 따라 옛 자신을 죽일 것을 촉구한다. 성화의 십자가, 혹은 그리스도의 십자가는 고난을 전제로 한 삶이다. 그 과정 속에서 새로운 삶이 펼쳐지고, 새로운 피조물로 거듭난다.
넓게는 교회의 세속화, 좁게는 나치즘이라는 폭력적인 체제 속에서 자기만족적인 신앙생활에만 집중하는 기독교인들에게 <나를 따르라>는 경종을 울렸으며, 다름 아닌 본회퍼 스스로가 히틀러 암살계획에 참가함으로써 저 메시지를 실현시켰다. 이후 보수적인 복음주의 신학자들부터, 진보적인 신학자들까지 <나를 따르라>를 전거삼아 교회의 세속화 문제와 칭의와 성화의 문제를 다시 곱씹기 시작했다. 하지만 그러한 곱씹음 뒤 본회퍼만큼 자신의 논의들을 스스로의 삶 속에 녹여낸 이는 , 아직은 없는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