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nedikt von Nursia
 

가톨릭 교회에서 성베네딕트의 권위는 상당하다. 그의 이름으로 교황직을 수행한 이만해도 16명에 이르기 때문이다(현재 교황명도 '베네딕트'아니던가). 하지만 서양사에서 그가 중요하게 평가되는 것은 그러한 '권위'에 앞서 서구의 수도원 제도를 실질적으로 창시한 이로 꼽히기 때문이다.   

여느 수도자들처럼 베네딕트의 출생이나 어린시절에 관한 자료는 흔치 않으며, 확실치 않다. 그레고리우스 1세의 전기에 의하면 그는 480년경 태어났으며, 누르시아의 어느 명문 출신으로 알려져 있다. 청년시절, 그는 로마에 가서 공부하게 되었는데, 그의 로마행은 그에게 새로운 전기를 마련 
   주었다. 그는 로마 시민들의 생활태도에 환멸을 느꼈고, 공부를 포기한 뒤 동굴 수도의 생활에 투신했다. 동료 수사들과의 생활에서 그는 또 다른 사실을 발견했는데, 하나님을 사랑하는 일에는 문제가 없으나 이웃을 사랑하는 데 있어 인간은 너무나 불완전한 존재라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그는 몬테 카시노 수도원을 설립한다. 그는 수도원을 일컬어 학교라 부르기도 했는데, 이러한 발언은 이집트에 기원을 둔 당대의 수도자들의 전통과 일정한 차이를 갖는다.   

 "기도하고 일하라(Ora et labora)", 이것은 베네딕트의 대표적인 권면이자, 이후 베네딕트 수도회를 특징짓는 것이기도 하다(이와 상대적으로 도미니크 수도회는 '설교'의 가치를, 프란시스코 수도회는 '청빈'이라는 가치를 중시한다). 여기에 '독서'가 추가되면서 베네딕트 수도사들의 하루일과가 완성된다. 이와 같은 수도 과정을 이수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 계율을 지키지 않으면 안 되는데, 그것은 정주, 생활 개선, 그리고 복종이다. 이 세 가지 가운데 중요한 것은 '정주'였는데, 일정한 거주지도 없이 떠돌아다니던 당대 수도사들에게 베네딕트는 "여기 머물라"고 주의를 준다.

'복종'에 기반을 둔 베네딕트 수도회의 엄격한 '노동'은 결과적으로 수도회가 속한 촌락 공동체의 발전에 공헌하고, 이러한 '수도원 문화'는 더 나아가는 중세문명의 발전에 크게 공헌한다. 생전에 베네딕트는 카시노 산에서 벗어난 일이 없었지만, 그가 '기술자와 건축자, 개간자들의 아버지'로 추앙받고 있는데는 그러한 배경이 깔려있다. 또한 청빈과 순결, 겸손, 순종 등을 최고의 윤리적 덕목으로 여기고 노동의 가치를 '긍정'하는 것에서 우리는 후대 청교도들의 기원을 발견할 수도 있다.  

그는 위대한 신학자가 아니었다. 하지만 그는 위대한 생활의 설계자였다. 베네딕트의 <수도규칙>에서 우리는 그 설계가 어떠한 방식으로 관철되는지를 발견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1)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