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51 | 152 | 153 | 154 | 15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존경받는 부자 이렇게 됐다


홍콩인들의 경제 교과서 '리자청'

그는 어떻게 아시아 최고의 부자가 되었을까
왕펑 지음|황보경 옮김|아인앤컴퍼니|351쪽
이광회기자 santafe@chosun.com
입력 : 2005.09.02 18:13 22' / 수정 : 2005.09.05 14:48 08'

‘청쿵과 리카싱’

길을 가다가 가판대 신문에서, 또는 서점에서 그의 사진이 박힌 책 표지를 볼 때마다 이 두 단어가 머리 속에 스치곤 했다. 3년여 간 홍콩특파원 시절은 어쩌면 그와의 정신적 동거(同居)기간이었는지도 모른다.

‘청쿵’은 장강(長江)의 광동식 발음(캔토니즈·Cantonese)이다. 장강은 ‘양자강’이다. 표준어인 만다린으로는 ‘창장’(長江)이 옳다. 리카싱 또한 이가성(李嘉誠)의 광동식 발음이다. 만다린으로는 리자청. 자존심 강한 홍콩인들은 자신들 언어인 광동어로 ‘청쿵과 리카싱’을 읖조리며 하루를 생활하고, 또 그 하루를 매듭한다.

홍콩은 누가 뭐라해도 ‘아시아 자본주의 표본’이다. 쉽게 설명하자. 아시아 최대 갑부 리카싱의 존재만으로 이 칭송을 들을 자격이 있다. 서울의 1.8배 면적에 불과한 땅. 그것도 주룽(九龍)반도를 빼면 온통 섬이다. 인구는 700만 명이 채 안된다. 그런데도 경제력은 인구 4600만 명 한국의 절반, 1인당 소득은 2만4000달러로 우리와 격차가 이만저만 아니다.

그는 홍콩인들에게 어떤 사람인가. 우리나라라면 좌파(左派)나 일부 시민단체들에게 허구헌 날 손가락질 받을만한 ‘저질 자본주의 수괴’(首魁) 혹은 ‘문어발 그룹의 대장’ 쯤 됐을 것이다. 그는 창장그룹의 회장이고, 여기에 항만을 주력으로 하는 허치슨 왐포아 그룹의 이사회 의장이다. 거느린 기업 수만 460여 개다. 총 자산 규모는 600억 달러가 넘는다. 홍콩 증시의 26%가 리카싱 소유다.

시민단체들의 공격을 받을만한 팩트는 또 있다. 홍콩인들은 ‘1달러를 쓰면 5센트가 리카싱 호주머니로 들어간다’는 말을 자주 한다. 그만큼 ‘내 경제활동이 리카싱 좋은 일 시킨다’는 불만의 표시일 수 있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절대 그렇지 않다. 홍콩인들에게 ‘맘씨 좋은 경제인’으로 통하기 때문이다. 홍콩에 사스(SARS)가 왔을 때나, 자선단체가 기부금이 필요로 할 때 의례 리카싱을 찾아 가고, 그는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큰 손을 빌려주기 주저하지 않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노블리스 오블리제의 표본’ 격인 셈이다. ‘리카싱 기금회’는 홍콩인들의 자랑이다.

고향 사랑 역시 늘 상 화제다. 고향은 광둥(廣東)성 차오처우(潮州). 그는 1940년 일제 침략을 피해 가족과 함께 홍콩으로 피난왔다. 12살 때다. 홍콩에는 차오처우(潮州)전문 음식점이 곳곳에 눈의 뜨일 정도로 고향 차오처우 사람들은 대가 센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고향 인근 산터우(汕頭)시에 산터우 대학을 설립, 중국 본토 교육사업에도 큰 기여를 하고 있다.

리카싱은 까만 뿔테 안경에 늘상 둥그런 눈을 뜨고 홍콩인들에게 메시지를 던진다. ‘자본주의 기업경영은 이런 것’ 하고 던지는 그의 말은 곧 교과서다. 2000년 어느 날 ‘홍콩의 부동산이 홍콩경제를 견인했던 시절은 끝났다’ 선언했을 때 홍콩인들은 자신의 아파트 팔기에 급급해야 했다. 그리고 그가 이듬 해 다시 땅을 사기 위해 ‘부동산 경매장’에 나왔을 때 홍콩인들은 다시 부동산을 사들이려고 앞다퉈 호들갑을 떨었다.

‘(리자청) 그는 어떻게 아시아 최고의 부자가 되었을까’는 우리와 닮은 꼴 홍콩에서 아시아 최대재벌이 어떻게 탄생했는지를 잘 설명해 준 좋은 정보 창고다. 우리 역시 어려운 때다. 그의 철학 한가지. ‘실패를 두려워 하지 말고 혼자 힘으로 앞으로 나아가라.’ 중학 1년 중퇴 학력임에도 투지와 지혜로 아시아 최고기업인 자리에 오른 그의 삶을 짐작하고도 남을 만 하지 않은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상을 바꾸는 건 인격이다


인격론
싸무얼 스마일즈 지음|정준희 옮김|공병호 해제|21세기북스|492쪽|1만5000원
최홍렬기자 hrchoi@chosun.com
입력 : 2005.09.09 17:54 55' / 수정 : 2005.09.09 20:18 30'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Heaven helps those whom help themselves)

모두가 가난하던 시절, 한국에서도 이 말 한마디를 벽에 붙여놓고 살아내는 사람들이 적지 않았다.

이 말을 만든 사람은 11명의 형제 중 장남으로 태어나 맨주먹으로 세상을 헤치고 살아갔던 19세기 영국의 의사이자 작가, 개혁운동가 새무얼 스마일즈(1842~1904)다. 그는 이 책에서 “세상을 움직이는 것은 정치나 권력, 돈이 아니라 인격”이라고 웅변한다. ‘궁극적으로 인생을 지배하는 가장 고결한 재산’이라는 것이다.

일하고 사는 인간에 대한 믿음, 근면의 미덕, 그리고 인격에 대한 신뢰가 지금 탈 산업사회를 부르짖는 이 시대에 인격이니 도덕이니 하는 말이 도대체 들어먹힐 이야기인가. 최소한의 노력으로 최대한의 부와 쾌락을 얻어내는 것이 영웅적인 성공담으로 받아들여진지 너무 오래인 이 타락한 사회에서 ‘산업혁명기’ 도덕주의자의 ‘성공학’은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그는 개혁주의자였다. 의사로 일하면서 가난한 사람을 돕던 그는 노동자와 중산층 개혁자들과 함께 참정권 확대 운동을 벌였다. 그러나 정치개혁 운동에서 벽을 느낀 그는 개인 개혁으로 관심을 돌린다. 첫번째 결실이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는 주장을 담은 ‘자조론(Selp-Help·1859)’이고, ‘인격론’(1871)은 그 속편격이다.

그의 주장 중에 돋보이는 것은 ‘인격은 훈련의 산물’이라는 시각이다. 인격은 타고 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자신을 가다듬는 노력의 결과로 형성된다. 자신을 닦아나가는 것은 칩거나 명상, 독서만으로 이룰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일을 통해서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같은 근로 윤리는 노동 계급의 탄생을 맞은 산업혁명기 영국의 특수 상황을 반영하는 것은 분명하다. 이 책이 나온 것은 마르크스의 ‘자본론’이 나온지 4년 뒤다. 계급 모순이 사회적으로 확대되는 상황에서 스마일즈는 “일이야말로 인격을 가르치는 스승”이며 “실용적인 지혜는 보통 사람들과의 폭넓은 접촉을 통해서만 얻을 수 있다”고 말함으로써 브루조아와 노동자들을 건강한 시민사회의 주인공으로 끌어들이려 노력한다.

스마일즈는 보통 사람들이 일상 생활에서 가져야할, 그리고 가질 수 있는 ‘용기’를 강조한다. “솔직할 용기, 유혹에 저항할 용기, 사실을 말할 용기, 가식없이 있고는 그대로 보여줄 용기, 다른 사람의 부(富)에 부도덕하게 의존하지 않고 자신이 갖고 있는 것 내에서 정직하게 살아갈 용기”야말로 인격을 완성하는 중요한 바탕이라는 것이다. 그는 “가장 관대해질 여유가 있는 사람을 바로 용감한 사람들”이라고 말한다. 충동과 격정에 통제력을 빼앗기지 않는 ‘자제’는 또다른 형태의 용기이다. 기만적이고 이기적인 행동에 맞닥뜨렸을때는 당연히 분노해야 한다.

특정 시기 특정 사회의 가치관이 듬뿍 담겨있는 책이지만, 보편적 교양으로 읽고 간직할 수 있는 내용이 풍부하다. 소크라테스로부터 중세, 근대에 이르는 숱한 철학자와 영웅, 학자들의 일화를 통해 그는 양심과 용기, 의무감, 정의감, 희망을 고양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실패 처럼 보일 수 있는 성공을 기억하라’는 글에서 그는 역사가 월터 랠리, 개혁가 루터 등을 소개하며 ‘고통을 모르는 자, 무엇을 알겠는가’는 글에서 역경을 딛고 일어선 수많은 사람들을 되살려낸다.

['인격론'의 명 구절]

- 사람이 지치는 것은 부지런히 움직일 때가 아니라 아무 것도 하지 않을 때이다.

- 사람들은 천재는 찬미할 뿐이지만, 인격적인 사람은 신봉한다.

- 일에 대한 사랑은 천해지고 악해지는 것을 막는 최선의 방책이다.

- 변함없는 의무감은 인격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 "모든 이가 당신을 그토록 사랑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내가 모두를 너무 사랑하기 때문이죠"

- 친구를 사귈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다른 사람의 장점을 진심으로 칭찬하는 것이다.

- 결혼 생활에 있어 황금률은 "참고 또 참아라"이다. 정치와 마찬가지로 결혼은 협상의 연속이다.

- 누구나 노동으로부터 도망칠 수 없다. 과로로 죽는 사람도 있지만 이기심, 게으름, 방종 때문에 죽는 사람이 더 많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가 모시는 지도자 덕분에 2003년 뉴욕 메디슨 스퀘어 가든에서의 에릭 크랩턴의 공연을 실제로 볼 수 있었다.  2시간 동안 거의 넋을 잃다시피 그의 공연에 빠져들었다. 다른 뮤지션들과의 호흡은 물론이거니와 음향, 비디오, 특수 효과 (사실 특수효과가 거의 없었고 필요없었음)를 담당한 모든 사람들 완벽한 팀웍에 할 말을 잃고 말았다.

최고의 음악, 연주가, 모든 스텦진의 완벽한 팀웍... 지금도 그 때 그 곡들이 눈가와 귓가에 생생하게 남아있다. 덕분에 에릭 크랩턴의 최신 DVD를 구입해서 듣는데 그 때의 감동이 볼 때마다 느껴진다.

좋은 음악과 연주는 이래서 좋은가 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51 | 152 | 153 | 154 | 15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