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의 직업은 아빠입니다 - 바보 아빠 탁경운의 가족 소통 프로젝트
탁경운 지음 / 고즈윈 / 2015년 6월
평점 :
이 세상의 모든 남자들은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게 되면 자신도 모르는 새 직업이 하나 더 늘게 된다. 바로 아빠라는 직업이다. 한 가정의 가장이 된다는 것은 그만큼 책임이 따르는
직업이다. 회사에서는 말단 사원일지 몰라도 집에서는 어느 대기업 CEO 못지않다. 그렇지만 내 가족을 둘러싸고 일어나는 일들은 회사에서 늘 하던
업무와는 사뭇 다르다. 아이가 점점 커갈수록 점점 서먹해지는 집안 분위기에 따라 말 그대로 '한 지붕 아래 세 가족'처럼 남남처럼 되어버리기
일쑤다. 행복한 가정을 위해 불철주야 열심히 일하는 이 시대의 아빠들이다. 대체 뭐가 문제이기에 생각만큼 되지 않는 걸까. 대한민국을 넘어 전
세계 아빠들이 똑같이 하는 고민거리, 이제는 해결해보자. 행복한 가정을 위한 가족 소통 프로젝트를 시작해볼 때다.
경영 컨설턴트, 가족 소통 연구소 대표
그리고 국악인이라는 3가지 직업을 갖고 있는 저자의 이력이 흥미롭다. 하나의 직업을 갖기도 힘든 요즘에 무려 3가지씩이나 갖고 있다는 건 좀처럼
보기 힘들기 때문이다. 그중에서도 가장 관심이 가는 그의 직업은 단연 가족 소통 연구소 대표라는 직함이다. 나도 이제 버젓한 대한민국의
자랑스러운 아빠가 되었기 때문이려나. 유독 눈길이 간다. 솔직히 가족 소통이라는 말 자체가 조금은
생소하다. 낯설다. 사랑하는 아내와 아이들이 있는 가정에 무슨 소통이 필요하겠나 싶다. 헌데, '지금 행복한가? 행복, 대체 그게 뭔데?'라고
처음부터 대놓고 물어보며 그가 풀어놓은 그의 가족 이야기를 보고 있자니 웬걸 가족 소통이라는 거 꼭 필요하다 싶다.
결혼 후 신혼을 즐기며 마냥 행복할 것만
같던 그 시기는 아이가 태어난 후 곧바로 사라지다시피 했다. 그와 동시에 조금씩 커져가는 짜증 섞인 목소리와 피곤함은 어쩔 수 없는 것 같다.
사실 이런 문제는 나만 겪는 문제는 아닐 것이다. 물론 그렇다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나처럼 그렇다는 것은 결코 아니다. 하지만, 시시콜콜 조금씩은
문제가 있기 마련이다. 한가지 다행이라면 다행인 것이 아직 아이가 어리기에 아이까지 그 냉랭한 분위기에 휩쓸리진 않는다는 점이다. 세 식구가
만들어 내는 썰렁한 분위기만 생각해도 오싹해진다. '아~ 이건 내가 꿈꾸던 행복한 가정생활이 아니야'라는 생각이 들면서 지금부터 정신
차려야겠다는 다짐을 하게 된다.
그런 찰나에 읽게 된 이 책은 내가
고민하던 부분에 대해서 앞으로 해나가야 할지 가이드라인을 제세해주는 듯했다. 아내와의 관계, 아이와의 관계 나아가 가족 구성원으로서의 아빠의
역할에 대해서 많은 부분 도움을 주고 있다. 그저 '이렇게 해라, 저렇게 해라'식의 조언이 아닌 실제 저자가 가족 소통을 위해 어떻게 했었는지
실례를 통해 이야기하고 있어 더 공감되고 이해가 빨랐다. 그 점이 무엇보다 가장 좋았던 것 같다. 아빠라는 직업을 갖게 되면서 실생활에 써먹을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많이 배운 듯하다. 저자야말로 대한민국 아빠들의 진정한 멘토가 아닐까 하는 생각마저 들었다.
이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직업은 다름 아닌
아빠라는 직업이라고 생각한다. 때론 힘들고 짜증 나고 답답하고 열불 나고 속이 터질지라도 난 그렇게 생각한다. 단, 이제는 생각뿐 아니라
행동으로도 보여줘야 되겠다. 당장에 어떤 성과를 바라지 말고 조금씩 천천히 나부터 달라진 모습을 보여준다면 가족 소통 걱정 없는 행복한 가정이
되지 않을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