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매(The Sisters)”, “우연한 만남(An Encounter)”에 이은 3번째 단편으로 ‘어린 시절(childhood)’의 마지막이지만, 실제 완성 시기는 1905년 10월로 11번째이다. 이 세 편을 조이스는 ‘자신의 어린 시절(my childhood)’라고 했던만큼 자전적인 성격이 강한 작품들이다. ‘애러비(Araby)’는 ‘아라비아(Arabia)’의 시적 표현으로, 19세기 유럽인들이 꿈꾸는 낭만적이고 환상적인 일탈(逸脫)의 세계(보물, 관능적인 여자, 이국적인 풍물, 세련되었지만 살아있는 야수성)를 의미한다. 소년의 환상의 의미는 무엇이고 어떻게 깨어지는가에 주목해서 읽는다. 소설의 연대는 대략 1894년 부근으로 추정되는데, 바로 앞 단편인 “우연한 만남(An Encounter)”에 이어지는 것이다. 실제 조이스는 1894년(12세)에 더블린의 North Richmond Street에 살았고, 시간상 이 이전이기는 해도, 이 해 5월에 “동양의 대축제(Grand Oriental Fete)”란 이름의 바자회가, Jervis Street Hospital을 돕기 위해 카톨릭 수녀회(the Roman Catholic Sisters of Mercy) 주최로 열렸다고 한다.

 

 

Araby

 

 

North Richmond Street, being blind, was a quiet street except at the hour when the Christian Brothers' School set the boys free. An uninhabited house of two storeys stood at the blind end, detached from its neighbours in a square ground. The other houses of the street, conscious of decent lives within them, gazed at one another with brown imperturbable faces.

 

The former tenant of our house, a priest, had died in the back drawing-room. Air, musty from having been long enclosed, hung in all the rooms, and the waste room behind the kitchen was littered with old useless papers. Among these I found a few paper-covered books, the pages of which were curled and damp: The Abbot, by Walter Scott, The Devout Communicant, and The Memoirs of Vidocq. I liked the last best because its leaves were yellow. The wild garden behind the house contained a central apple-tree and a few straggling bushes, under one of which I found the late tenant's rusty bicycle-pump. He had been a very charitable priest; in his will he had left all his money to institutions and the furniture of his house to his sister.

 

When the short days of winter came, dusk fell before we had well eaten our dinners. When we met in the street the houses had grown sombre. The space of sky above us was the colour of ever-changing violet and towards it the lamps of the street lifted their feeble lanterns. The cold air stung us and we played till our bodies glowed. Our shouts echoed in the silent street. The career of our play brought us through the dark muddy lanes behind the houses, where we ran the gauntlet of the rough tribes from the cottages, to the back doors of the dark dripping gardens where odours arose from the ashpits, to the dark odorous stables where a coachman smoothed and combed the horse or shook music from the buckled harness. When we returned to the street, light from the kitchen windows had filled the areas. If my uncle was seen turning the corner, we hid in the shadow until we had seen him safely housed. Or if Mangan's sister came out on the doorstep to call her brother in to his tea, we watched her from our shadow peer up and down the street. We waited to see whether she would remain or go in and, if she remained, we left our shadow and walked up to Mangan's steps resignedly. She was waiting for us, her figure defined by the light from the half-opened door. Her brother always teased her before he obeyed, and I stood by the railings looking at her. Her dress swung as she moved her body, and the soft rope of her hair tossed from side to side.

 

Every morning I lay on the floor in the front parlour watching her door. The blind was pulled down to within an inch of the sash so that I could not be seen. When she came out on the doorstep my heart leaped. I ran to the hall, seized my books and followed her. I kept her brown figure always in my eye and, when we came near the point at which our ways diverged, I quickened my pace and passed her. This happened morning after morning. I had never spoken to her, except for a few casual words, and yet her name was like a summons to all my foolish blood.

 

Her image accompanied me even in places the most hostile to romance. On Saturday evenings when my aunt went marketing I had to go to carry some of the parcels. We walked through the flaring streets, jostled by drunken men and bargaining women, amid the curses of labourers, the shrill litanies of shop-boys who stood on guard by the barrels of pigs' cheeks, the nasal chanting of street-singers, who sang a come-all-you about O'Donovan Rossa, or a ballad about the troubles in our native land. These noises converged in a single sensation of life for me: I imagined that I bore my chalice safely through a throng of foes. Her name sprang to my lips at moments in strange prayers and praises which I myself did not understand. My eyes were often full of tears (I could not tell why) and at times a flood from my heart seemed to pour itself out into my bosom. I thought little of the future. I did not know whether I would ever speak to her or not or, if I spoke to her, how I could tell her of my confused adoration. But my body was like a harp and her words and gestures were like fingers running upon the wires.

 

One evening I went into the back drawing-room in which the priest had died. It was a dark rainy evening and there was no sound in the house. Through one of the broken panes I heard the rain impinge upon the earth, the fine incessant needles of water playing in the sodden beds. Some distant lamp or lighted window gleamed below me. I was thankful that I could see so little. All my senses seemed to desire to veil themselves and, feeling that I was about to slip from them, I pressed the palms of my hands together until they trembled, murmuring: `O love! O love!' many times.

 

At last she spoke to me. When she addressed the first words to me I was so confused that I did not know what to answer. She asked me was I going to Araby. I forgot whether I answered yes or no. It would be a splendid bazaar; she said she would love to go.

 

`And why can't you?' I asked.

 

While she spoke she turned a silver bracelet round and round her wrist. She could not go, she said, because there would be a retreat that week in her convent. Her brother and two other boys were fighting for their caps, and I was alone at the railings. She held one of the spikes, bowing her head towards me. The light from the lamp opposite our door caught the white curve of her neck, lit up her hair that rested there and, falling, lit up the hand upon the railing. At fell over one side of her dress and caught the white border of a petticoat, just visible as she stood at ease.

 

`It's well for you,' she said.

 

`If I go,' I said, `I will bring you something.'

 

What innumerable follies laid waste my waking and sleeping thoughts after that evening! I wished to annihilate the tedious intervening days. I chafed against the work of school. At night in my bedroom and by day in the classroom her image came between me and the page I strove to read. The syllables of the word Araby were called to me through the silence in which my soul luxuriated and cast an Eastern enchantment over me. I asked for leave to go to the bazaar on Saturday night. My aunt was surprised, and hoped it was not some Freemason affair. I answered few questions in class. I watched my master's face pass from amiability to sternness; he hoped I was not beginning to idle. I could not call my wandering thoughts together. I had hardly any patience with the serious work of life which, now that it stood between me and my desire, seemed to me child's play, ugly monotonous child's play.

 

On Saturday morning I reminded my uncle that I wished to go to the bazaar in the evening. He was fussing at the hallstand, looking for the hat-brush, and answered me curtly:

 

`Yes, boy, I know.'

 

As he was in the hall I could not go into the front parlour and lie at the window. I felt the house in bad humour and walked slowly towards the school. The air was pitilessly raw and already my heart misgave me.

 

When I came home to dinner my uncle had not yet been home. Still it was early. I sat staring at the clock for some time and, when its ticking began to irritate me, I left the room. I mounted the staircase and gained the upper part of the house. The high, cold, empty, gloomy rooms liberated me and I went from room to room singing. From the front window I saw my companions playing below in the street. Their cries reached me weakened and indistinct and, leaning my forehead against the cool glass, I looked over at the dark house where she lived. I may have stood there for an hour, seeing nothing but the brown-clad figure cast by my imagination, touched discreetly by the lamplight at the curved neck, at the hand upon the railings and at the border below the dress.

 

When I came downstairs again I found Mrs Mercer sitting at the fire. She was an old, garrulous woman, a pawnbroker's widow, who collected used stamps for some pious purpose. I had to endure the gossip of the tea-table. The meal was prolonged beyond an hour and still my uncle did not come. Mrs Mercer stood up to go: she was sorry she couldn't wait any longer, but it was after eight o'clock and she did not like to be out late, as the night air was bad for her. When she had gone I began to walk up and down the room, clenching my fists. My aunt said:

 

`I'm afraid you may put off your bazaar for this night of Our Lord.'

 

At nine o'clock I heard my uncle's latchkey in the hall door. I heard him talking to himself and heard the hallstand rocking when it had received the weight of his overcoat. I could interpret these signs. When he was midway through his dinner I asked him to give me the money to go to the bazaar. He had forgotten.

 

`The people are in bed and after their first sleep now,' he said.

 

I did not smile. My aunt said to him energetically:

 

`Can't you give him the money and let him go? You've kept him late enough as it is.'

 

My uncle said he was very sorry he had forgotten. He said he believed in the old saying: `All work and no play makes Jack a dull boy.' He asked me where I was going and, when I told him a second time, he asked me did I know The Arab's Farewell to his Steed. When I left the kitchen he was about to recite the opening lines of the piece to my aunt.

 

I held a florin tightly in my hand as I strode down Buckingham Street towards the station. The sight of the streets thronged with buyers and glaring with gas recalled to me the purpose of my journey. I took my seat in a third-class carriage of a deserted train. After an intolerable delay the train moved out of the station slowly. It crept onward among ruinous houses and over the twinkling river. At Westland Row Station a crowd of people pressed to the carriage doors; but the porters moved them back, saying that it was a special train for the bazaar. I remained alone in the bare carriage. In a few minutes the train drew up beside an improvised wooden platform. I passed out on to the road and saw by the lighted dial of a clock that it was ten minutes to ten. In front of me was a large building which displayed the magical name.

 

I could not find any sixpenny entrance and, fearing that the bazaar would be closed, I passed in quickly through a turnstile, handing a shilling to a weary-looking man. I found myself in a big hall girded at half its height by a gallery. Nearly all the stalls were closed and the greater part of the hall was in darkness. I recognized a silence like that which pervades a church after a service. I walked into the centre of the bazaar timidly. A few people were gathered about the stalls which were still open. Before a curtain, over which the words Café Chantant were written in coloured lamps, two men were counting money on a salver. I listened to the fall of the coins.

 

Remembering with difficulty why I had come, I went over to one of the stalls and examined porcelain vases and flowered tea-sets. At the door of the stall a young lady was talking and laughing with two young gentlemen. I remarked their English accents and listened vaguely to their conversation.

 

`O, I never said such a thing!'

 

`O, but you did!'

 

`O, but I didn't!'

 

`Didn't she say that?'

 

`Yes. I heard her.'

 

`O, there's a... fib!'

 

Observing me, the young lady came over and asked me did I wish to buy anything. The tone of her voice was not encouraging; she seemed to have spoken to me out of a sense of duty. I looked humbly at the great jars that stood like eastern guards at either side of the dark entrance to the stall and murmured:

 

`No, thank you.'

 

The young lady changed the position of one of the vases and went back to the two young men. They began to talk of the same subject. Once or twice the young lady glanced at me over her shoulder.

 

I lingered before her stall, though I knew my stay was useless, to make my interest in her wares seem the more real. Then I turned away slowly and walked down the middle of the bazaar. I allowed the two pennies to fall against the sixpence in my pocket. I heard a voice call from one end of the gallery that the light was out. The upper part of the hall was now completely dark.

 

Gazing up into the darkness I saw myself as a creature driven and derided by vanity; and my eyes burned with anguish and anger.

 

 

3. Araby

blind

골목/길이 막힌

cul de sac, dead-end

Christian Brothers' School

가난한 아이들을 위해 아일랜드 여러 곳에 카톨릭에서 설립한 학교

조이스 자신도 1893년 이 학교에 잠시 다닌 적이 있는데 이 사실을 그는 자신의 자서전적 소설들에서 빼버렸다.

drawing room

응접실, 접견실; 기차 전용 객실(compartment)

 

wasteroom

화장실

 

The Abbot by Walter Scott

“아이반호(Ivanhoe)"로 유명한 스코틀랜드 소설가 월터 스코트가 1820년에 쓴 소설

음란하다고 알려진 16세기 스코틀랜드 메리 여왕을 이상화하여 만든 공상적 소설

The Devout Communicant

이 이름으로 된 책은 여럿 있으며, 종교적인 열정에 관한 경건한 문장들로 이루어 짐

모두 18세기의 것들

The Memowoire of Vidocq

19세기 프랑스의 도둑이자 경찰인 비독에 관한 허구적인 전기소설로 1828년 작품

대중적인 스릴러. 몇 년 전에 필자는 이에 관련된 영화를 본 적이 있음

leaf  (pl. leaves)

잎사귀 → 책의 앞뒤 한 장

(2 pages)

 

straggle

흩어지다, 무질서하게 퍼지다; 산재하다

scatter, spread, disorganize, scramble, ramble

career

n. 경력, 이력, 직업; 출세, 발전, 진전(development), 경로(course); 질주, 쾌주,

v. 전속력으로 달리다, 질주하다

run the gantlet

비난이나 질책을 받다; 옛날 두 줄로 늘어선 사람들 사이를 죄인으로 하여금 달리게 하고 여러 사람이 매질하는 태형

gantlet은 gauntlet의 옛날 철자

shook music out of the buckled harness

마부가 마구를 다루다가 내는 소리를, 마술사가 모자 등을 흔들어 무언가를 빼내는 마술처럼, 음악에 비유한 표현

 

area

(BrE) 지하실(부엌) 출입구(채광, 통행을 위한 지하층 주위의 빈터). spaces providing light and air to the basements of houses

(AmE) areaway

Mangan's sister

소녀의 이름은 나오지 않지만, Mangan이라는 이름의 선택은 중요하다. 아일랜드말(Gaelic language)로 'Mangan'의 뜻은 '숱이 많은 머리(abundant hair)'이다. 바로 뒤의 'soft rope of her hair'를 보라.

아일랜드의 시인 James Clarence Mangan(1803-1849)은 아일랜드의 우울한 전통과, Arab으로 대표되는 이국적인 환상에 빠졌던 시인으로, 아랍어도 모르면서 자기 시가 아랍어에서 번역한 것이라고 주장

pigs' cheeks

돼지의 볼살 (from 돼지머리)

 

come-all-you

유명한 아일랜드  대중 가요(Come all you gallant Irishman and listen to my song)로 노래가사에 그때 그때 하고 싶은 이야기를 집어 넣는다.

 

O'Donovan Rosa

급진적인 피니언 혁명가로 무장 투쟁을 주장했다

Jeremiah O’Donovan (1831–1915), nicknamed Dynamite Rossa; an Irish revolutionary.

troubles

조국의 수난과 애국투사의 투쟁

a euphemism for Irish civil unrest

chalice

성배(the Holy Grail), 성찬배. goblet

 

impinge on

충돌하다; 침범하다

 

Araby

Arabia or Arabian

 

lay waste

황폐시키다

lie waste 땅이 경작되지 않고 놀고 있다; 황폐해져 있다

hallstand

홀 스탠드(거울, 외투걸이, 우산꽂이 등이 하나로 된 것)

현관장 비슷하지만 다르다.

misgive

worry. concern. 근심하게 하다, 신경 쓰이게 하다

 

garrulous

말 많은. talkative

 

gain

reach

 

this night of Our Lord

in the year of Our Lord ~ (서기 ~ 년에)

 

The Arab's Farewell to his Steed

아일랜드 시인 Caroline Norton(1808-77)이 지은 시로 많은 사람이 암송

'Araby' 바자회와는 “아무 관계 없어!”

florin

영국의 2실링(24 pence) 은화

 

girdle

(허리)띠로/띠 모양으로 두르다, 빙 둘러싸다

encircle or surround with sth like a girdle/belt

porter

문지기, 수위(doorkeeper); 짐꾼, 잡역부; 흑맥주

 

Café Chantan

(F) coffeehouse with entertainment(singing)

실제 이름

salver

금속제 쟁반, 명함 그릇

 

fib

악의 없는 사소한 거짓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범례> * 이 글 시리즈의 처음인 더블린 사람들 (序) - 꼼꼼한 텍스트 읽기 참조.

김병철: 더블린 사람들, 문예출판사, 3판 1쇄, 1999. 2

김종건: 더블린 사람들 비평문, 범우사, 2판 4쇄, 2005. 8

김정환: 김정환 성은애, 더블린 사람들, 창작과 비평사, 2쇄 1995. 9

민태운: 조이스의 더블린: 더블린 사람들 읽기, 태학사, 2005. 4

전은경: 전은경 홍덕선 민태운, 조이스 문학의 길잡이: 더블린 사람들, 동인, 2005. 6

Gifford: Don Gifford, Joyce Annotated: Notes for ‘Dubliners’ andA Portrait of the Artist as a Young Man’, 2nd e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2

Brown:James Joyce, Dubliners with an introduction and notes by Terence Brown, Penguin Classic, 1993에 있는 테렌스 브라운 교수의 서문(introduction) 및 주석(notes).

(대조검토용으로 표시하고 있는 원문의 페이지도 이 책의 것이다.)

Companion: Derek Attridge ed., The Cambridge Companion to James Joyce, 2nd ed. 3rd print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Gifford, Brown 외국 저자의 책이나 영문 웹사이트의 한글 번역은 모두 필자가 )

 

 

1. 제목의 부정관사 번역

 

부정관사가 들어가는 제목을 가진 단편은 4개이다. 어떻게 번역했는지 보자.

 

구분

An Encounter

A Little Cloud

A Painful Case

A Mother

김병철

만난 사람

구름 한 점

끔찍한 사건

어머니

김종건

뜻밖의 만남

작은 구름

참혹한 사건

어머니

김정환

만남

구름 한 점

가슴아픈 사건

어떤 어머니

민태운

우연한 만남

작은 구름 한 조각

가슴아픈 사건

어떤 어머니

전은경

우연한 만남

작은 구름 한 점

가슴 아픈 사건

어머니

필자 의견

우연한 만남

작은 구름

가슴 아픈 사건

어떤 어머니

 

영어의 부정관사는 단수 가산명사 앞에 쓰여, (1) 대상이 정해지지 않은, 동일 종류의 아무 거나 하나라는 뜻으로 쓰이는 때가 있고, (2) 어떤(a certain, some) 이라는 뜻도 있다. 이는 대상은 정해졌지만 정체를 모를 때나 정체를 밝히고 싶지 않을 때 쓰는 말로, 화자와 청자 사이에 한쪽만 알고 있다고 추정될 때 쓰는 것임에 반해, 정관사 the는 화자와 청자의 인식 공유를 전제로 한다. (부정관사에는 다른 뜻도 있지만, 여기서는 위 둘이면 족하다).

 

우리말에서는 앞에 아무런 수식어가 없이 쓰인 단수명사가 일반적인 총칭이다. 사람을 예로 들어보자. (다른 동물과 구분되는) 종(種)으로서의 일반적인 사람을 말할 때면 사람이라 하지 굳이 사람들이라 쓰지 아니하며, 영어와는 달리 한 사람이라고 하면 틀린다. 반면 영어에서는 복수명사인 people이 총칭의 대표이며, 단수명사인 a person/the person으로도 때에 따라 총칭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어떤 사람은 위에서 설명한대로 당장은 정체가 밝혀지지 않지만 이제부터 차차 설명하려는 단수의 사람을 나타낸다. 그렇지만 앞에 관형사가 오면 좀 달라지는데, 아름다운 사람만으로 어떤 아름다운 사람의 뜻을 가진다. 즉 우리말에서는 형용사(아름다운)만으로 영어의 관사(어떤) + 형용사(아름다운)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위의 제목을 보자. encounter보통 만남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뜻하지 않은 만남, 우연한 만남, 조우(遭遇)라는 뜻이기에, An Encounter우연한 만남, 뜻밖의 만남, 어떤 조우가 적격이지, 하나의/어떤 우연한 만남, 우연한 조우는 모두 중복이라 어색하다. 그냥 만남만으로는 우연이라는 중요한 뜻이 빠지고, 만남 사람은 괜히 한 걸음 더 나아간 꼴인데, encounter만난 사람이라는 뜻은 없기 때문이다. 여기서 우리가 영어공부를 하고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기억하자. 역자가 번역기교상, 글의 내용을 감안하여 만난 사람을 굳이 썼다면, 그것까지 우리가 뭐라 그럴 계제(階梯)는 아니다.

 

똑 같은 논리를 적용하면 A Little Cloud, 번역상 작은 구름 하나/한 점 식으로 하나란 걸 강조할 수는 있지만, 작은 구름으로 족하다. A Painful Case의 번역에서는 아무도 하나, 어떤이란 군더더기를 붙인 사람은 없다. 또 여주인공이 기차에 몸을 던진 사건만 두고 보면 비록 참혹하다고 할 수 있지만, 전체 스토리 전개 및 주제에 따라 painful가슴 아픈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A Mother이 일반적인 어머니 이야기도 아니고, 우리 엄마 이야기도 아니고, 아무나 한 분의 어머니 이야기도 아닌 바에야, 왜 어떤 어머니가 좋겠다는 것인지는 이로써 설명된다.

 

 

2. the Wild West (p.11)

 

맨 첫 줄에 나오는 표현이다. 왜 두 군데 W가 하필이면 대문자이겠는가? 회장님의 방침 때문은 아니고, 미국의 서부지방(김병철), 황량한 서부지방(김종건)도 아닌 개척시대 미국 서부(김정환)이기 때문이다. 단순히 미국 서부도 아니고 황량한 서부도 아닌, 변경(frontier) 마을과 농지 개척, 금은의 발견과 채굴, 술과 여자를 둘러싼 보안관과 악당의 총질이 난무하던 미국의 그 서부를 말할 때만 이렇게 쓰는 것이다.

 

 

3. The Union Jack, Pluck, The Halfpenny Marvel (p.11)

 

2의 바로 다음 줄에 나오는 잡지 제목이다.

 

『더 유니온 잭』,『플럭』,『더 하프페니 마블』 (김병철)

《유니언 잭》,《담력》,《하찮은 경탄》 (김종건)

『더 유니온 잭』,『플럭』,『더 하프페니 마블』 (김정환)

『영국국기(The Union Jack)』,『담력(Pluck)』,『반 페니 불가사의(The Halfpenny Marvel』 (전은경)

 

 

영문으로만 적은 것은 괄호로 우리말 뜻을 병기하면(비록 한영으로 순서는 바뀌었지만, 전은경처럼) 훨씬 실감이 날 것이다. 한편 김종건유니언 잭은 번역이 안된다는 건지, 번역할 필요도 없이 알고들 있을 것이라는 건지 모르겠다. 또《하찮은 경탄》의 뜻은 누가 봐도 《별볼일 없는 놀라움》 아니겠는가? 실제로는 《반 페니라는 싼 가격으로 살 수 있는 ‘놀라움’》이라는 잡진데……(전은경, p.88에 이 잡지의 표지 사진이 실려 있다)

 

 

3. He had a little library made up of old numbers of the Union Jack, Pluck, and The Halfpenny Marvel. (p.11)

 

2와 같은 문장으로, 같은 문장을 번역가들이 얼마나 서로 달리 받아들이는지를 보여주고 싶다. 김정환 쪽이 제일 부드럽다.

 

그는 책부스러기를 좀 가지고 있었는데∙∙∙∙∙∙따위의 지난 호의 잡지가 대부분이었다. (김병철)

그는∙∙∙∙∙∙하는 낡은 소년 잡지들로 가득 채워진 조그마한 서재를 갖고 있었다. (김종건)

그는∙∙∙∙∙∙같은 소년잡지의 지난 호들을 한보따리 갖고 있었다. (김정환)

 

 

4. and the peaceful odour of Mrs Dillon was prevalent in the hall of the house. (p.11)

김병철 역본은 마치 딜론 부인의 냄새가 원문과는 반대로 나쁜 듯이 들린다.

 

집 현관방에는 딜론의 어머니가 풍기고 간 냄새가 코를 찔렀다. (김병철)

딜런 부인이 풍기고 간 아련한 냄새가 집의 현관 어디에나 어려 있었다. (김종건)

딜론 부인의 평안한 향기가 현관에 널리 퍼져 있었다. (김정환)

 

 

5. I could understand it( = 수업시간에 위의 소년모험잡지를 보는 것) if you were National School boys. (p.12)

소년들이 드디어 수업시간에까지 숨기고 잡지책을 보다가 신부님에게 야단맞는 장면이다.

 

아일랜드의 교육제도는 우리나라나 미국과 다를 뿐만 아니라 영국과도 달라서 헷갈린다. 아일랜드 사람인 Brown교수에 따르면, 1830년대 초 영국 입법가들에 의해 수립된 아일랜드 교육제도에서 National School은 우리로 치면 초등학교(Primary School)의 개념이라 한다(Brown, pp.246-247). 김병철은 이를 영국의 공립학교로, 사립학교인 public school, independent school, college와 대비되는 개념인 state school로 생각하는 듯하다. 미국의 유명한 조이스 해설가인 Gifford(1919-2000. 전 Williams College 교수) 역시 이를 미국의 public school에 대응하는 개념(Gifford, pp.36-37)이라고 했는데, 이는 일부만 맞는 것이다. 왜냐하면 미국의 공립 초등학교만 아일랜드의 National School에 해당하고, 공립 중고등학교는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전국의 어린이들을 상대로 기초교육(a basic education with something of a practical emphasis for the majority of Irish Children)을 하는 학교를, 김정환처럼 직업 교육 위주의 국립학교(마치 국립기술중고등학교 정도로 들리지 않는가?) 라는 것도 이상하다. 영세 교육기관인 공립 초등학교와 비교했을 때, 주인공이 다니는 사립 초등학교 소속이 느끼는 우월감을 나타내는 문장이다.

 

네가∙∙∙∙∙∙만일 공립학교 아이라면 그럴 수도 있겠지만. (김병철)

만일 네가∙∙∙∙∙∙등학교 학생이라면 이해할 수 있다만. (김종건)

너희들이 혹시 국립학교(직업교육 위주의 학교 역주) 학생들이라면 (김정환)

공립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이 본다는 것은 수치스럽다고 (전은경: 물론 이 책은 번역본이 아니고 해설서지만 이런 사실(facts)은, 강의할 때처럼 기억에 의존한다면 몰라도, 책으로 나올 때는 틀리면 안될 것이다. 반대로 해석했다.)

 

 

6. (Joe Dillon) and his fat younger brother Leo the idler(p.11)

and Leo Dillon was to tell his brother to say he was sick. (p.13)

Dillon 형제 중에서 Joe가 형이고, Leo가 동생임을 알 수 있다. 아래를 보라.

 

레오 딜론은 동생한테 시켜 몸이 아프다고 말하기로 했다. (김병철)

 

 

7. 고유명사(地名)의 번역: the Canal Bridge, the Wharf Road, the Vitriol Works (pp.13-14)

 

운하 다리, 부둣가, 유산염 공장 (김병철)

운하교, 부둣가, 황산염 공장 (김종건)

커낼 브릿지, 와프로(路), 비트리올 공단 (김정환)

왕립 운하 다리(Royal Canal Bridge), 부두 도로(Wharf Road) (전은경)

 

이것도 보자: the Pigeon House, the North Strand Road(pp.13-14).

 

피진 하우스 발전소, 노스 스트랜드 가(街) (김병철)

피전하우스 발전소, 노스 스트랜드 가도 (김종건)

피젼 하우스, 노쓰 스트랜드 로 (김정환)

피전 하우스(Pigeon House), 북 해변 도로(North Strand Road) (전은경)

 

책 전체를 통해 나타나는 지명(地名) 고유명사 번역의 혼란 중 일부이다. 번역에 그나마 원칙이 있는 것은 김정환 전은경인데, 나머지 두 사람은 편의대로 그냥 왔다 갔다(의역했다, 음역했다) 하는 데다가 그 혼란한 항목마저 똑 같다(필자가 이 두 번역본을 어디에선가 베낀 것으로 의심하는 이유 중 하나). 필자의 의견은 고유명사는 음역하되, 독자의 이해 편의를 위해 처음 나올 때만 괄호 안에 한글 뜻을 병기하고 그 다음부터는 그냥 고유명사로 취급해서 음만 적는 것이 합리적이 아닐까 하는 것이다.

 

(예) 처음: 커낼 브리지(로얄 운하의 다리 중 하나), 그 다음부터 계속: 커낼 브리지

 

 

8. Mahony used slang freely, and spoke of Father Butler as Bunsen Burner. (p.14)

번역부터 먼저 보자.

 

머호니는 거리낌없이 상말을 썼으며, 버틀러 신부를 번저 영감이라고 불렀다. (김병철)

머호니는 속어를 마구 사용했으며, 버틀러 신부를 번저 영감이라고 불렀다. (김종건)

마호니는 은어를 거리낌없이 썼고 버틀러 신부를 번써 영감이라고 불렀다. (김정환)

 

이 부분이 판본 문제다. 초창기 판본에 나왔던 ‘old Bunser’는 후일 ‘old Bunsen(화끈한 분젠버너 같은 영감)’이 잘못 표기된 것으로 생각되었고, 이마저 스콜즈본에서는 아예 ‘Bunsen Burner’로 교정된다. ‘Bunsen Burner(분젠 버너)’는 1855년 독일의 ‘R.W. Bunsen’에 의해 발명된 강력한 가스 버너로, 화력이 좋아 화학실험실에서 사용되었고, 후일 각종 버너의 기본이 되었으며 ‘분젠등(燈)’이라고도 한다. 위의 책 역자들이나 그 시대와는 달리 요즘 독자들은 “검색창에 ‘분젠 버너’라고 쳐보면” 금방 알 수 있다. 이 버너의 화력을 버틀러 신부의 성질에 빗대고, ‘Butler-Burner’의 운율을 맞춘 별명으로, 이윤기 장편소설 『하늘의 문』에 나오는 성질 화끈한 외국신부님의 별명 ‘불칼 신부’라는 말과 얼추 비슷할 것 같다. ‘성질 화끈한 버너(세게 읽으면 빠나) 신부 버틀러’.

한편 이번 글부터 빼기로 한 임병윤 역본에는 ‘기차 화통 영감’이라 되어 있는데 이도 저도 아닌 근거 없는 번역이다.

조이스의 우리나라 번역은 이미 1930년대에 “The Boarding House(하숙집, 최정우 역)”, “Counterparts(샐러리맨, 양주동 역)”, 그리고 역자 미상의 “A Little Cloud”가 나옴으로써 시작되었다(역본 1, 작품 해설, p.308). 또 1960년에 부분 번역본인 『더블린 사람들(여석기, 나영균 공역, 동아출판사)』이 나왔고, 최초의 완역서는 역시 1960년에 나온 『따브린 사람들(박시인 역, 을유문화사)』이라 한다. 특히 이 후 번역본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 것(아마 여기서 다른 역본들이 주로 베꼈다는 뜻이리라—필자)으로 생각되는 박시인 역본의 경우 적지 않은 오역과 원문 누락 등 부정확한 부분이 일관되게 나타나고 있어 작품 이해에 지장을 줄 정도이며, 가독성과 작품 이해에서도 크게 미흡하다고 한다(좋은 번역, pp. 411-414). 필자의 사정상 이 초기 번역본들을 참조하지 못한 점은 아쉽다. 
 

 

9. I came back and examined the foreign sailors to see had any of them green eyes for I had some confused notion. (p.15)

 

우선 문법적으로 밑줄 부분을 생각해 보자. (to see) Have they green eyes?(미국식으로는 하면 Do they have green eyes?)를 간접화법으로 바꾸면, (to see) if any of them had green eyes가 되고, 여기에서 if를 생략하고 주어 동사 도치를 일으켰다고 생각하든지(If I were you를 Were I you로 도치하는 것과 같은 문법 현상), 아니면 직간접 화법이 혼합된 조이스 특유의 자유간접화법(free indirect discourse)으로 봐도 좋다.

 

한편 여기서 green eyes가 뜻하는 바를 모르면 문장의 속뜻 이해가 어려울 것이다. 호머의 서사시 주인공이자, 바로 조이스 필생의 테마인 오디세이(율리시스)가 바로 녹색 눈을 가졌다고 하며, 이는 항해와 모험을 암시한다는 것이 통설이지만, 역주를 단 책은 없다. 뒤에 다시 괴짜 영감이 암록색 눈을 가진 것까지 합해서 두 권의 해설서(민태운, 전은경)에는 언급이 된다.

 

 

10. All right! All right! (p.15)

김병철(p.28)의 번역이 재미 있고 옛날 생각이 나게 해서 옮겨 본다. 오라이! 오라이!

 

옛날하고도 옛날, 전철이라고는 없던 시절, 시내 버스에 안내양(그때는 차장이라 했다)이 있었고, 버스가 대중 교통의 주종이라서, 출퇴근길, 등하굣길 버스는 엄청 붐볐다. 요즘 지하철 한창 붐빌 때는 저리 가라 할 정도였고, 차비 받는 것 외에도, 일본 지하철에서 사람 밀어 넣고 문 닫는다는 push man 역할을 이 안내양들이 겸했었다. 마지막 승객을 다 밀어 넣은 안내양은 자신이 올라타기 직전에 꼭 차체를 손바닥으로 두들기며 외쳤다. 오라이! 오라이! 요즘도 가끔 차량과 관련된 곳에서는 이 용어를 들을 수 있다.

 

 

11. when we reached the field we made at once for a sloping bank over the ridge of which we could see the Dodder. (p.16)

 

(우리는) 들판에 다다라 곧 경사진 둑 쪽으로 향했는데, 그 산마루 너머로 저만치 도더 강이 보였다. (김병철)

(우리는) 들판에 도착하자 이내 경사진 둑 쪽으로 향했다. 그곳 산등성이 너머로 도더 강을 볼 수 있었다. (김종건)

우리는 즉시 경사진 둑을 향해 갔고, 그 등성이 너머로 도더강(리피강의 지류 중 하나 역주)이 보였다. (김정환)

 

원래 문장을 둘로 쪼개보자(관계사절은 머리 속으로 이렇게 해보면 이해가 쉽다).

We made at once for a sloping bank.

We could see the Dodder over the ridge of the sloping bank.

sloping bank가 두 번 나오므로 관계사를 이용하면 한 문장으로 만들 수 있다. 전치사 of의 목적어이므로 of which로 바꿀 수 있다. 의미단위인 over the ridge of which가 앞으로 나가면 원래 문장이 된다. 즉 무엇의 ridge(능선)냐 하면 경사진 둑의 마루/등마루/능선/등성이(ridge)란 말이다. ridge를 경직되게 산마루로 해석하니까, 이런 번역이 나오는 것이다. 도대체 둑에 웬 산마루, 산등성이란 말이며, 그것도 똑 같이 틀리고 말만 살짝 바꾼 것이 앞의 두 책이다.

 

 

12. He was shabbily dressed in a suit of greenish-black and wore what we used to call a jerry hat. (p.16)

둑 경사면에 앉아 쉬고 있는 두 아이들 앞에 괴짜 영감이 나타난 장면이다.

 

(그는) 푸르스름한 검은 양복의 초라한 차림에, 제리모라고 우리가 늘 부르던 꼭대기가 높은 모자를 쓰고 있었다. (김병철)

그는 푸르스름한 검정 양복을 초라하게 입고 있었고, 우리가 보통 제리 모자라 부르는 춤 높은 모자를 쓰고 있었다. (김종건)

그는 꾀죄죄한 검은 녹색의 옷을 입었고 우리가 보통 날림 벙거지라고 부르는 춤 높은 모자 쓰고 있었다. (김정환)

중절모에 초라한 검푸른 빛 양복을 입고 (전은경)

 

 

Jerry hatround, stiff felt hat (Gifford, p.39. Brown, p.250), 즉 모양이 둥글고, 속에 심을 넣어 춤(모자의 꼭대기 = crown), 챙 또는 테두리(= brim) 등이 일그러지지 않고 단단하며, 양모, 동물의 털, 합성 섬유 등을 섞어 겉에 보풀이 일도록 짠 펠트 천으로 만든 춤이 높은 모자로 우리말로는 중산모(中山帽)라고 한다. 이는, 원래는 실크(silk)로 만들고 품이 아주 높으며 귀족들만 쓰던 최고급모자였지만 요즘은 주로 마술사들이 재료보다는 모양만 흉내 내어 쓰는 top hat(실크 해트)보다는 격이 낮은 모자다. 설명은 길었지만 찰리 채플린 모자가 이 jerry hat이었으며, derby hat, bowler hat도 이와 같은 것이다. 앞의 두 책은 그런대로 직역해버렸지만, 이번에는 김정환이 이상한 번역을 했다. 벙거지는 원래 우리나라 옛날 장수들의 전립(戰笠)을 말하였지만, 그냥 요즘은 모자라는 뜻으로도 쓰이며, 날림이란 모자를 머리 한쪽에 비뚜름하게 쓴 모양을 일컫는다. 벙거지를 삐딱하게 쓴 외국사람은 우리나라 민속촌에서나 볼 수 있는 것 아니겠는가? 모자의 중간이 딱딱하지 않고 가장 격이 낮은 중절모(中折帽 = soft felt hat, fedora) 따위야 날림으로도 쓰겠지만, jerry hat은 딱딱해서 날림으로 쓰기 어려울 뿐더러 원문에도 날림이란 말은 없다. 더구나 벙거지춤이 높은 모자도 아니다. 우리말 사용이 나쁘다는 것이 아니라, 글이란 앞뒤 전체가 호응을 해야 한다는 말이다. 김정환이 이렇게 불쑥 순 우리말을 쓴 다른 예를 들면, 가납사니(gossip, p.37), 흘게 늦은(slatternly = 몸가짐이 헤픈, p.70) 외에도, 찬장(safe, p.8), 살강(sideboard, p.13), 찬장(sideboard, p. 233) 살강(sideboard, p.233)처럼 같은 영어표현이 왔다 갔다 한 경우도 있다.

 

 

아래 사진은 앞에서부터 차례로 전립(벙거지), jerry hat(중산모, bowler hat, derby hat), 중절모(fedora), 그리고 실크 해트(top hat)이다.

 









 

 

 

 

 

  

 

13. I had to suggest going home by train before he regained any cheerfulness. (p.16)

이런 문장은 물론 뒤에서부터 해석하여 ~하기 전에 ~ 했어야만 했다라고 해도 되지만, 문장에 따라 앞에서부터 해석하여 ~ 해야만 했고 그러자 ~ 했다라고 하지 않으면 우스꽝스러울 때도 있다. 예를 보자.

 

그가 쾌활한 생각을 되찾아 장난을 하기 전에, 나는 갈 때는 기차를 타자고 제의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김병철)

나는 그가 쾌활한 기분을 되찾기 전에 기차를 타고 집으로 가자고 제의하지 않을 수 없었다. (김종건)

 

이 두 번역은 마치 그가 다시 쾌할 해질까봐 겁이 나서/두려워(lest he should gain any cheerfulness, for fear that he should gain any cheerfulness, for fear of his regaining cheerfulness) 미리 기차 탈 것을 제안한 것처럼 들린다. 이 걱정이 기우가 아닌 것이 실제 그런 역본이 있다. 우리가 논의에서 빼버리기로 했지만 위 8에서 언급한 임병윤 역본을 한번만 더 보자.

 

녀석이 다시 놀 기분이 생기면 안된다 싶어 갈 때는 기차를 타고 가자고 재빨리 말했다.

 

 

제대로 된 자연스러운 번역과 비교해 보자.

 

내가 전차를 타고 가자고 제안하고 나서야 (그는) 기분이 조금 나아졌다. (김정환)

 

 

기차 대신에 갑자기 전차(?)*가 나온 것은 조금 이상하지만(이 번역본 다른 어디도 train을 전차로 번역한 곳은 없다. 전차는 tram, streetcar, trolley car이다.) 어쨌든 문장이 무슨 뜻인지는 명확해졌다.

 

, 기차나, 전차나 그게 그거 아니냐?고 할 사람들을 위해 이 시기 더블린 근처의 전차(電車)에 대해 알아보자면, 우선 더블린 시내의 tram(궤도 마차) 1890년대 말부터 1900년대 초 사이에 전차로 바뀌었으며(Gifford, p.162), 시 외곽의 경우 더블린 중심에서 남동쪽으로 향하는 더블린-킹스타운-달키(Dublin-Kingstown-Dalkey)를 잇는 간선도로인 the Rock Road의 한복판에 tramtrack(궤도길)이 있었고, 말이 끄는 궤도차가 운행되다가, 1896년부터 전차(electric tram/tramcar)가 운행되었다는 기록이 있다(Gifford, p.161). 하지만, 지금 우연한 만남 이야기는 대략 1890년대 초, 더블린 시내에서 북동쪽으로 가는 철도선인 The Great Northern Railway 주변에서 진행되고 있다(Gifford, pp.24-25, 35). 증기기관이 산업혁명을 선도했던 만큼 1834년에 이미 건설이 시작된 아일랜드의 철도에서는 석탄을 연료로 증기기관차가 이끄는 열차가 다니고 있었다. 위 마차나 전차의 궤도(tramtrack, tramline, tramway)는 선로나 폭(幅)에서 철도(railway)와는 물론 다르다.

 

한편 Portrait 2장 앞에 보면 바로 이 tramtrack 이야기가 나오는데, 시간상 이 때도 역시 1890년대 초이지만 위의 이야기보다는 순서상 앞선 시기이므로, 이 궤도 위로 말이 이끄는 마차가 다니던 때였다. “…he heard the mares hoofs clattering along the tramtrack on the Rock Road (James Joyce, A Portrait of the Artist As a Young Man, edited with an Introduction and Notes by Seamus Deane, Penguin Classics, 2003, p.67). 이상옥 역, 젊은 예술가의 초상, 민음사, 1판 21쇄, 2007. 3, p.102에는 위 문장이 암말의 발굽이 로크 로(路)의 철길*을 뚜벅뚜벅 걸어갈 때라고 번역되어 있다.

* 철길은 보통 철도(railway)를 말하지만, 마차 궤도 역시 쇠로 되어 있었으므로 철길로 간주할 수 있다. 로크 로의 궤도를 뚜벅뚜벅은 좀 이상하다.

 

또 바로 뒤에 이런 이야기가 나온다. “…from the window of the railway carriage, in which he had sat with his redeyed mother, Stephen had seen them( = 스티븐 가족의 이삿짐을 실은 마차) lumbering heavily along the Merrion Road.(James Joyce, 위 책, p.68). 울어서 눈이 벌겋게 된 어머니와 함께 타고 있던 객차의 창을 통해서 스티븐은 그 마차들이 메리온 로(路)를 따라 무겁게 덜컥거리며 지나가는 것을 지켜보고 있었다.(이상옥 역, 위의 책, p.103). 가세가 영락한 스티븐( = 조이스) 가족이 드디어 한갓진 중산층 교외 주택가인 Blackrock을 떠나 더블린 시내 빈민가로 이사를 가는 장면이다. Merrion Road는 위 단락의 Rock Road가 계속 이어지는 길로 해변과 철길 사이를 지나가기 때문에, 이삿짐은 짐마차에 실어 Merrion Road로 보내고, 철도로 가고 있는 주인공의 눈에 마침 차창을 통해 그 마차들이 보이는 우울한 풍경이다.

 

 

이야기가 너무 옆으로 흘렀다. 다시 번역으로 돌아가서 다른 걸 하나만 더 보자.

 

I had to call the name again before Mahony saw me and hallooed in answer. (p.20)

 

머호니가 나를 알아보고서 어, 하고 대답하기 전에 나는 또다시 그 이름을 부르지 않을 수 없었다. (김병철)

머호니가 나를 보고 어이하고 대답하기 전에 나는 다시 그의 이름을 부르지 않을 수 없었다. (김종건)

내가 이름을 다시 한번 부르고 나서야 마호니는 나를 보았고 대답으로 큰 소리를 질렀다. (김정환)

 

 

14. 너무 비판만 하는 것은 한쪽 눈을 감은 것과 마찬가지이니, 필자 생각에 번역이 잘됐다고 생각하는 부분을 한 군데 소개토록 하겠다.

 

하루 학교를 땡땡이치고 놀러 가기로 한 주인공 소년이 아침 일찍 약속장소인 다리에 와서 친구를 기다리는 장면이다. 비록 오후가 되면 엉망이 되겠지만 이 시점에서는 얼마나 기분이 부풀었겠는가?

 

It was a mild sunny morning in the first week of June. I sat up on the coping of the bridge, admiring my frail canvas shoes which I had diligently pipeclayed overnight and watching the docile horses pulling a tramload of business people up the hill. All the branches of the tall trees which lined the mall were gay with little light green leaves, and the sunlight slanted through them on to the water. The granite stone of the bridge was beginning to be warm, and I began to pat it with my hands in time to an air in my head. I was very happy. (p.13)

 

때는 6월 첫 주의 따뜻하고 맑은 아침이었다. 나는 다리 난간 꼭대기에 올라앉아 내가 밤새도록 열심히 백토칠을 한, 해지기 쉬운 운동화를 보면 감탄하거나, 또 일하러 가는 사람들을 가득 실은 마차를 언덕 위로 끌고 가는 유순한 말들을 쳐다보고 있었다. 산책길을 따라 쭉 늘어선 키 큰 나무들의 모든 가지들은 작고 연초록빛 나는 잎들로 반짝이는 듯 보였고, 햇빛은 비스듬히 그들 사이를 뚫고 물 위를 비추고 있었다. 다리의 화강암이 따뜻해지기 시작했다. 그러자 나는 머리 속의 곡조에 박자를 맞추어 두 손으로 돌다리를 가볍게 두드리기 시작했다. 나는 사뭇 행복했다. (김종건)

 

 

*          *          *

 

 

소년의 나이는 첫 단편의 소년보다는 연장자로 보이는데, 나이는 명확히 명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8살이나 9살 정도로 추측된다. (전은경)

 

이 단편에서 소년들이 다니는 학교의 모델은 조이스 자신이 다녔던 벨베데어 칼리지(Belvedere College)로, 예수회에서 운영하는 주간 학교(day school: 기숙 학교가 아님)이다(Gifford, p.36, Brown p.246). 비록 가정 형편 때문에 2년 정도 교육의 공백이 있었지만, 조이스가 이 학교에 입학한 것은 11세(1893년) 때였다.

 

 

독자 여러분께 자매와 이 우연한 만남의 주인공 소년의 극중 나이는 몇 살로 보이는지?

필자는 앞의 것에서는 7-8세, 뒤의 것에서는 10세 전후로 생각한다.

 

물론 위의 물음에는 의견은 있어도 정답이 있을 리 없고, 각자의 상상에 맡기는 것이 맞지만, 사람들은 조이스 책을 볼 때는 유난히 이런 걸 따지기 좋아하여, 어떤 책에 나오는 어떤 사람이 뒤의 어떤 책에 다시 나오며, 어떤 상점도 나오더라, 어떤 표현이 나오더라 등등 이러다 보니, 아무리 자서전적 요소가 강하다 하더라도 조이스의 유명한 책들이 주로 소설이라는 걸 잊어먹는 경향이 있다. 다른 말로 하면, 조이스 산업(Joyce Industry: 조이스 책의 판매, 해설, 해설서의 판매, 대학에서의 학위 따기 및 수여, 관련 논문, 관광산업에 이르기까지 조이스와 관련된 사업을 흔히 이렇게 부른다)은 오늘날 너무 번창해서, 그 상품인 수많은 주석들이 오히려 온전한 독서를 방해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나무를 너무 열심히 보면 숲을 놓치는 법이다. 우리가 다른 작가의 책을 볼 때도, 이렇게 많은 해설이 필요한지 생각해 보라. 물론 여기에는 조이스 자신의 기법인 self-referentiality(자기참조성)과 극도로 설명을 아낀 점도 작용하지만, 조이스 산업계가 부추긴 점도 있다.

 

하지만 아직도 우리나라에서는 제임스 조이스 하면 엄청나게 어려운 책을 쓴 괴물이나 돌아버린 천재 정도로 아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제임스∙∙∙, 누구?라고 할 사람도 많다는 점에서 조이스 붐은 없다고 본다. 필자도 위와 같은 현학적인 경향에 빠지지 않도록 영어공부에 주력하고, 주석은 꼭 필요하든지 틀리게 알려진 부분만 언급하도록 노력하겠다. 이런 점에서 아래 시(詩)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 시를 쓴 Patrick Kavanagh(1904-1967)는 조이스와 같은 아일랜드 출신으로, 어떤 조사에 따르면 예이츠(Yeats)에 뒤이어 아일랜드 사람이 좋아하는 시인 2위로 뽑힌 적이 있다고 한다.

 

 

Who killed James Joyce?

(누가 조이스를 죽였나?)

I said the commentator.

(내가 그랬어, 라고 평론가가 말했다.)

I killed James Joyce

(내가 그를 죽였다네)

for my dissertation.

(내 학위 논문을 위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번째 단편 “우연한 만남(An Encounter)”이다. 소년의 일탈 행동의 원인과 결과에 주의하고, 무렵에 등장하는 이상한 또라이 노인의 정체와 의미, 그리고 무슨 짓을 했기에 소년들이 놀라는지 생각해 보자.

 

 

An Encounter

 

 

It was Joe Dillon who introduced the Wild West to us. He had a little library made up of old numbers of The Union Jack, Pluck, and The Halfpenny Marvel. Every evening after school we met in his back garden and arranged Indian battles. He and his fat young brother Leo, the idler, held the loft of the stable while we tried to carry it by storm; or we fought a pitched battle on the grass. But, however well we fought, we never won siege or battle and all our bouts ended with Joe Dillon's war dance of victory. His parents went to eight o'clock mass every morning in Gardiner Street and the peaceful odour of Mrs Dillon was prevalent in the hall of the house. But he played too fiercely for us who were younger and more timid. He looked like some kind of an Indian when he capered round the garden, an old tea-cosy on his head, beating a tin with his fist and yelling:

 

`Ya! yaka, yaka, yaka!'

 

Everyone was incredulous when it was reported that he had a vocation for the priesthood. Nevertheless it was true.

 

A spirit of unruliness diffused itself among us and, under its influence, differences of culture and constitution were waived. We banded ourselves together, some boldly, some in jest and some almost in fear: and of the number of these latter, the reluctant Indians who were afraid to seem studious or lacking in robustness, I was one. The adventures related in the literature of the Wild West were remote from my nature but, at least, they opened doors of escape. I liked better some American detective stories which were traversed from time to time by unkempt fierce and beautiful girls. Though there was nothing wrong in these stories and though their intention was sometimes literary, they were circulated secretly at school. One day when Father Butler was hearing the four pages of Roman History, clumsy Leo Dillon was discovered with a copy of The Halfpenny Marvel.

 

`This page or this page? This page? Now, Dillon, up. "Hardly had the day"... Go on! What day? "Hardly had the day dawned"... Have you studied it? What have you there in your pocket?'

 

Everyone's heart palpitated as Leo Dillon handed up the paper and everyone assumed an innocent face. Father Butler turned over the pages, frowning.

 

`What is this rubbish?' he said. `The Apache Chief! Is this what you read instead of studying your Roman History? Let me not find any more of this wretched stuff in this college. The man who wrote it, I suppose, was some wretched fellow who writes these things for a drink. I'm surprised at boys like you, educated, reading such stuff! I could understand it if you were... National School boys. Now, Dillon, I advise you strongly, get at your work or... '

 

This rebuke during the sober hours of school paled much of the glory of the Wild West for me, and the confused puffy face of Leo Dillon awakened one of my consciences. But when the restraining influence of the school was at a distance I began to hunger again for wild sensations, for the escape which these chronicles of disorder alone seemed to offer me. The mimic warfare of the evening became at last as wearisome to me as the routine of school in the morning because I wanted real adventures to happen to myself. But real adventures, I reflected, do not happen to people who remain at home: they must be sought abroad.

 

The summer holidays were near at hand when I made up my mind to break out of the weariness of school life for one day at least. With Leo Dillon and a boy named Mahony I planned a day's miching. Each of us saved up sixpence. We were to meet at ten in the morning on the Canal Bridge. Mahony's big sister was to write an excuse for him and Leo Dillon was to tell his brother to say he was sick. We arranged to go along the Wharf Road until we came to the ships, then to cross in the ferryboat and walk out to see the Pigeon House. Leo Dillon was afraid we might meet Father Butler or someone out of the college; but Mahony asked, very sensibly, what would Father Butler be doing out at the Pigeon House. We were reassured, and I brought the first stage of the plot to an end by collecting sixpence from the other two, at the same time showing them my own sixpence. When we were making the last arrangements on the eve we were all vaguely excited. We shook hands, laughing, and Mahony said:

 

`Till tomorrow, mates.'

 

That night I slept badly. In the morning I was firstcomer to the bridge, as I lived nearest. I hid my books in the long grass near the ashpit at the end of the garden where nobody ever came, and hurried along the canal bank. It was a mild sunny morning in the first week of June. I sat up on the coping of the bridge, admiring my frail canvas shoes which I had diligently pipeclayed overnight and watching the docile horses pulling a tramload of business people up the hill. All the branches of the tall trees which lined the mall were gay with little light green leaves, and the sunlight slanted through them on to the water. The granite stone of the bridge was beginning to be warm, and I began to pat it with my hands in time to an air in my head. I was very happy.

 

When I had been sitting there for five or ten minutes I saw Mahony's grey suit approaching. He came up the hill, smiling, and clambered up beside me on the bridge. While we were waiting he brought out the catapult which bulged from his inner pocket and explained some improvements which he had made in it. I asked him why he had brought it, and he told me he had brought it to have some gas with the birds. Mahony used slang freely, and spoke of Father Butler as Old Bunser. We waited on for a quarter of an hour more, but still there was no sign of Leo Dillon. Mahony, at last, jumped down and said:

 

`Come along. I knew Fatty'd funk it.'

 

`And his sixpence... ' I said.

 

`That's forfeit,' said Mahony. `And so much the better for us - a bob and a tanner instead of a bob.'

 

We walked along the North Strand Road till we came to the Vitriol Works and then turned to the right along the Wharf Road. Mahony began to play the Indian as soon as we were out of public sight. He chased a crowd of ragged girls, brandishing his unloaded catapult and, when two ragged boys began, out of chivalry, to fling stones at us, he proposed that we should charge them. I objected that the boys were too small, and so we walked on, the ragged troop screaming after us `Swaddlers! Swaddlers!' thinking that we were Protestants because Mahony, who was dark-complexioned, wore the silver badge of a cricket club in his cap. When we came to the Smoothing Iron we arranged a siege; but it was a failure because you must have at least three. We revenged ourselves on Leo Dillon by saying what a funk he was and guessing how many he would get at three o'clock from Mr Ryan.

 

We came then near the river. We spent a long time walking about the noisy streets flanked by high stone walls, watching the working of cranes and engines and often being shouted at for our immobility by the drivers of groaning carts. It was noon when we reached the quays and, as all the labourers seemed to be eating their lunches, we bought two big currant buns and sat down to eat them on some metal piping beside the river. We pleased ourselves with the spectacle of Dublin's commerce - the barges signalled from far away by their curls of woolly smoke, the brown fishing fleet beyond Ringsend, the big white sailing vessel which was being discharged on the opposite quay. Mahony said it would be right skit to run away to sea on one of those big ships, and even I, looking at the high masts, saw, or imagined, the geography which had been scantily dosed to me at school gradually taking substance under my eyes. School and home seemed to recede from us and their influences upon us seemed to wane.

 

We crossed the Liffey in the ferryboat, paying our toll to be transported in the company of two labourers and a little Jew with a bag. We were serious to the point of solemnity, but once during the short voyage our eyes met and we laughed. When we landed we watched the discharging of the graceful three-master which we had observed from the other quay. Some bystander said that she was a Norwegian vessel. I went to the stern and tried to decipher the legend upon it but, failing to do so, I came back and examined the foreign sailors to see had any of them green eyes, for I had some confused notion... The sailors' eyes were blue, and grey, and even black. The only sailor whose eyes could have been called green was a tall man who amused the crowd on the quay by calling out cheerfully every time the planks fell:

 

`All right! All right!'

 

When we were tired of this sight we wandered slowly into Ringsend. The day had grown sultry, and in the windows of the grocers' shops musty biscuits lay bleaching. We bought some biscuits and chocolate, which we ate sedulously as we wandered through the squalid streets where the families of the fishermen live. We could find no dairy and so we went into a huckster's shop and bought a bottle of raspberry lemonade each. Refreshed by this, Mahony chased a cat down a lane, but the cat escaped into a wide field. We both felt rather tired, and when we reached the field we made at once for a sloping bank, over the ridge of which we could see the Dodder.

 

It was too late and we were too tired to carry out our project of visiting the Pigeon House. We had to be home before four o clock, lest our adventure should be discovered. Mahony looked regretfully at his catapult, and I had to suggest going home by train before he regained any cheerfulness. The sun went in behind some clouds and left us to our jaded thoughts and the crumbs of our provisions.

 

There was nobody but ourselves in the field. When we had lain on the bank for some time without speaking I saw a man approaching from the far end of the field. I watched him lazily as I chewed one of those green stems on which girls tell fortunes. He came along by the bank slowly. He walked with one hand upon his hip and in the other hand he held a stick with which he tapped the turf lightly. He was shabbily dressed in a suit of greenish-black and wore what we used to call a jerry hat with a high crown. He seemed to be fairly old, for his moustache was ashen-grey. When he passed at our feet he glanced up at us quickly and then continued his way. We followed him with our eyes and saw that when he had gone on for perhaps fifty paces he turned about and began to retrace his steps. He walked towards us very slowly, always tapping the ground with his stick, so slowly that I thought he was looking for something in the grass.

 

He stopped when he came level with us, and bade us good-day. We answered him, and he sat down beside us on the slope slowly and with great care. He began to talk of the weather, saying that it would be a very hot summer and adding that the seasons had changed greatly since he was a boy - a long time ago. He said that the happiest time of one's life was undoubtedly one's schoolboy days, and that he would give anything to be young again. While he expressed these sentiments, which bored us a little, we kept silent. Then he began to talk of school and of books. He asked us whether we had read the poetry of Thomas Moore or the works of Sir Walter Scott and Lord Lytton. I pretended that I had read every book he mentioned, so that in the end he said:

 

`Ah, I can see you are a bookworm like myself. Now,' he added, pointing to Mahony, who was regarding us with open eyes, `he is different; he goes in for games.'

 

He said he had all Sir Walter Scott's works and all Lord Lytton's works at home and never tired of reading them. `Of course,' he said, `there were some of Lord Lytton's works which boys couldn't read.' Mahony asked why couldn't boys read them - a question which agitated and pained me because I was afraid the man would think I was as stupid as Mahony. The man, however, only smiled. I saw that he had great gaps in his mouth between his yellow teeth. Then he asked us which of us had the most sweethearts. Mahony mentioned lightly that he had three totties. The man asked me how many I had. I answered that I had none. He did not believe me and said he was sure I must have one. I was silent.

 

`Tell us,' said Mahony pertly to the man, `how many have you yourself?'

 

The man smiled as before and said that when he was our age he had lots of sweethearts.

 

`Every boy,' he said, `has a little sweetheart.'

 

His attitude on this point struck me as strangely liberal in a man of his age. In my heart I thought that what he said about boys and sweethearts was reasonable. But I disliked the words in his mouth, and I wondered why he shivered once or twice as if he feared something or felt a sudden chill. As he proceeded I noticed that his accent was good. He began to speak to us about girls, saying what nice soft hair they had and how soft their hands were and how all girls were not so good as they seemed to be if one only knew. There was nothing he liked, he said, so much as looking at a nice young girl, at her nice white hands and her beautiful soft hair. He gave me the impression that he was repeating something which he had learned by heart or that, magnetized by some words of his own speech, his mind was slowly circling round and round in the same orbit. At times he spoke as if he were simply alluding to some fact that everybody knew, and at times he lowered his voice and spoke mysteriously, as if he were telling us something secret which he did not wish others to overhear. He repeated his phrases over and over again, varying them and surrounding them with his monotonous voice. I continued to gaze towards the foot of the slope, listening to him.

 

After a long while his monologue paused. He stood up slowly, saying that he had to leave us for a minute or so, a few minutes, and, without changing the direction of my gaze, I saw him walking slowly away from us towards the near end of the field. We remained silent when he had gone. After a silence of a few minutes I heard Mahony exclaim:

 

`I say! Look what he's doing!'

 

As I neither answered nor raised my eyes, Mahony exclaimed again:

 

`I say... He's a queer old josser!'

 

`In case he asks us for our names,' I said, `let you be Murphy and I'll be Smith.'

 

We said nothing further to each other. I was still considering whether I would go away or not when the man came back and sat down beside us again. Hardly had he sat down when Mahony, catching sight of the cat which had escaped him, sprang up and pursued her across the field. The man and I watched the chase. The cat escaped once more and Mahony began to throw stones at the wall she had escaladed. Desisting from this, he began to wander about the far end of the field, aimlessly.

 

After an interval the man spoke to me. He said that my friend was a very rough boy, and asked did he get whipped often at school. I was going to reply indignantly that we were not National School boys to be whipped, as he called it; but I remained silent. He began to speak on the subject of chastising boys. His mind, as if magnetized again by his speech, seemed to circle slowly round and round its new centre. He said that when boys were that kind they ought to be whipped and well whipped. When a boy was rough and unruly there was nothing would do him any good but a good sound whipping. A slap on the hand or a box on the ear was no good: what he wanted was to get a nice warm whipping. I was surprised at this sentiment and involuntarily glanced at his face. As I did so I met the gaze of a pair of bottle-green eyes peering at me from under a twitching forehead. I turned my eyes away again.

 

The man continued his monologue. He seemed to have forgotten his recent liberalism. He said that if ever he found a boy talking to girls or having a girl for a sweetheart he would whip him and whip him; and that would teach him not to be talking to girls. And if a boy had a girl for a sweetheart and told lies about it, then he would give him such a whipping as no boy ever got in this world. He said that there was nothing in this world he would like so well as that. He described to me how he would whip such a boy, as if he were unfolding some elaborate mystery. He would love that, he said, better than anything in this world; and his voice, as he led me monotonously through the mystery, grew almost affectionate and seemed to plead with me that I should understand him.

 

I waited till his monologue paused again Then I stood up abruptly. Lest I should betray my agitation I delayed a few moments, pretending to fix my shoe properly, and then, saying that I was obliged to go, I bade him good-day. I went up the slope calmly but my heart was beating quickly with fear that he would seize me by the ankles. When I reached the top of the slope I turned round and, without looking at him, called loudly across the field:

 

`Murphy!'

 

My voice had an accent of forced bravery in it, and I was ashamed of my paltry stratagem. I had to call the name again before Mahony saw me and hallooed in answer. How my heart beat as he came running across the field to me! He ran as if to bring me aid. And I was penitent; for in my heart I had always despised him a little.

 

 

 

 

 

 

* 아래의 단어 말고도 모르는 것이 많다면, “내 단어는 멀었다”고 생각하세요.

 

2. An Encounter

number

잡지의 호 ( = issue)

 

carry

빼앗다, 적의 요새를 함락하다

 

pitched battle

회전; 대격전, 전면 충돌(대결)

an intensely fought battle in which the opposing forces are locked in close combat in predetermined positions at a chosen time and place (양방이 사전에 선택한 장소와 시간에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근접 전투로 교착 상태를 이룬 채 싸우는 치열한 전투)

 

tea cosy

(茶) 덮개(보온용의 솜을 둔 주머니)

(AmE) tea cozy

constitution

체질, 체격; 구성; 정체, 헌법; 설립 규약

 

jest

joke; mockery

 

college

대학; 영국의 사립 학교(public school)

 

National School

아일랜드의 초등학교(primary school)

* 영국의 공립 학교. state school (사립학교는 public school or college)

* 미국의 공립학교는 public school, 사립학교는 private school

miching

영국 방언. lurk out of sight, hide or skulk cowardly. playing hook(e)y/truant. 숨다, 수업 빼먹다.

miche-miched-miched.

coping

난간, 담장의 맨 위, 꼭대기/가로대

 

pipeclay

파이프 점토(담배 파이프 제조용이며 가죽 제품을 닦는 데도 쓰임)

 

the mall

a street on the south side of Dublin’s Royal Canal

 

air

melody, song, tune

 

gas

(俗) fun

 

bob

(英俗) 1 shilling = 12 pence = 1/20 pound

 

tanner

sixpence짜리은화/백통화

원래는 은화, 점점 구리/니켈이 섞임. 이때는 은화.

Vitriol Works

a north Dublin chemical factory

 

swaddler

Dublin slang for Protestants.

예수가 간난아기였을 때 배내옷 또는 강보(swaddling clothes)에 싸인 모습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음

cricket

크리켓. a game associated by the Irish with the English conquest of their country

 

Smoothing Iron

a bathing place on Dublin Bay’s north side

 

currant

건포도. raison

 

right skit

(英俗) great fun.

 

legend

전설; 설명, 범례; 명문(inscription),

새긴 글

 

the Liffey

더블린을 가로 지르는 강 이름

 

green eyes

오디세이(율리시스)가 녹색 눈을 가졌다는 데서 유래되어, 항해와 모험을 암시

 

the Doddler

Liffey강 어귀에서 합류되는 지류 이름

 

jerry hat

a stiff felt hat (펠트를 재료로, 속에 심을 넣어 딱딱하게 만든 운두 높은 모자. 찰리 채플린이 썼던 모자)

bowler hat, derby hat, iron hat과 비슷하다                  

bade

bid-bid-bid, or bid-bade-bidden

 

go in for

좋아하다, 즐기다, 열중하다

 

totties

(영속) girlfriends. 또는 고급 창녀

 

josser

(영속) 사내, 녀석, 놈. lad, fellow, guy.

 

desist

stop

 

box

때리기, 귀싸대기

 

twitch

홱 잡아다니다; 씰룩거리다, 경련하다

 

paltry

하찮은, 사소한, 무가치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비(paralysis)라는 책 전체 주제를 잘 제시하고 있는 첫 번째 단편이다. 역시 책 전편을 통해 자주 나타나는, 색깔의 이미지도 주목하라.

 

여기서 신부의 죽음에서 시작해서 마지막 단편 The Dead(죽은 자)로 순환하는 죽음(death)이 우선 눈에 띄지만, 노처녀(여기서의 Nannie와 Eliza 자매)에서 노처녀(The Dead Julia와 Kate)로 끝나는 내용 역시 불모(不毛)의 순환을 보여준다. Dubliners는 단순한 단편 모음집이 아니고 전체로서의 통일성(unity as a whole)을 가진, 단편으로 이루어진 장편이다.

 

<범례> * 이 글 시리즈의 처음인 더블린 사람들 (序) - 꼼꼼한 텍스트 읽기 참조.

김병철: 더블린 사람들, 문예출판사, 3판 1쇄, 1999. 2

김종건: 더블린 사람들 비평문, 범우사, 2판 4쇄, 2005. 8

김정환: 김정환 성은애, 더블린 사람들, 창작과 비평사, 2쇄 1995. 9

임병윤: 더블린 사람들, 소담출판사, 초판 1쇄, 2005. 7

민태운: 조이스의 더블린: 더블린 사람들 읽기, 태학사, 2005. 4

전은경: 전은경 홍덕선 민태운, 조이스 문학의 길잡이: 더블린 사람들, 동인, 2005. 6

Gifford: Don Gifford, Joyce Annotated: Notes for ‘Dubliners’ andA Portrait of the Artist as a Young Man’, 2nd e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2

Brown:James Joyce, Dubliners with an introduction and notes by Terence Brown, Penguin Classic, 1993에 있는 테렌스 브라운 교수의 서문(introduction) 및 주석(notes).

(대조검토용으로 표시하고 있는 원문의 페이지도 이 책의 것이다.)

Companion: Derek Attridge ed., The Cambridge Companion to James Joyce, 2nd ed. 3rd print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Gifford, Brown 외국 저자의 책이나 영문 웹사이트의 한글 번역은 모두 필자가 )

 

1. 제목 복수형 명사의 취급

 

우리말에서 명사의 복수형 어미()는 셀 수 있는 명사라도 앞에 수사(數詞)가 없을 경우에만 쓰이고, 앞에 수사가 있으면 중복(redundancy)으로 보아 쓰지 않는다. 즉, 두 사람들이 아니라 두 사람으로 쓰지만, 사람들, 그 사람들한 사람, 그 사람과 구분을 위해 쓴다. 또 자체로 복수의 의미를 지닌 자매* 같은 말에 대해 을 붙이면 이는 여러 집에서 온 자매 1, 자매 2…’의 뜻이 되지만, 워낙 요즘은 영어 영향으로 구분 없이들 쓰니까(아래의 자매들, 두 건달들, 두 한량들) 굳이 이걸 시비하려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마지막 The Dead의 번역은 내용 해석과도 관계되므로 단복수 여부가 중요하다**. 넷은 복수로, 둘은 단수로 썼는데, 이 내용 및 다른 몇몇 제목은 그 이야기를 다룰 때 다시 거론하겠다.

 

구분

Dubliners

The Sisters

Two Gallants

Counterparts

The Dead

김병철

더블린 사람들

자매

두 부랑자

분풀이

사자(死者)

김종건

더블린 사람들

자매들

건달들

짝패들***

죽은 사람들

김정환

더블린 사람들

자매

두 건달

상응

죽은 사람들

임병윤

더블린 사람들

자매

두 건달들

분풀이

사자(死者)

민태운

더블린 사람들

자매

한량들

대응

죽은 사람들

전은경

더블린 사람들

자매

두 한량

대응

죽은 사람들

 

* 다음은 국립국어연구원의 표준국어대사전(네이버에 탑재되어 있다) 설명이다.

자매(姉妹) [명사] : 여자끼리의 동기(同氣). 언니와 아우 사이를 이른다.

그녀들은 꼭 닮은 쌍둥이 자매다.

두 계집아이는 항상 붙어 다녀서 마치 자매처럼 보였다.

** 필자는 이야기 속의 실제로 죽은 사람들과, 육체적으로 살아 있으면서도 정신적으로 죽은 삶들을 통칭함으로써, 이 제목을 복수로 읽는다. (김종건, pp.370-371)

*** 짝패는 짝을 이루는 둘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가리킬 수 있다.

 

 

2. Malapropism (말의 오용: 誤用)

 

문법적으로 틀린 문장(비문: 非文)이 아니라, 헷갈리는 비슷한 단어를 대신 씀으로써 우스워진 표현을 말하며, 화자(話者)의 낮은 지식수준을 암시하거나 또는 풍자를 위한 기법이다. 우리 쪽에도 이런 것이 있는데, 흥미진진(興味津津)흥미률률(興味律律), 호시탐탐(虎視眈眈)호시침침(虎視沈沈)으로 쓴다면(실제 1974년 우리들의 시대라는 청춘소설-요새말로 고딩소설이다-에서 별들의 고향, 고래사냥, 길 없는 길, 잃어버린 왕국, 왕도의 비밀의 작가 최인호가 썼던 표현으로 필자 기억에 남아있다), 이는 헷갈리는 한자음을 이용한 malapropism이다. 전편을 통해 이 첫 번째 이야기에서 두 번, 나중에 "선거사무실에서의 파넬 추모일(Ivy Day in the Committee Room)에서 한번 나오며, 여기서는 화자인 Eliza 할머니의 낮은 교육수준을 암시한다. 역주로 달아줘야 번역본을 보는 독자들이 이해를 할 수 있지만, 번역본 중에서는 한 군데만 역주를 단 책이 딱 한 권, 두 군데 다 역주를 단 책은 하나도 없었다. 한편 해설서 두 권을 보면 변죽만 울리고 있는 것으로 보아 수업시간에 다룰 계획으로 보이는데*, 영어교수님들 수업 밑천까지 터는 것 같아 약간 죄송하다.

* 프리만스 저널(Freemans Journal)을 프리만스 제너럴(Freemans General)이라고 하는 둥 두 번이나 말을 오용함으로써 무식을 드러낸다. (민태운, p.38)

* 일라이저는 몇 번 잘못된 어휘를 사용하고 있다. 그곳을 지적하고, 그와 같이 잘못된 어휘를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전은경, p. 79, 토론 주제 4번 문제)

 

(1) the Freemans General (p.8) ⇒ the Freemans Journal (and National Press):

 

A Mother(pp.142-143): 김병철(p.192-193), 김종건(pp.175-176), 김정환(pp.182-184), 임병윤(pp.236-238)에도 나오고, Grace(p.157, p.172): 김병철(p.211, p.230) 김종건(p.191, p.208), 김정환(p.201, p.220), 임병윤(p.258, p.285)에도 나오는 실제 더블린 일간지 이름으로 중하층 카톨릭계 민족주의 신문. 교회사 및 성직자의 사망에 관한 기사를 많이 실었다고 한다. 역자들이 조금만 더 꼼꼼했더라도 하는 아쉬움이 있다.

 

『프리맨즈 저널』(김병철, p.17) 역주 없이 아예 고쳐서 번역해버렸다.

《프리먼즈 제너럴》(김종건, p.28) “더블린에서 발간되는 주요 일간지 《프리먼즈 저널》을 잘못 말한듯함”이라고 각주를 달았다.

『프리맨즈 제너럴』지(誌) (김정환, p.14) 역주가 없을뿐더러 한자도 틀렸다. 일간지(일간신문)의 지는 ‘종이 紙’를 쓰고, 잡지의 지는 ‘기록할 誌’를 쓰는데, 일간신문을 ‘誌’라고 했다.

《프리먼즈 제너럴》(임병윤, p.22) 아무 설명이 없다. 

 

(2) If we could only get one of them new-fangled carriages that makes no noise that Father O’Rourke told him about - them with the rheumatic wheels - for the day cheap, he said, at Johnny Rush’s over the way there…(p.9)

 

오로크 신부님이 오빠에게 얘기한, 바퀴에 바람을 넣은 그 소리나지 않는 신식마차 하나를 저 길 건너 조니 러시네 가게에서 그날 하루 싸게 빌려서 (김병철, p.19)

오러크 신부님이 오라버님한테 말한 적이 있는, 바람 넣은 바퀴가 달린 그 신식 마차를 길 건너 조니 러쉬 상점에서 하루 동안 값싸게 빌려가지고(김종건, p.29)

오루크 신부님이 그에게 얘기해주었다는 그 소리 안 나는 최신형 마차, 바퀴에 바람을 넣은 푹신푹신한 그 마차를 우리가 한 대 구할 수만 있었으면 (김정환, p.16)

오로크 신부님이 이야기해준, 소리 나지 않는 고무바퀴로 가는, 그 최신식 마차를 길 건너편 조니 러시네 가게에서 하루 동안 싸게 빌리기만 하면(임병윤, p.24)

 

rheumatic이란 단어는 류머티즘에 걸린이란 뜻이 전부다. 역주를 단 책는 없지만 어쨌든 바람을 넣은으로 번역은 되어 있고, 한술 더 떠 고무로 만든으로 해놓은 책도 있다(어딘가에서 베낀 증거 중 하나). 이는 발음이 비슷한 pneumatic(공기의, 공기가 들어있는, 압축공기가 든)이란 단어를 malapropism으로 쓴 것으로 보통 해석하며, 또 이를 인정하면서도, 그냥 되지도 않는 넌센스로 볼 수 있다는 사람도 있다. (Brown, p.244). 류머티즘에 걸린 바퀴라면 주제인 마비와도 잘 관련되므로, 필자는 Brown의 단서의견에는 찬성하지 않는데, 유명한 조이스 전기인, Richard Ellmann, James Joyce, 2nd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Paperback with corrections, 1983, p.43에 보면 이런 문구가 있기 때문이다.

Joyce has in mind the fact that Eddie Boardman(*조이스가 North Richmond Street, Dublin에 살던 12살 때, 같은 동네의 친구 필자) was famous through all north Dublin because his was the first pneumatic-tired bicycle in the neighborhood.

 

 

3. the third stroke (p.1)

 

stroke뇌졸중(apoplexy) (전은경, p.62)이 가장 가까운 뜻이지만, 쉽게 발작(김정환 p.5, 전은경 p.57)이라는 표현도 쓸 수 있다. 뇌졸중이 모두 뇌출혈( = 뇌일혈. bleeding/hemorrhage in brain) (임병윤 p.9)인 것은 아니지만, 졸도( = faint, swoon, syncope) (김병철 p.7, 김종건 p.19)는 그보다 더 먼 느낌이다. 보통 발작의 결과가 마비이지만, 거꾸로 (일부 견해에 따르면 조이스 자신을 평생 괴롭히고 삶과 문학을 결정지은*) paresis(매독성 진행마비)에서 발작이 온 것으로 보는 사람도 있다. (Gifford, p.29)

* Kathleen Ferris, James Joyce and the Burden of Disease, Lexington: Th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1995. (이 책을 요약한 Vivian Pigott의 아래 웹 페이지 글에서 재인용. 이는 노스 캐롤라이나 대학원 조이스 강의 보고서지만 웹 페이지의 특성상 언제까지 계속 실려있을지는 알 수 없다.)

(http://www.uncg.edu/eng/courses/relangen/eng657/reports/vpiggott.htm)

 

 

4. It(=Paralysis) had always sounded strangely in my ears, like the word gnomon in the Euclid and the word simony in the Catechism. But now it sounded to me like the name of some maleficent and sinful being. It filled me with fear, and yet I longed to be nearer to it and to look upon its deadly work. (p.1)

 

유명한 구절이다. 다른 책들은 비교적 원문에 충실한 번역을 한 반면, 임병윤의 번역은 젊은 층의 기호에 맞게 매끄러울 지는 몰라도 충실성이 많이 떨어지므로, 영어학도들에게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책 전체를 통해 그의 이런 경향은 계속된다.

 

그것(=마비)은 유클리드 기하학의 경절형(磬折形: 평행사변형의 한 귀퉁이에서 닮은꼴의 평행사변형 하나를 잘라낸 모양-역주)*이나 교리문답의 성직매매라는 단어처럼 언제나 내 귀에 이상하게 들렸었다. 하지만 이제 그것은 어떤 나쁜 짓을 하는 죄받을 존재의 이름처럼 내게 들렸다. 그것이 나를 두려움으로 가득 채웠고, 그런데도 난 좀더 가까이 가서 그것의 치명적인 작업을 구경하고 싶었다. (김정환, p.5)

 

그건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말하는 노몬(gnomon, 평행사변형의 한 모서리를 전체와 닮은 꼴로 잘라낸 그 나머지 부분)이라는 말이나 교리문답서에 나오는 시모니(simony, 성직매매죄)라는 말처럼, 알 듯하면서도 아주 헷갈려버리는 그런 느낌이었다. 그런데 이제는 그 말이 뭔가 죄악으로 가득 찬 존재들이 겪어야 하는 숙명적인 업보 같다는 느낌이 들었다. 그러자 온 몸에 소름이 돋으면서, 무시무시한 고통이 과연 어떤 느낌일까 하는 생각 속으로 점점 빨려 들어가는 것이었다. (임병윤, p.10)

 

* 경절형(磬折形)김정환의 역주대로 평행사변형의 한 귀퉁이에서 닮은꼴의 평행사변형 하나를 잘라낸 모양이라는 것은 어디서 나온 이야긴지, 그 근거가 궁금하다. 경절(磬折)석경(石磬)처럼 몸을 90도로 꺾어 삼가 공경하는 예를 표하는 것. 석경은 고대의 악기(樂器)로서 모양이 기역자처럼 생겼음(네이버 용어사전)이 필자가 찾아본 내용이다. 이에 따르면, 경절형은 아무리 gnomon처럼 이상하게 들리는 효과는 있어도 그 다른 뜻인 해시계의 침(침과 땅 위의 그림자는 항상 기역자, 즉 90도를 이룬다. 경절형 해시계란 용어도 확인할 수 있었다)이다. 그렇다면 gnomon은 그냥 노몬으로 번역할 수밖에 없다. 아무리 인터넷을 검색해봐도 더 이상 뜻은 나오지 않지만, 혹 우리나라, 일본, 아니면 중국의 수학계(數學界)에서 이런 생경한 용어를 쓰는지는 모르겠다. 아시는 분 있으면 댓글로 달아주시길.

 

 

5. - Let him learn to box his corner. Thats what Im always saying to that Rosicrucian there. (p.2)

 

우선 box his corner는 무슨 뜻일까? Gifford(p.30)에 따르면 여기서 cornershare(몫) 또는 proceeds(수익)을 뜻하는 slang(속어)이라고 한다. 또 box는 동사일 때 상자 같은 곳에 채워 넣다. 따라서, 자기 몫을 하다, 세상사에 영악해지다(go out and learn to make a living and get ahead in the world)는 뜻. 뒤의 저기 있는 저 장미십자회원 같은 애란 바로 앞의 him이며, 이 이야기의 화자(I)인 소년이다. box his corner의 번역은 김정환만 그나마 비슷하게 했고, 뒤의 Rosicrucian 번역에서도 김정환을 제외하고는 모두 마치 소년이 정말 장미십자회원이라고 여기는 듯하다. 하지만 소년의 몽상적인 면을 놀리면서 이대로 가면 향후 성직으로 진출할지 모른다는 암시라고 봐야 한다. (Gifford, p.30, Brown, pp.239-240)

 

아이들이란 아이들 분에 맞도록 해야죠. 이건 내가 밤낮 여기 장미십자회원에게 말하고 있는 말입니다. (김병철, p.10)

아이들은 제 분수를 지킬 줄 알도록 해야 해요. 이건 내가 언제나 장미십자회원*한테 말하고 있는 것이지요. (김종건, p.21): *근세 유럽에 있었던 신비주의적 국제 비밀결사 회원. 그들은 세속적 관심에서 탈피하여 일종의 심미론을 그 이상으로 삼았음.

제 앞가림은 제가 하도록 해야 한다는 거죠. 저는 항상 저 장미십자회원(1866년경 다시 유행한 중세의 교파 중 하나. 세속적인데 무관심하며, 사변적이고 몽상적이라는 의미 역주) 같은 애한테 맨날 그래요. (김정환, p.7)

애들은 애들답게 자라야 한다는 거죠. 이건 제가 장미십자회원인 저 조카애에게 정말 귀가 따갑도록 하는 이야기랍니다. (임병윤, p.13)

 

 

6. I felt that I too was smiling feebly as if to absolve the simoniac of his sin. (p.3)

플린 신부가 죽었다는 것을 안 바로 그날 밤 소년이 잠을 잘 때 꿈을 꾸는 장면이다. 신부의 성직매매죄(simony)를 사면(absolve)할 수 있는 것은 교황만이 할 수 있다고 한다.

 

마치 성직매매자로서의 그의 죄를 씻어주려는 듯이 나도 한없이 미소를 짓고 있음을 느꼈다. (김병철, p.11) : 한없이힘없이의 오기/오타/오식일 것이다.

 

나 또한 마치 그의 성직매매의 죄를 사면(赦免)이라도 해주는 듯 픽픽 웃고 있음을 알았다. (김종건, p.22) : 사면이라는 용어는 정확하지만, 픽픽이란 여기 분위기와는 어울리지 않는다.

 

나는 나 자신도 희미하게, 마치 성직매매자의 죄를 사해주는 것처럼 미소짓고 있다는 걸 느꼈다. (김정환, p.8)

 

덩달아 실없이 웃음을 흘리고 있는 내 얼굴이 보였는데, 마치 그가 저지른 성직매매죄도 뭐 그럴 수 있다 표정이었다. (임병윤, p.14) : 역시 번역의 충실도 면에서 떨어진다. 아무리 읽기 쉬어도 충실도 없는 가독성은 영어학도에게는 가치가 없다. 또 진지한 문학 독자라면 충실하면서도 가독성이 높은 번역을 원하지 않겠는가?

 

 

7. Great Britain Street(p.3), July 1st, 1895(p.4), Irishtown (p.9)

 

소년이 다음날 아침 그레이트 브리튼(대영제국)가에 있는 플린 신부의 상가(喪家)로 가서 신부가 1895년 7월 1일 사망했음을 안다. 영국의 지배를 상징하는 이름을 가진 거리가 사실은 당시 더블린 최하층민이 사는 빈민가이며, 카톨릭에서도 거의 축출(파문?)당한 신부가, 원래 이 근처 아이리시타운에서 태어났다가, 인생유전을 거쳐 다시 말년에 여기서 비참하게 살았다는 사실은, 당시 영국과 카톨릭의 공모, 유착에 의한 아일랜드 지배의 불모성과 순환을 풍자한 것이라고 보인다. 이 거리는 지금은 아일랜드 애국자이자 조이스의 영웅이었던 Charles Stewart Parnell(13번째 단편 Ivy Day in the Committee Room 참고)의 이름을 따서 Parnell Street가 되었다고 한다(Gifford, p.31, Brown, p.240). 한편 이 날이 카톨릭의 축일(The Church Feast of the Most Precious Blood)이자, 1690년 보인 전투(Battle of Boyne)에서 카톨릭 아일랜드가 영국에 져서 식민지로 전락한 날짜라는 의미가 있는데(Gifford p.18, Brown p.240), 이에 대한 역주/해설은 번역본 아무데도 없지만, 민태운의 해설서( p.37)에는 언급되어 있다. 또 Irishtown은 고유명사인데 김종건을 제외하고는 모두 번역을 아이리시 타운으로 띄어서 했다.

 

김병철(pp.11, 19), 김종건(pp.22-23, 29), 김정환(pp.8-9,16), 임병윤(pp.14-15, p.24)

 

 

8. The reading of the card persuaded me that he was dead and I was disturbed to find myself at check. (p.4)

 

(플린 신부의 상가에 붙어 있는 사망을 알리는 )카드를 보고 비로소 신부의 죽음을 확신하게 되고, 그러자 자신이 (신부가 정말 죽었나) 확인/점검(check: an act of inspecting or verifying)하고 있다는 사실에 대해 기분이 나빠졌다는 뜻이다. 소년이 여기 온 목적이 무엇인지, 왜 몇 줄 뒤 슬프지도 않고 오히려 해방감을 느낀다고 했는지 앞뒤 문맥을 생각해 보면, at checkchecking the death of the Father로 보아야 할 것이지만, 그런 역자는 아무도 없고, 모두 하나같이 checked by something으로 보았는데, 한 사람이 틀리면 죽 틀린다는 것이 확인된다. 어째 돌려 베끼기라는 의심이 들지 않는가?

 

이 카드를 읽고 나니 그가 세상을 떠났다는 사실이 비로소 실감이 나서, 나는 별안간 길이 막힌 것만 같아 그 집안으로는 들어가지 못하고 잠시 망설였다. (김병철, p.12) : check의 다른 뜻인 방해, 저지, 억제로 잘못 해석하다 보니 원문에도 없는 엉뚱한 구절이 추가되었다.

 

이 쪽지를 읽고 나자 그분이 정말 돌아가셨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나 자신이 어떤 방해를 받고 있는 듯한 성가신 느낌도 들었다. (김종건, p.23)

 

그 쪽지를 읽으니 비로소 그가 죽었다는 것이 실감났고 나는 무엇엔가 제지당한 느낌에 혼란스러웠다. (김정환, p.9)

 

카드의 내용을 보고 나자 비로소 그가 죽었다는 걸 실감하였는데, 뭔가가 앞을 가로막는 듯한 느낌이 들면서 집 안으로 들어서기가 망설여졌다. (임병윤, p.15)

 

 

9. I walked away slowly along the sunny side of the street, reading all the theatrical advertisements in the shopwindows as I went. (p.4)

 

theatricaltheater의 형용사이기도 하지만, exaggerated(과장된), histrionic(연극조의)이란 뜻도 있어, theatrical advertisements극장/연극 광고일 수도 있지만, 과장된/연극조의 광고일 수도 있다. 당시 이 거리(Great Britain Street. 위의 7 참고)가 빈민가로서 영세한 상점이 많았다는 것과, 우리나라에서도 옛날 60년대 구멍가게 유리창에는 주로 극장의 영화광고로 도배되었다는 사실에서 유추하여 극장광고 쪽으로 기울기는 해도(상품이나 가게 자체 광고가 나온 것은 훨씬 뒤다), 정확히 어느 쪽인지는 필자도 자신이 없다.

 

김병철(p.12), 김종건(p.24), 임병윤(p.16)은 극장 광고, 김정환연극조의 광고(p.10)로 번역했다.

 

 

10. He had studied in the Irish college in RomeHe had told me storiesabout Napoleon Bonaparte(p.5)

텍스트에는 college가 소문자로 되어 있지만, the Irish college in Rome은 사실 고유명사. 로마에 여러 개의 아일랜드계 신학교가 있었던 것이 아니라, 1628년에 설립된 것이 딱 하나 있었으며, 19세기말에는 가장 촉망받는 신부들만 여기서 교육을 받을 수 있었다고 한다. 어느 책에도 역주가 없고 모두 그냥 보통명사로 취급하여 번역했다. Gifford(서문 p.viii 및 p.31의 해설에서는 아예 중간의 College를 대문자로 시작한다). Brown(p.241) 및 아래 사이트를 참조하라. 민태운에서만 이 사실이 반영되어 있다.

http://en.wikipedia.org/wiki/Irish_College_in_Rome

http://www.newadvent.org/cathen/08157a.htm

 

또 바로 뒤 뜬금없이 나온 나폴레옹 이야기도 이와 관련이 있는데, 이는 1789년 나폴레옹이 이 학교를 폐교시켰기 때문이다. 1828년 이 학교는 다시 문을 열었다(Gifford, p.33 및 위 사이트 참조). 이 사실 역시 역주로 단 책은 없다.

 

로마의 아일랜드계 신학교 (김병철, p.13)

로마의 아일랜드계 대학 (김종건, p.24)

로마의 아일랜드 성직자들을 위한 대학 (김정환, p.10)

로마에 있는 아일랜드계 신학교 (임병윤, p.17)

로마에 있는 아일랜드 신학대학(Irish College) (민태운, p.37)

 

 

11. The duties of the priest towards the Eucharist and towards the secrecy of the confessional seemed so grave to me (p.5)

여기서 confessional은 명사로 뜻은 고해소, 고해실이다. 김정환만 제대로 번역했다.

 

성찬식과 고해의 비밀에 관한 신부의 여러 가지 의무가 나에게는 엄숙하게 생각되어서 (김병철, p.13)

성찬식과 고해의 비밀에 관한 신부의 여러 가지 의무가 나에게는 너무나 준엄하게 느껴졌기(김종건, p.24)

성체성사에 대한, 그리고 고해소의 비밀에 대한 사제의 의무는 어찌나 장중해보였던지 (김정환, p.11)

성찬식을 주재하는 지위에 다다르기까지, 또 비밀을 끝까지 안고 가야 하는 고해성사를 담당하는 자리에 이르기까지 성직자들이 지켜야 하는 그 많은 의무들이 너무나 힘겹게 느껴졌기 (임병윤, p.17) : 역시 충실하지 않은 대충 번역으로 원문에 없는 이상한 표현이 삽입되었다.

 

 

12. Nannie received us in the hall; and, as it would have been unseemly to have shouted at her, my aunt shook hands with her for all. (p.6)

 

뒤의 문맥을 보면 Nannie는 귀가 멀거나 좋지 못한(deaf or hearing impaired) 상태이다(another paralysis!). 따라서 보통 때 같으면 큰 소리를 질러 인사했겠지만, 상가에 와서 그렇게 하기가 뭣했으므로 이번에는 그저 손을 잡는 것으로 끝냈다는 뜻의 문장이다(for all = once and for all = for once in a way = just for this once). 1904년 8월 The Irish Homestead라는 잡지에 실린 이 단편의 원본을 보면, 아예 Nannie가 almost stone deaf라서 it was no use saying anything to her이라고 나온다(Gifford, pp.289-293에 1904년 원본이 실려 있고, 이는 인터넷에서도 쉽게 구할 수 있다). 1914년 첫 출간된 책에 실린 지금의 텍스트는 1906년 5-6월 사이에 개작한 것이라고 한다. (Gifford, p.30, Brown, p.227)

 

그녀에게 큰 소리를 지른다는 것도 이런 경우 어울리지 않는 일이라 아주머니는 그냥 내니의 손만 잡고 말았다 (김병철, p.14)

그녀에게 큰 소리로 이야기하는 것이 어울리지 않았기에 아주머니는 그녀와 악수를 함으로써 모든 뜻을 알렸다 (김종건, p.25)

그녀한테 큰 소리로 말하는 것이 볼썽사나울 것이므로 아주머니는 그녀와 그냥 악수만 했다 (김정환, p.12)

그녀에게 큰 소리로 애도를 표한다는 것이 왠지 이상할 것 같아서인지, 숙모님은 하릴없이 내니의 손만 잡고 있었다. (임병윤, p.19)

 

 

13. So one night he was wanted for to go on a call and they couldn't find him anywhere. They looked high up and low down; and still they couldn't see a sight of him anywhere. So then the clerk suggested to try the chapel. So then they got the keys and opened the chapel and the clerk and Father O'Rourke and another priest that was there brought in a light for to look for him. (p.10)

 

굵은 부분 양쪽 다 문법적으로 for가 필요한가? 그렇지 않을 것이다. 여기서 for toin order to/so as to 정도의 뜻으로 쓰였으며, 필자가 보기에는 이 말을 하는 Eliza의 지식수준을 나타내는 비문으로 생각된다. so then이나 and가 어색하게 계속되는 점도 이를 뒷받침한다. 앞 12에서 말한 1904년본(the Irish Homestead version)을 한번 보자.

One night he was wanted, and they looked high up and down and couldnt find him. Then the clerk suggested the chapel. So they opened the chapel (it was late at night), and brought a light to look for him. (Gifford, p.293)

 

그런데 이는 조이스가 일부러 화자의 수준에 맞춘 말을 하는 것으로, 마지막 단편 The Dead에서 관리인의 딸 Lily가(하녀 정도로 생각됨) The men that is now is only all palaver(p.178)라고 주어, 동사의 수의 일치를 틀리는 것과 같은 기법이며, narrated monologue, free indirect discourse, empathetic narrative, stylistic inflection, 또는 the "Uncle Charles Principle"* 등 여러 가지로 불린다. 2년 전의 원본과는 확실히 달라진 문체 기법의 발달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 Uncle Charles Principle: 조이스 연구자 Hugh Kenner가 Joyce's Voices (Faber and Faber, 1978)란 책에서 쓴 표현으로, 소설 속 인물(= Uncle Charles)이 저자 같은 선택을 하기 시작하여 작가의 글 쓰는 스타일을 전염시킨다(the fictional character begins to make authorial choices, that the character "infects" the prose style of the writer)는 뜻. 월러스 그레이 교수의 http://www.mendele.com/WWD/WWD.dubintro.html 에서 재인용.

 

 

14. They say it(= breaking of the chalice) was the boys fault…” (p.10)

 

죽은 플린 신부가 성찬배를 깨뜨린 이후로 정신이 이상해졌는데, 이는 the boy(여기서는 복사服事가 가장 정확한 용어)의 잘못이라는 Eliza의 말이다. the boy는 대개 성찬식의 시중을 드는 일하는 아이(김병철, p.20), 복사(服事, 김종건 p.29, 민태운 p.36), 소년(김정환, p.17), 시동(侍童, 전은경, p.71) 등으로 해석하며, 외국 선학들도 여기에는 특별한 의미를 두지는 않는다. 그런데, 임병윤은 본문에서는 같이 있던 애(p.25)로 해석하며, 역자 후기에서는 대담하게 속내를 토로한다. (pp.392-394)

 

 

  그래도 번역을 하면서 좀더 자세하게, 또 독자들이 이해하기 쉽게 옮기고 싶어 입과 손이 들먹거리던 순간들이 한두 번이 아니었다.

   「자매」에서 줄거리가 끝나갈 무렵 엘리자가 플린 신부가 성배를 깨뜨리게 된 사연을 이야기하면서 “… it was the boy’s fault…”(‘같이 있던 애가 잘못해서 그랬다고 하더군요’라고 번역되어 있다)라고 하는데, 이 작품에서 the boy는 여기 딱 한번 언급될 뿐이다.

   그러면 the boy가 누구인지 분명히 밝혀져야 작품 전체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되고 나아가 주인공인 소년의 심리상태까지 정확하게 느낄 수 있다. 이때 the boy는 막연히 신부와 같이 있던 아이를 지칭하지만, 엘리자와 숙모의 대화를 보면 두 사람 모두 이 아이가 누군지 알고 있다는 느낌이다(물론 영문법적으로는 정관사 the의 표현으로 이 사실이 바로 드러나고 있기는 하지만). 그러면 이 아이는 누굴까? 바로 주인공 소년이다. 그렇지만 조이스의 의도로 보면 the boy를 구체적으로 밝히고 싶지 않은 것 같다.(중략), the boy를 통해 플린 신부의 죽음에 대한 소년의 죄의식을 이해할 수 있으며, 꿈속에서 플린 신부와 만나는 장면과 플린 신부의 성직매매에 대한 관용의 심리 역시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플린 신부의 죽음을 확인하고 난 뒤에, 플린 신부의 자신의 잘못에 대한 부담감을 떨치고 양지바른 길을 따라 극장 포스터를 즐기면서 홀가분해진 마음으로 걸어가는 모습까지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다 이 부분에 이르러 엘리자의 말에 의해 문득 자신의 과오가 드러나며 이를 받는 숙모의 말에서 마을 사람들 대부분이 소년 자신으로 인해 플린 신부가 사망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는데, 바로 the boy가 이런 모든 정황과 심리상태를 연결해주고 있는 것이다. 이런 부분이 바로 번역의 어려움이며 한계인 듯하다. 조이스의 작품은 특히 이런 표현들과 상징이 많기 때문에 이해하기 어렵고, 또 이해하기 어려운 만큼 재미도 없는 것일 거다.

 

 

우선 영문법적으로는 정관사 the의 표현으로 이 사실( = 그 소년의 진짜 정체)이 바로 드러나야 한다는 것은 오해다. 꼭 정체가 밝혀진 소년이라기보다, 그냥 아무 소년이 아니라 성찬식에서 시중 드는 소년 = 아무 복사라는 뜻으로도 the boy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다음 문장을 보자.

Then I saw a car park by the side of the road. The driver was asleep.

여기서 the driver가 꼭 신분이 밝혀져 있어 the를 썼을까? 그게 아니라 앞의 차의 운전수이기 때문에 관련 내용(그냥 아무 운전수가 아닌 앞에 나온 차의 아무 운전수)에 의해 지시 대상이 결정된 경우이다. 이는 정관사 사용 중에서 가장 미묘한 것으로 앞에 나온 명사와 밀접한 관련을 맺는 명사 앞에 사용되며, 영어로는 associative anaphoric use(관련조응적 사용 - 필자)라고 칭한다(영어관사의 문법, 한학성, 태학사, 수정판 2쇄, 2003. 9, pp.71-73). 이런 관점에서, the boy는 꼭 주변 사람들이 다 정체를 아는(대상이 결정된) 소년일 수도 있지만, 앞의 신부와 성배와의 관련에서 지시 대상이 결정된, 그냥 아무 소년이 아닌 아무 복사(服事)도 될 수 있는 것이다.

The boy is an acolyte or server who assists the celebrant(사제) at the altar. (Gifford, p.34, Brown, p.244)

 

 

물론 이 the boy를 바로 화자인 주인공 소년으로 보는 것은 가능하고, 더 나아가 성찬배를 깨뜨린 것이 성찬식에서가 아니라, 아무도 없는 제의실(vestry) 또는 성구실(sacristy)에서 플린 신부가 (아마도 반강제로) 소년과 성적 교섭을 가지려다가 그런 것으로까지 볼 수 있으며(타락한 동성애), 이렇게 되면 플린 신부의 타락과 꿈속에서의 플린 신부 모습이 암시하는 성적 의미를 쉽게 꿰뚫어 설명할 수 있으므로, 확실히 매력적이다. 필자도 그렇게 생각했던 적이 있다.

 

하지만, 이렇게 쉽게 단정짓는 것은 이 단편 전체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인 gnomon을 너무 가볍게 볼 위험이 있다. closure란 말이 있는데, 종결, 토론 종결의 뜻 외에도, 게스탈트 심리학에서는 빠진 부분을 채워 넣어 전체를 만들어내는 것을 일컫는다. 시기적으로 조이스가 이 심리학에 영향을 받았을 리는 없지만 이 개념을 빌려 설명하자면, 누구나 gnomon을 보고 나름대로의 판단으로 closure할 위험, 또는 즐거움은 항상 있다는 것이다(아래 gnomon그림 참조). 다시 말해 여기서 빠진 부분을 규모가 작고 닮은꼴의 평행사변형으로 메우면 반드시 원래의 큰 평행사변형으로 회복되어야 한다는 믿음은 너무 기계론, 결정론에 휘둘린 19세기적 사고라서, 조이스가 추구했던 modernism 또는 post modernism과는 대척점(對蹠點, antipode)에 있는 것이다. 그것은 물론 평행사변형일 수도 있지만, 삼각형일 수도 있으며, 또 원형인들 어떻고, 원래부터 빠진 게 없었다면 또 어떤가? 어떤 하나의 상징 해석을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독자마다 스스로 상상력을 불러 일으켜 생각하도록 맡겨두는 것이 바로 모더니즘적 불확정(modernistic indeterminacy*)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이 단편을 이 소설에서 가장 난해한 것 중 하나로(민태운, p.31), 또는 이 소설을 Ulysses의 전조로 보기도 하는 것이다.

* 조이스에게는 상징이란 그렇게 중요하지도, 따라서 신성하지도 않았고, 또 정해진 진실에 도달하는 방법도 아니었다. 상징을 뒤쫓는 주석가들은 예이츠적인 본질주의나 초월주의에서 나온 기계론적이고 종종 통속적인 해석을 제시하는데, 조이스적인 방법론의 미묘한 불확정성과 세속성과는 맞지 않는다 (For Joyce, a symbol was not so essential and therefore sacred a thing, nor was it a means to definitive truths (the symbol-hunting exegetes offer a mechanical and often vulgarized version of the Yeatsian essentialism and transcendentalism, out of key with the subtle indeterminacy and this worldliness of the Joycean method). (Brown, xxxiii)

 



더블린 사람들의 첫 번째 이야기는 열다섯 개의 단편모음 가운데서 가장 붙잡기 어려운 놈이다. 비평가들의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 이야기는 마치 물고기와 같아서, (잡았다고 생각하는 순간) 비평가의 손에서 빠져나가 암시, 풍자로 가득한 불투명한 웅덩이 속으로 도망쳐버린다. 100년이 지난 지금도 우리는, 이 이야기 속의 소년과 마찬가지로, 아직도 이 이야기로부터 의미를 짜내려 애쓰고 있다. (The first story of the Dubliners is the most elusive of the set of fifteen stories. Despite many critics efforts, the story behaves like a fish, wriggling its way out of the critics hand to recede into a pool of allusions, innuendo and opacity. After 100 years, we are just like the boy in the story still struggling to extract meaning from this story.) (Carsten Blauth*, Father Flynn and the Boy: A Relationship in Joyces The Sisters, Trinity College/Dublin, School of English; Course: Anglo-English Literature; 1993/94 (Revised Essay), http://www.james-joyce.de/d_essays.shtml)

* Carsten Blauth, 첫 번째 글에서 소개했던 웹 사이트 www.james-joyce.de의 운영자. 독일 Trier 대학 졸업. Trinity College에서 David Norris 및 Terrence Brown 밑에서 수학. 현재 Romania에 거주.

 

 

더구나 이 부분에 이르러 엘리자의 말에 의해 문득 자신의 과오가 드러나며 이를 받는 숙모의 말에서 마을 사람들 대부분이 소년 자신으로 인해 플린 신부가 사망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는데..라는 해석은 필자가 보기에는 통속적인 에피파니(현현: 顯現, 계시: 啓示) 포착에 지나지 않는다.

* epiphany: 찾아온 동방박사 세 사람에게 구유의 예수가 신성(divinity)을 드러낸 일. 조이스는 이를 사물의 영혼 또는 본질이 외양이라는 허물을 벗고 우리에게 갑작스런 정신적 계시를 보이는 순간(a sudden spiritual manifestation when the soul or whatness of an object leaps to us from the vestment of appearance)의 뜻으로 사용한다(Stephen Hero, Gifford, p.2에서 재인용).

 

 

드디어 조이스의 어떤 작품이 무엇에 관한 것이고, 또는 그 구조, 또는 도덕적 입장이 무어며, 또는 그 작품에서 상징이 가진 힘을 다 알았다고 주장하는 어떤 비평/해설이라도, 따라서, 믿으면 안될 것이고, 반드시 그래야만 한다. 왜냐하면, 지금 바로 그 작품을 읽음에 있어서 도움이 되지 않는다거나, 작품의 완전한 이해라는 불가능한 목적을 향해 당신이 다가갈 때 (독서의) 즐거움을 배가시키지 못하기 때문이 아니라, 말 그대로 받아들일 경우, 지금이든 언제인지 모를 미래에서든, 그 작품을 읽는 다른 모든 방법을 배제해버릴 그런 주장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Any critical text which claims to tell you (at last) what a work of Joyces is about, or what its structure, or its moral position, or its symbolic force, is, has to be mistrusted, therefore; not because it will not be useful to you in a reading of the work in question, adding to your pleasure as you move toward that impossible goal total understanding, but because it is making a claim that, taken literally, would exclude all other ways of reading the work, now and in the unpredictable future. (Derek Attridge, Companion, p.3)

 

 

이 이야기가 하고 싶어서 별로 언급하고 싶지 않은 임병윤 번역본을 지금까지 논의에 포함해 왔지만, 앞에서도 말했듯이 가독성만 앞세우고 충실성을 경시한 번역은 우리 목적인 영어공부와 맞지 않으므로, 다음 글부터는 이 번역본을 빼도록 하겠다.

 

(봐서 알겠지만, 대개 책의 순서대로 따르고 있고, 단편들이라 번역본에서 어디쯤인지 찾는 것은 어렵지 않다. 따라서 다음부터는 번역본은 역자 이름만 표시하고, 페이지수는 생략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피네간의 경야(經夜)
제임스 조이스 지음, 김종건 옮김 / 범우사 / 2002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나라의 미야타 교코를 기다리며

 

우리는 이제 이 연속물의 우리들 애인들 사이에 확급擴及하고 있나니 (그대에게! 당신에게!) 농弄나이팅게일의 노포露包의 노래를 (알리스! 알리스델시오 미녀여!) 그들의 은신처로부터, 장미경薔薇景의 건초 속에 숨어, 매력림魅力林의 헤더 측구側丘 위에, 성聖 존 산山, 지니(신령神靈)땅, 우리들의 동료는 무어 마루공원으로부터 황혼박黃昏箔에 의하여 어디로 날랐던고, 스위프트(급急) 성소聖所를 찾아서, 일몰 시우時友 뒤를 (오보에! 여기저기에! 가위 휘청대는 점보点步! 나는 대쉬돌突해야 하나니!) 그들의 평화를 부분음部分音에 쏟아 붓기 위해 (프로프로 프로프로렌스), 달큼하고슬픈 경쾌하고유쾌한, 쌍이雙二조롱노래구애저求愛低. 한 피치의 모든 소리를 공명共鳴속에 조용히 보관할지라. 흑인까마귀, 갈가마귀, 첫째 및 둘째 그들의 셋째와 함께 그들에게 화가 미칠진저. 이제는 넘치는 류트 악기, 이제는 달시머, 그리하여 우리가 페달을 누를 때(부드럽게!) 그대의 이름을 골라내고 모음母音을 더하기 위해. (이 책, 359.31-360.6)* (이하 경야 經夜**).

* 여기 역문의 페이지와 글줄은 페이버 앤드 페이버(Faber and Faber)(런던) 출판사의 1939년 피네간의 경야의 원판본(세계 유일의)의 페이지를 그대로 따랐는데, 이는 독자는 물론 원본과 역본을 대조하는 연구자의 편의 도모를 위한 배려이다. (위 책, 역자 서문, p.28)

** 우리말로는 밤샘의 개념이 wake와 가장 가깝기는 해도, 우리 풍습과 서양 풍습이 1:1로 대응하는 것은 아니므로, 경야(經夜)라는 한자말을 쓰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역자의 선택이라고 본다.

 

 

세상에서 가장 난해한(또는 가장 번역이 어려운) 문학작품이라고 할만한, 제임스의 조이스의 이 소위 Black Book은 세계적으로 번역본이 불어본, 독어본, 일어본 3종밖에 없었는데, 2002년 위 책이 나옴으로써 우리도 4번째로 이름을 올렸다고 한다*(위 글의 추천사 및 서문). 노학자(老學者)의 반세기에 걸친 그야말로 필생의 노작(勞作)에 대해, 아직 율리시스도 잘 모르는 비전문가인 아마추어가 왈가왈부한다는 것은 온당치 못한 일인 줄은 잘 알지만, 작품의 난이성과 연관하여 언급하거니와, 우리에게 외국문학은 결코 외국문학이 아니요, 원전은 우리의 자국문학으로 번역되어야 한다. 여기 역자의 노력은 보통의 독자들을 위한 가능한 한의 보편화를 위한 것이다(위 책 작품 소개, p.652)에 힘입어 진짜 보통 독자 입장에서 서평을 쓴다.

* 5년이 지난 지금은 이태리어, 스페인어, 네덜란드어, 헝가리어 등 다른 언어 번역본이 추가된다.

 

 

위의 번역문에 해당하는 원문의 꼭지를 보자.

 

 

We are now diffusing among our lovers of this sequence (to you! to you!) the dewfolded song of the naughtingels (Alys! Alysaloe!) from their sheltered positions, in rosescenery haydyng, on the heather side of waldalure, Mount Saint Johns, Jinnyland, whither our allies winged by duskfoil from Mooreparque, swift sanctuary seeking, after Sunsink gang (Oiboe! Hitherzither! Almost dotty! I must dash!) to pour their peace in partial (floflo floreflorence), sweetishsad lightandgayle, twittwin twosingwoolow. Let everie sound of a pitch keep steel in resonance, jemcrow, jackdaw, prime and secund with their terce that whoe betwides them, now full theorbe, now dulcifair, and when we press of pedal (sof!) pick out and vowelise your name. (359.31-360.6)*

* Finnegans Wake(이하 Wake)는 1939년 런던 Faber and Faber에서 출판된 이래 재편집된 적이 없어, 그 이후 모든 판본의 페이지 및 줄이 원래 책과 똑 같다. 그래야만 연구자들이 서로 같은 곳을 이야기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위의 표시는 359페이지 31행부터, 360페이지 6행에 걸친 텍스트라는 뜻이다. 필자의 인용은, 위 Faber and Faber (London)의 1939년본과 동시에 미국에서 나온 Viking 판을, 1999년 다시 찍은 Penguin판에서 나왔다.

 

 

위의 두 단락 각각의 의미는 고사하고라도, 그들 둘 사이의 필연적인 대응성을 발견할 수 있는 사람은 정말 대단한 사람일 것이다. 필자 같은 범부(凡夫)로서는 엄두도 못 낼 일이다. 더구나 역자가 연구자들을 위해 한국어번역판을 원본과 페이지, 줄까지 그대로 맞춘 것을 보면 소름이 돋을 정도다(이 부분은 뒤에 다시 언급하겠다).

 

 

여기서 다음 해설(guide)을 한번 보자. 좀 길기는 해도 이 서평의 논리상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하기에 그대로 옮겨본다. 우리 같은 아마추어 독자들이 모인 독서모임 장면을 생생하게 그리는 방법으로 경야를 엿볼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편안히 따라가기만 하면 된다. Derek Attridge*, Reading Joyce, in Derek Attridge ed. The Cambridge Companion to James Joyce, 2nd edition 3rd print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pp.10-17)

* 데렉 애트리지는 영국 요크대학(the University of York)의 영어교수로 유명한 조이스 학자이다. 번역은 필자가 직접 한 것이며, 괄호 속 해설에 필자 표시가 있는 것은 필자가 단 것이고, 표시가 없는 나머지 괄호 안 설명은 원래 있는 것이다.

 

 

경야를 꼭 처음부터 읽을 필요는 없을 것이다. 이제 일군(一群)의 독자들이 있어, 다른 부분보다 다중(多重)의 의미가 덜 빼꼭 찬 부분부터 읽기로 했다. 그 중 한 사람이 자원해서 위의 부분을 큰 소리로 읽는다. 그러면 반응은, 계속되는 명백히 말도 안되는 소리에 대한 썰렁함과 아무리 우습든 일말의 센스가 보인다는 데 대한 낄낄거림이 섞인 것이리라. 괄호와 현란한 수식에 의해 방해를 받기는 하지만, 구문의 문법적 뼈대는 아주 단단해서, 1인칭 복수(we)의 화자(話者)가 2인칭 청자(聽者)에게 무언가를 선언하며 명령을 내리고 있다는 사실을 파악하면, 이해를 위한 발판이 확보된 것이다. We are now diffusingthesongs of the naughtingalesfrom their sheltered positionswhither our allies wingedto pour their peaceLet everie sound of a pitch keep stilland when we press of pedalpick out and vowelise your name(우리는 퍼뜨리고 있다나이팅게일의 노래를그들의 보호된 위치로부터그곳에서는 우리 동맹들이 날아올랐다그들의 평화를 쏟아 붓기 위해한 음조의 모든 소리를 조용하게 하라그리고 우리가 페달을 밟을 때골라내서 네 이름을 말하라).구문의 안정성경야의 특징이며, 단락의 의미를 풀어냄에 있어서, 이 풍부한 말 잔치가 매달려 있는 뼈대의 구조를 추적하는 것을 종종 도와준다.

 

이 독서그룹의 멤버들이 다음으로 언급하기 시작한 것은 서로 관련된 용어들이 모여 있다는 것이며, 그 중 어떤 것들은 말장난(pun)과 합성어(portmanteau)에 반쯤 숨겨져 있다. 이들 집합 중 가장 뚜렷한 것은 와 관련이 있다. 모든 이들이 naughtingelsnightingales로 들었고, 텍스트를 보지 않고 듣기만 한 사람은 lightandgayle에서도 똑 같은 단어를 들었다고 한다. (누군가가 경야를 읽어줄 때는 책을 내려놓은 것이 종종 도움이 되는데, 시각적으로 모습을 그리다 보면, 청각적인 울림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단서에 이어, 이탈리아어를 아는 한 회원은 이상한 단어 twosingwoolow가 이탈리아어 usignolo를 잘못 발음한 것 같다고 생각하는데, 이 단어를 영어로 번역하면 역시 nightingale이 된다. 이 집합에, winged(날아올랐다), swift(칼새), bird sanctuary(조수 보호구역)의 의미인 sanctuary(금렵구), crow(까마귀), jackdaw(갈가마귀), 이런 단어를 덧붙이는 데는 암호 해독이 필요 없으리라. 또 누군가가 Hitherzither이란 아마도 칼새 같은 새들이 여기저기(hither-and-thither) 비행하는 모습을 묘사한 것 아니냐는 의견을 내놓을 수 있다. 어쨌든 독서그룹은, 새들이 내는 소리에 중점이 주어져있다는 사실과, 많은 반복어구들이 새들의 울음소리에 대한 전통적인 표현을 생각나게 한다는데 동의한다. 즉, to you! to you!to whit!(짹짹 새소리 필자) to whoo(부엉이 같은 후우우 울음 소리 필자)!를 반영하는데, 이 사실은 나이팅게일에 더해서 또 다른 밤새인 부엉이의 존재를 나타낸다. 그리고 twittwin짹짹거리는(twittering) 새 울음을 암시한다. 다른 구절도 역시 비슷한 방법으로 만들어진 것 같은데, Alys! Alysaloe!floflo floreflorence가 그것들이다. 누군가 이 단락이 songtwosingwoolow에 숨겨진 sing 양쪽을 다 포함하고 있으며, 나이팅게일의 울음에는 가끔 pour(to flow in a stream. 쉴새 없이 떠들다, 노래하다)라는 표현이 쓰인다는 것을 지적한다. 이제 구문의 구조로부터 점점 의미 형태가 갖춰지고 있지만, 그 의미는 영어문법의 어순에 의해 제한되는 가능성을 훨씬 넘치기 시작한다. 이해 불가능한 것들이 갑자기 의미를 드러내고, 모순되는 것들이 어떤 패턴을 드러내기 시작할 때마다, 이 발견들은 뭔가 드러내주기도 하고 우스꽝스럽기도 하고, 만족을 주는가 하면 괜히 들뜨게 만들기도 한다.

 

잠시 쉰 뒤, 누군가 Florence가 또 다른 Nightingale이라는 걸 알아차리고(유명한 간호사 Florence Nightingale - 필자), 곧 이어 19세기의 유명한 소프라노 Jenny Lind(여기서는 분명히 지명을 나타내는 Jinnyland로 바뀌어져 있다)가 영국에서 스웨덴의 나이팅게일(the Swedish Nightingale)(여기서는 sweetishsad lightandgayle로 되었다)로 불렸다는 걸 기억한다. 신화학에 관심을 가진 다른 멤버가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하지만 동의를 얻지 못한다 - 혹시 terce Tereus가 Philomela를 강간한 것(그리스 신화에서 나쁜 형부 Tereus, 언니 Procne, 동생 Philomela를 둘러싼 치정 및 복수극 필자)과 관련이 없는지? 필로멜라 역시 나이팅게일로 변했다. 새 울음에 관련된 집합은 인간의 노래로, 여자에게로, 아마도 육체적 욕망까지로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새들을 사랑하는 것처럼 생각되는 lovers, 그럼 오페라와 다른 인간의 노래를 사랑하는 사람, 또는 성적 의미에서의 연인들이 아닌가? 이 점에 대해서는 다시 동의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왜냐하면 이 모든 해석들이 글과의 관련하에서 주장되어질 수 있지만, 또 한편으로는 이 모든 가능성을 하나의 유기적인 전체로 통합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어떤 미묘한 성조(聲調)도, 어떤 상상된 인간의 상황도 이 모든 의미를 동시에 유효하게 만들 수는 없을 것 같다. 경야는 언어가 의미를 지니기 위해서는 단일한 의도와 주관성에 복종해야 한다는 믿음을 깨뜨린다.

 

이제 그룹이 인간의 노래에 주목하게 되자, 새로운 용어들의 집합이 나타난다. 한 사람이 아까부터 마음에 걸리는 rosescenary haydyng가 가장 다산(多産)한 오페라 작곡가 중 두 사람인 로시니(Rossini)와 하이든(Haydn)을 가리키는 것 같다고 한다. 다른 사람이, twosingwoolow가 연인의 슬픔을 나타내는 노래인 sing willow(애인의 죽음을 슬퍼하는 노래. 옛날 버드나뭇가지나 고리를 가슴에 달고 그 뜻을 나타냈다고 한다 - 엣센스 영한사전. 필자)의 버전을 포함하는 것 같다고 지적하며, 오셀로(Othello: 세익스피어의 희곡 필자)에서 데스디모나(Desdemona)의 Willow Song, 다시 새들로 돌아가서, 미카도(The Micado: 영국의 작곡가 아서 S. 설리번(Arthur S. Sullivan)의 오페라- 필자)에서 자살하는 곤줄박이류 새에 관한 코코(Ko-Ko)의 노래를 인용한다. 세 번째 사람은 서구 교회(로마 카톨릭 교회 필자)의 전통에 익숙한데, prime(아침기도)terce(3시경)가 각각 성무일도(聖務日禱) 중 처음 두 기도라는 것을 알아차린다. 그는 또 vowelisevocalise와 비슷하여 영어동사로서는 sing의 뜻을, 불어의 명사로서는 노래하는 것(또는 노래연습)이라는 의미를 가진다고 덧붙인다. 토론이 계속됨에 따라, 인간의 노래에서 음악과 소리에까지 점차 보편적으로 확대되어 간다. pitch(음조)resonance(공명)은 분명히 이 집합에 속하며, 사전을 찾아본 누군가가 sequence에는 곡조의 반복 외에도 서구 교회의 영창 또는 악곡의 뜻이 있다고 알려준다. 또 partials에는 화음의 고성부(또는 부분음部分音)라는 뜻이 있다는 것도. 이들은 곧, 글에 있는 약간 낯선 오케스트라 악기를 찾아내기 시작한다. gang에는 gong(벨, 공)이, Oiboe에는 oboe(오보에)가, Hitherzither에는 zither(치터: 기타 비슷한 현악기 필자), theorbe에는 theorbo(일종의 류트)(중세 현악기 - 필자)가, dulcifer에는 덜시머(현을 때려 소리를 내는 악기로 피아노의 원형 필자)가, 그리고 암시적으로 pedal(sof!)에는 피아노가 들어 있다. 그리고 인간에 의해 만들어진 다른 종류의 조직적 소리가 Almost dotty! I must dash!에 이해 드러나는데, 바로 모스부호이다. (모스부호는 점(dot. 단점短點)과 대시(dash. 선 또는 長點)로 이루어져 있다 필자).

 

다음으로 (sexuality) 문제가 다루어져, 이것 역시 일련의 연결된 의미로 이끄는지 볼 필요가 있다는 제안이 들어온다. 여러 멤버가 naughtingelsnightingales뿐만 아니라, naughty girls(행실 나쁜 계집애들)(또는 영국 상류층 발음을 빌면 gels) (『더블린 사람들』의 “하숙집(The Boarding House)”에서, 딸 폴리 무니는 이렇게 노래한다. “I’m a naughty girl. You needn’t sham: You know I am.” – 필자)가 포함되어 있다고 같이 지적한다. 또 다른 의견도 나오는데, waldalure에는 allure(유혹하다)는 단어가 숨어 있고(그리고 성적 유혹이 공중에 떠 있다면, 아마 lure(미끼))(낚시 장면을 상상하라 필자), twosingwoolow에는 woo(구애, 구혼)이 있다. 여자 이름은 매력과 욕망의 내포(connotation)을 위한 그럴듯한 보고(寶庫)가 아닌가? 그래서 그룹이 Alys! Alysaloe!에 주목하는 것도 당연한데, 이는 allies(동맹국)에 의해 뒷받침되어, Alice의 존재를 의미한다. 그 때 누군가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Alice in Wonderland)의 작가(루이스 캐럴. Lewis Carroll - 필자)가 어린 소녀들과 놀아주고 사진 찍어주기를 즐겼다는 걸 기억한다(바로 이 사람이 portmanteau word(합성어)라는 말을 만들어낸 사람이다). 그러자 극장 쪽에 밝은 사람이 1930년대 무대 스타 중에 Alice Delysio가 있었고, Gaby Delys라는 프랑스의 현장 미술가도 있었다고 전한다. 바로 이 시점에서 한 회의주의적 참가자가 어떻게 조이스가 이 모든 의미를 텍스트 속에 집어넣는 것이 가능했겠느냐?고 반박하자, 두 개의 대응이 나온다. 하나는, 우리는 어떤 특정한 (단어의) 경우라도 조이스가 그렇게 의도적으로 집어넣진 않았다고 확실히 말할 수 없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설사 우리가 (조이스가 그런 의도로 이 단어를 사용하진 않았다는) 사실을 확실히 안다 하드라도 달라질 것은 없는데, 왜냐하면 어쨌든 조이스는 그가 의도했던 것보다 훨씬 많은 의미를 자아내는 힘을 가진 텍스트를 만들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토론이 진행되는 동안, 그룹의 한 멤버는 격리(seclusion)(특히 자연환경 속에서의)와 어둠의 의미에 주목하고 있는데, 이는 나이팅게일 집합과 성적인 타락 둘 다에 관련이 되는 것이다. Dewfolded는 밤과 둘러 막는 것 양쪽을 의미한다(dew = 밤에 내리는 이슬, fold = 접다, 포개다; 둘러싸다 필자). sheltered position(보호된 위치)은 그대로 알 수 있는 말이다. rosescenery haydyng은 이미 앞에서 발견한 작곡가 이름과 더불어 장미정원에 숨겨졌다는 느낌(hiding in rose scene 필자)을 준다. 그리고 other은 적절하게 heather(히스꽃)으로 바뀌어져 있다(on the heather side of가 on the other side of라는 영어표현에서 왔다는 말 필자). 독일어를 할 줄 하는 사람이 의 독일어인 waldwaldalure에 있다고 하고, 프랑스어를 아는 사람은 duskfoil이 어둠이 내리는 것(the fall of darkness) ( = dusk 어둠+ foil 얇은 판, 막, 박箔 필자)과 잎들(leaves = 프랑스어 feuilles)을 결합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Mooreparque에는 분명히 park(공원, 보호구역, 숲 속의 평지 필자)가 있으며, 그 뒤에는 앞서 말한 sanctuary가 따른다. 그리고 일몰(sunset), 즉 Sunsink가 있으며, Sunsink gang에는 똑 같은 현상을 독일어로 표현한 Sonnenuntergang이 메아리치고 있다. 어둠에 관한 제안은 그룹의 관심을 어둠(blackness)을 나타내는 단어로 돌린다. 즉, Moor(오셀로와의 연상작용을 다시 일으키는) (오셀로가 바로 베니스의 무어인(흑인)이 아닌가? 필자), pitch(피치, 역청. 콜타르 비슷한 것), crow(까마귀), jackdaw(갈가마귀)뿐만 아니라 Jim Crow(19세기 중반 미국에서 흑인 얼굴로 노래 부르던 코미디언에서 유래되어, 흑인 차별법안을 Jim Crow laws라 함. Jump Jim Crow, or Jim Cuff. 필자)에 대한 암시도 있다. 사전을 찾아보니, 이는 20세기의 인종 차별주의와 관련이 되기는 해도, 19세기 초 (미국의) 플랜테이션 농장에서 부르던 흑인 노래였다. 그러자 그룹은 이 사실이 gang(갱단, 무리), pick(목화 따기), (whoe에 있는) hoe(쟁기)같은 단어들과 관련이 있는지 생각해본다. 물론 일단 단서가 포착된 이상, 그럴 수도 있다. 이 발견이 그냥 즐기고 끝나는 막다른 골목인지, 또 다른 의미를 드러내는지는 책을 계속 읽어봐야만 한다. 때로는 이와 같이 작은 단서가 수년간 잠자고 있을 수도 있다. 그러다가 이것이 장(chapter) 또는 책 전체를 통해 흐르고 있는 연결된 용어 패턴의 부분이라는 걸 문득 깨닫기도 한다.

 

이때 누군가 말한다. 나는 자꾸 이 글이 전투와 관련되어 있다는 생각이 들어. 내가 지적할 수 있는 예는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에 관한 것뿐이지만. 그녀는 크림전쟁에서 유명해졌잖아. 다른 사람들이 거든다, “‘peace(평화)라는 단어가 저기 보여. 그리고 allies란 동맹국이란 뜻이고. 앞에서 나왔던 모스부호는 어떻고? 군사 신호를 말하잖아. 이 새로운 발견에 주의하여, 전체가 텍스트를 몇 분간 검토할 때, 새로운 빛이 문득 보인다 이런…’waldalure는 워털루(Waterloo)가 틀림없어! 그러자 그 전투에 관해 좀 아는 친구가 이어받는다. 맞아, 워털루가 틀림없어. 왜냐하면, Mount Saint Johns Mont St Jean으로, 그 전쟁터 가까이 있던 마을이름이며, 영국군들이 이 이름을 사용했거든. 그들은 나중에 거기다가 워털루 기념관까지 세웠거든. 그리고 이제야 allies라는 단어의 중첩된 뜻을 알겠네. 유럽대륙에서는 이 워털루 전투를 그 가까이 있던 다른 마을 이름인 La Belle Alliance라는 이름으로 부르거든. 누군가가 덧붙인다, 아까 그 글을 읽을 때 말이야, sound of a pitch가 내 귀에는 son of a bitch로 들렸는데, 어떻게 연관이 있는지 몰랐거든. 근데 지금 보면, 그 용어는 군대 연병장에서는 자주 들을 수 있는 그런 말이지. 그러면 pick out and vowelise your name우렁차게 관등성명을 밝혀라는 명령으로 볼 수도 있잖아.

 

그룹 중 한 멤버에 의해 다른 의문이 제기된다. 이런 행위들을 모두 한 자리에 모을 수 있는 그런 특정한 장소가 있을까? 그럴 리가 없다는 데 모두 동의한다, 왜냐하면 지금 이 단락은 수많은 국가를 무대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조이스의 작품을 읽은 적이 있던 독자들은 아일랜드, 특히 더블린이 항상 조이스 글에서 특별한 자리를 차지한다고 주장한다. 율리시스를 읽은 적이 있는 사람이 Dunsink Time(Dunsink 관측소에서 정해지는 더블린 지방시각)에 관한 레오폴드 블룸의 명상을 기억하고, 그 모습이 Sunsink gang에서 어렴풋이 드러난다고 한다. 누군가 시간secund(식물의 잎이나 꽃이 줄기의 한쪽에서만 생기는이란 뜻이 있지만, 여기서는 시간의 단위인 second(초秒) 또는 두 번째란 의미와 관련 있다. 스페인어로는 segundo 필자)에서도 보이고, 정시과(定時課: canonical hours)인 primeterce에도 있다고 덧붙인다. 또 다른 아일랜드와의 연관이 swift에서 지적되는데, 그러자 이 swift는 칼새도 아니고, 속도를 나타내는 형용사(빠른, 신속한 필자)도 아니며, 아일랜드 출신 작가인 Jonathan Swift(걸리버 여행기의 작가 필자)가 된다. 백과사전은 한 때 스위프트가 일했던 영국의 장원 이름이 Moor Park였다는 정보를 전해 준다. 그룹은 스위프트가 almost dotty(살짝 돈)였다는 사실을 떠올린다(스위프트는 말년에 정신병을 앓았다 필자).

 

dewfolded라는 단어 역시 코멘트를 불러 일으킨다. 앞에서 dewfolded가 각각 단락의 주제와 관련되는 점에 대해서는 언급을 했지만, 이 두 단어를 합친 합성어는 아직 설명이 필요하다. 마치 dewfoldedtwofold와 연관되는 느낌을 주고, 이는 독서그룹이 따를 수 있는 또 다른 실마리를 제공한다. 이 단락에서 감탄문(새소리를 상기시키는 것?)은 모두 쌍으로 되어있다. to you! to you!, Alys! Alysaloe!, Oiboe! Hitherzither!, Almost dotty! I must dash!, 그리고 floflofloraflorence에도 중복이 있다. 또 twittwin은 중복이 될 뿐만 아니라 twin(쌍둥이)라는 말까지 포함하고, 바로 뒤에 two도 따라온다. 이 단락에는 둘 다 나이팅게일인 두 명의 유명한 여성인물이 나온다. 그러나, 비록 betwidesbetweenbeside 사이에서 왔다갔다할 뿐만 아니라, -twi-에서 아직 이중성을 암시함에도 불구하고, prime and secund with their terce that whoe betwides them에는 분명히 삼중(三重)의 원칙이 작용한다. 두개인 것들(twos)하나의 셋(a three)의 패턴은 중요하게 보이지만, 이 독서그룹으로서는 이 패턴이 책의 다른 부분을 가리키지 않는 한 더 이상 밀고 나갈 밑천이 없다.

 

이 단락은 이제 상호연관된 의미들로 빛나고 있지만, 합성어 중에서 설명이 안된 것도 여럿 있다. 어떤 단어에서 설명이 되지 않는 요소가 남아있는 한 더 생각할 여지가 있다 (그렇다고, 모든 변형을 다 설명할 수 있다고 해도 끝난 것이 아니다). 곤혹스런 합성어로부터 우리에게 익숙한 표현을 몇 개 찾아낸 뒤엔, 왜곡/변형 그 자체도 설명을 필요로 한다는 사실을 잊어버리기는 참 쉽다. 예를 들어, Mooreparque에서 Moor Park를 찾아낸 후에도, 왜 이런 전환을 거쳤는지를 여전히 질문해야만 하는 것이다. parque의 철자는, 워털루를 다루는 부분과 명백한 연관이 되어 프랑스를 떠올리게 하지만, 불어를 할 줄 아는 사람은 또, 그 말의 의미인 fate(운명)whoe betwides them에 있는 woe betide them(그들에게 재앙이 있을진저!)라는 경고와 관련이 있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누군가가 Mooree가 있는 것이 아마도 아일랜드의 시인 Thomas Moore와 관련이 있을지도 모른다는 의견을 낸다. 이 의견은 full theorbe, now dulcifer에서 무어의 시 제목인 Fill the Bumper Fair(당당히 잔을 가득 채워라)를 발견하자, 받아들여진다. (이제 우리는 두 나이팅게일 외에도 두 명의 아일랜드 시인을 찾았다.) 그룹은 아직까지도 Oiboe(이탈리아어를 할 줄 아는 사람은 아마도 의견이 있을 것이다), everie, sof!의 철자에 대한 설명을 찾지 못했다. 또 in partialimpartial인지, in resonancein residence의 반영인지도 모른다. 한편 jemcrowjemmy(영국에서는 jimmy라고 쓰며, 짧은 쇠지레, 즉 a short crowbar를 말한다 필자)와 crowbar(작업 현장에서나 도둑이 쓰는 큰 쇠지레), 그리고 단락 끝쯤에 나오는 pick(곡괭이, 쪼는 기구)로부터 연장(도구)의 집합도 생각할 수 있는지는 아직 미정이다.

 

그러나 이제 잠시 멈추고 다시 정리해보자. 이 단락은 어두운 숲 속 은신처로부터 들리는 나이팅게일 울음을 묘사하는 화자의 목소리를 제시한다. 우리 독자(또는 청자聽者)들은 조용히 할 것을, 그리고는 노래에 같이 참여할 것을 요구받는다. 분명히 이 내용 자체로는 더블린 사람들과 달리 재미가 없다. 그렇지만, 이 목소리의 위로는 중첩된 다른 의미들이 가득 차 있는데, 우리는 이를, 일직선적인 단순성을 가진 보통 말로는 도저히 성취할 수 없는 방법으로 우리에게 말하고 있는, 그 텍스트의 하나의 요소로 취급해야만 한다. (아마도 두 마리의) 나이팅게일은 박명(薄明), 밤, 그리고 어둠을 연상시키는 다른 새들 부엉이, 칼새, 까마귀, 갈가마귀 과 관련이 있고, 또 이를 넘어 여성들과도 관련이 있는데, 특히 노래하는 여성, 전통적으로 성적 유혹을 표상하는 여성(그들은 아마도 오셀로의 여주인공 데스디모나처럼 죄가 없겠지만)과 연결된다. 이 모든 것들이 국제적인 맥락에서 일어나는데, 사용된 복잡한 언어와 지리적 언급은 우리를 스웨덴, 독일, 이탈리아, 프랑스, 벨기에(워털루), 영국, 미국 남부, 크림반도로 안내한다. 이 자유시장 개념과 많은 종류의 음악에 대한 주의 환기는 국제간 협력을 의미할 수도 있지만, 전쟁의 소리, 노예제의 암시, 최후의 심판(doom)에 대한 경고 역시 탐지할 수 있다. 성적인 차이(sexual difference)가 국가간의 차이 위에 중첩되고 있으며, 군사적 차이 위에 덧씌워지기도 한다. (또는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기도 하는데, 경야에서는 무엇이 문자 그대로이고, 무엇이 비유인지 확실하지 않다.)

 

(중략)

 

(이 글이 나오는 전체 74페이지에 달하는 장면이 어딘지 모를 더블린 바에서 TV와 라디오 방송과 떠들썩한 잡담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는 걸 알게 되면) 이 글이 라디오 방송과 관련되어 있다는 걸 알게 될 것이다. 모스부호가 이를 암시하며, broadcast(방송)을 프랑스에서는 diffusion이란 용어를 쓴다는 것도 그렇다. 1930년대 영국 BBC방송의 인기 프로그램 중 하나가 나이팅게일 노래 소리를 생방송으로 내보내는 것이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 구체적인 역사적 배경이 드러난다.

 

(이하 생략)

 

 

긴 인용이었지만, 어떻게 감이 오시는지(Does that ring a bell?). 애트리지는 이 부분이 그리 복잡하지 않은 부분이라고 했는데, 그럼 진짜 어려운 부분은 어떨지 과연 짐작이 가시는지? 이 소설이 2차 세계대전 전야인 1939년에 완성되었다는 것, 그가 당시 프랑스 파리에 살고 있었다는 사실(그래서 조이스 가족이 전쟁을 피해 남부 프랑스로 스위스로 옮겨 다니게 된다)을 고려하여 위의 해설에 한 가지 덧붙이면, 필자 귀에는 Sunsink gang에서 해를 가라앉힌, 세상을 어둡게 만든, 암흑의 독일 나찌스 친위대 SS 무리, Hitherzither! Almost dotty! I must dash!에서 히틀러! 저 미친 놈! 해치워버려야지!라는 소리가 들린다.

 

 

1939년 이 소설이 발표되자 평단이나 독자들의 반응은 무관심이었다고 한다. 누가 이렇게 골치 아픈, 알 수 없는 책에 신경을 쓰겠는가? 2차대전이 막바지인 5년 뒤, 1944년 미국의 (당시 40세의) 젊은 신화학자(神話學者) 조세프 캠벨(Joseph Campbell: 1904-1987)은 시인이자 소설가인 헨리 로빈슨(Henry Morton Robinson)과 함께 첫 번째 가이드를 내놓는데, 그것이 바로 지금도 이 책을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필수적인 A Skeleton(해골) Key to Finnegans Wake: Unlocking James Joyces Masterwork라는 책이다. 집단의 꿈이라는 신화와 중세문학을 연구한 사람이 처음으로 이 암호를 해독한 사람 중 하나라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Tavern Brawl(술집에서의 말다툼)이란 부제가 붙은 이 장면을 캠벨의 일상적인 말로 옮겨보자.

 

Radio Announcement:

   You have just been listening to an excerpt from (중략)

Attention: Stand at!! Ease!!! [The three soldiers.] (attention: 차려, stand at ease 쉬어. 둘 다 군대에서 쓰는 구령이다 필자)

 

   We are now broadcasting to our lovers of this sequence, the twofold song of the nightingales [the Two Girls], from their sheltered positions, hiding in rose-scenery on the hither side of the alluring grove. Silence all! Let every sound keep still; and when we press the pedal pick out and vowelize your name.

(캠벨, 위의 책, New World Library, 2005.10, p.231)

 

 

조이스는 경야율리시스에 비해서도 훨씬 난해하다는 불평에 대해 사람들은 그것이 암난(暗難이겠지요? 필자)스럽다고 한다. 그들은 그걸 율리시스와 비교한다. 그러나 율리시스의 행동은 대낮에 주로 일어났었다. 나의 새 책의 행동은 주로 밤에 일어난다. 밤에는 만사가 불명확한 것은 당연하지 않은가?라고 답했다고 한다. (번역서, 작품 소개, p.631). 해설의 그 장황한 더듬거림도 밤중 꿈 속 잠깐 사이에 스쳐간 생각을 어떡하든 되살려보려는 안간힘에 불과하다고 보면, 왜 이 책의 언어를, 율리시스에서 시도한 의식의 흐름(flow of consciousness)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간, 무의식(또는 잠재의식)의 흐름이며 꿈의 언어(language of dream)(앞의 책, pp.629-630)이라 하는지 충분히 짐작이 갈 것이다.

 

 

그러나, 역자의 번역 및 원문(각각 10줄에 불과)과 그 아래 해설을 비교해 보면, 과연 언어와 번역의 한계는 어디까지이며 언어와 번역의 관계는 무엇인지 질문을 던지지 않을 수 없다. 물론, 이 책이 특별히 예외적인 만큼, 그에 대한 답을 일반화시킬 생각은 없으며, 이 책에만 한정된 것이라고 해도 좋다. 애트리지의 해설처럼 구구절절 늘어놓으면 그것을 번역이라 부를 수 있겠는가? 그렇다고 원문이나 번역문 또는 캠벨의 해골만 남은 1차 암호해독문처럼 던져 놓으면, 도대체 어떤 보통 독자(특별해 봤자 마찬가지리라)가 이를 소화할 수 있겠는가? 필자는 좋은 번역의 기본 조건은 독자들이(그들이 누구이든) 알 수 있어야 하는 것이라고 믿는다. 또 최대한 원본을 반영해야 하며, 형식과 내용이 물론 조화를 이루면 최상이겠지만, 부득이 한 충돌의 경우에는 형식이 내용에 양보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 서있다. 앞에서도 말했지만 원본과 페이지, 줄 수를 맞추기 위해 역자는 아마도 끔찍한 노력을 했을 것이며, 이로부터 혹간 형식을 위해 내용을 희생하기도 했을 것이라는 추측은, 뒤에 나오는 여러 가지 역자의 말로 미루어봐도 억측이라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이 책의 역자는 하루 평균 7~8시간을 매일 원전原典의 반 쪽 또는 한 쪽, 심지어 한 단락을, 페이지당 100회 이상 각종 사전들을 뒤져야 하고, 수많은 참고서들을 섭렵涉獵해야 하는, 때로는 분통 터지는 노동은 율리시스의 그것과는 비교가 되지 않는 성싶었다기나긴 세월 동안 참으로 인고忍苦에 다름 아니었으며, 영상靈想이 떠오르면 밤중에도 발작적으로 일어나야 했던 반半광증, 그것은 정녕코 수도승修道僧의 단말마적斷末魔的 고행과도 같은 경험이었다고 토로하고 있다. (역자 서문, p.27)

 

역자만 그런 것이 아니라, 조이스 역시 경제적 어려움과 전쟁의 음울한 그림자 속에, 녹내장(필자는 젊은 시절 아니 어린 시절부터의 방탕으로 인한 매독梅毒(syphilis)이 원인이라고 보는 입장에 기운다)으로 인한 10여 차례의 눈수술로 거의 실명에 가까운 상태에서(이게 이 책이 흐릿한 책이 된 원인은 아닐까?), 딸의 정신병 발작에 따른 괴로움 속에서도, 무려 17년에 걸쳐 이 작품을 썼다고 하니(평균 1페이지를 쓰는데 9일 걸렸고, 방금 우리가 본 단락 하나 쓰는데 3일이 걸렸다고 한다. Derek Attridge, 위의 글, pp.18-19), 우리가 이를 접근조차 하기 힘들다든지, 또는 암난하지 못하다면 그게 오히려 이상하리라.

 

개그맨처럼 언어에 재치가 있는 사람이면 말을 다룰 때 언어에 내재한 의미의 다중성(多重星)을 이용하여 중의성(重義性: ambiguity)을 지닌 단편적인 말장난(pun)을 할 수는 있겠지만, 600페이지가 넘는 대작 소설 전체를 다의적多義的(polysemantic), 다성적多聲的(polyphonic), 60여 개가 넘는 다언어적多言語的(polylingual)인 언어(이를 역자는 경야어라 부른다, 역자 서문, p.25)로, 거기다가 온갖 인류의 꿈, 신화를 다져 넣어 쓸 수 있다는 것이 믿어지는가? 필자도 위의 해설을 보기 전엔 조이스의 성취에 대해 반신반의했었다. 언어라는 매체媒體(medium)가 이렇게 천변만화(千變萬化)하는 다중의 뜻을 실을 수 있다니! 수많은 결(channel)을 갖추고 그 결마다 다른 언어와 뜻을 실을 수 있는 조이스의 언어는 요즘 말로 하면 광대역廣帶域(broadband)이자 음성다중방송에 틀림없겠다. 이는 물론 영어와 나아가서 언어의 장인匠人(master)이자, 치열한 문학정신을 가진 천재(天才) 조이스만이 가능했던 일이라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하지만 이런 역자의 우공이산(寓公移山)의 노고에도 불구하고, 번역의 의미와 한계에 관련된 보통 독자로서의 아쉬움은 해소되지 않는다. 원본이나 해설서 없이 이 번역본만으로 과연 경야원본만큼 즐길 수 있을 것인가? 필자의 대답은 아무리 애를 써봐도 안된다는 것이다. 짤막한 위의 원본 해설 예에서 우리가 실제 경험했던, 수많은 언어들과, 그 의미의 중첩, 그 울리는 음성의 반향을 우리가 번역본에서도 대등하게 맛볼 수 있다고 주장한다면, 이는 주관적인 생각 또는 자만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역자로서 최선의 등가물(等價物)을 찾았다 말을 의심하자는 것은 아니다.

 

 

잠깐 앞의 상황으로 되돌아가보자. 번역본이 원본의 뜻을 해설만큼 잘 전해주던가? 혹시라도, 번역본이 오히려 원본의 이해에 지장을 준 것은 아닌가? 이 단락에 대한 여러 해설을 이미 본 입장에서 쉽게 말해, 원문이 쉬웠는가, 번역본이 쉬웠는가? 이에 대한 대답도 딱 정해져 있는 것만은 아닐 것이다. 독자의 영어/언어(우리말, 한자) 이해도나 지식은 천차만별일 테니까. 물론 이것도 필자의 주관적 판단이지만, 필자에게는 원본-해설 쪽이, 번역본-원본-해설을 거치는 쪽보다 훨씬 쉬웠다. 번역본-해설의 직접 연결은 (그 missing link로 인해) 필자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거의 지난한 것으로 보인다. 번역을 통해 한 꺼풀 벗겨진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한 겹이 덧씌워진다면, 도대체 번역의 의미는 무엇이란 말인가?

 

 

물론 역자도 원저의 시청각성, 음의音義의 동시적 효과에 대해서는 진작부터 주의했고(번역본, 작품 소개, pp.641-642), 또 나름대로 성과가 있다는 걸 우리 역시 직접 볼 수 있지만, 이 번역본의 울림이 원본의 울림과 동일 또는 등가(等價)라고 한다면 이 역시 필자처럼 주관적인 판단이 아니겠는가? 산을 옮긴 결과물은 역시 산이로되, 원래 그 산이 아니더라고 하면 비유가 될지 모르겠다. 더구나 한자를 점점 멀리하는 사회풍조인지라 세월이 지난 후 젊은 사람들이 이 번역본을 보면, 그 자체로 원본만큼 아득하게 보일 수도 있을 것이다. 필자의 아쉬움은 이 책이 another, low-profile Wake가 아닌가 하는 점이다.

 

 

필자의 생각이 기우(杞憂)가 아닌 것이, 이 번역본으로부터 5년 후의 역자는 이런 말을 한다. (제임스 조이스, 율리시스, 김종건 옮김, 3정 최종개정판, 생각의 나무, 2007. 3).

문체와 기법, 언어의 모방은 이질적 문학 작품의 번역에서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숙제. (위의 책, p.11)

역문의 가독성(可讀性)을 위해 언어의 다기적(多岐的) 변덕성(polymorphous perversity)을 가끔 어쩔 수 없이 해체하기는 했다 이것이 작품의 산문성을 넓혀 독자의 이해를 돕는 것은 사실이나, 텍스트의 본질 또는 정신을 망가뜨리기 일쑤임은 말할 필요도 없다. (위의 책, p.11)

 번역상, 복잡한 내용의 의미를 전달하기 위하여 형식을 파괴하는 일은, 조이스 작품에 관한 한 결코 이상적인 해결책이 못 된다. (위의 책 p.12)

조이스는 언어의 대가이며, 이 언어적 주술의 아수라장을 번역하는 역자라면 이런 경험을 토대로 『율리시스』에도 그와 대등한 언어유희의 묘미와 취지를 살리고자 애쓰리라.” (위의 책, p.12)

한글과 한자의 응축을 통한 이런 언어감각이 당분간은 생소할지라도, 시간이 흐르면서 쌓이는 친밀감을 통해 작품을 한층 고양시킬 것이요, 그 현란한 (言) 맛은 이내 고전이 되고 역사가 될 것이다. (위의 책, p.13)

 

위의 말들은 앞서 말한 필자의 언어와 번역에 대한 생각과는 정반대 입장으로 보인다. 이질적(異質的)인 문학의 번역에서 내용이 아니고 형식이 우선이 될 수 있을까? 이질적이라는 의미는 뭘까? 성질이 다르다는 것은 내용과 형식이 다르다는 것이리라. 내용을 따르자니 형식이 울고, 형식을 따르자니 내용이 울 판인 어려움이 있을 때, 어떤 번역물의 독자가 전적으로 폐쇄적인 일군(一群)의 전문독자가 아닌 바에야, 5년 전 말대로 어떻게 보통 독자들에게 다가갈 수 있을지 계속 염려해야 하는 것이 번역 아닐까 하는 것이 필자의 뇌리를 떠나지 않는 물음이다.

 

필자가 보건대, 역자가 정말 본보기가 되는 존경할만한 학자라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지만, 부득이 내용까지 희생한 형식미의 전달에 있어서도 그만큼 뛰어난, 예술가로서의 번역가로서도 그런가? 다시 말해 역자의 언어유희는 성공하고 있는가? 그런데 과연 그것이 역자의 언어유희인가? 조이스 언어유희의 번역인가? 역자가 나름으로 정의한 번역의 의미는 정당한가? 라는 물음에 대한 보통 독자로서 필자의 답은 회의적이며(정당한 문학사적 평가는 필자의 능력 한참 밖이다), 괴물(monster) 번역이 아직은 우리 보통 독자에게는 과분하다는 것이 솔직한 심정이다. 이는 보통 독자의 개별 사정이 아니라, 우리말, 우리 번역, 우리 문학의 역사와 내용, 기법, 나아가 우리 문화와 지식 수준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한다.

 

 

일본도 역시 우리와 사정이 비슷하다. 이 책의 70년이 넘는 장구한 번역 역사에도 불구하고 1991년부터 1993년 사이 처음으로 완간된 야냐제 나오키의 번역본이, 조이스의 언어실험을 그대로 도입하여 해체하고 합성한 일본어를 만들어 번역한데다가, 문학적 격조를 유지하는데 성공했다고 하여 일본 영문학계의 지지를 받았지만, 일반 독자들은 그 난해함(esoteric nature)에 고개를 돌리게 되고*, 2004년 6월 미야타 교코라는 여류 번역가에 의해서 원본의 절반 분량인 축약번역본(그런데 주석까지 포함하면 흥미롭게도 원래 책과 같은 분량인 628페이지라고 한다) 이 나왔는데, 이는 신조어 없이 평이한 일본어를 사용 가독성을 높이고 어려운 설명은 각주로 처리했다는 데서, 일반 독자의 접근이 쉽고, 반응이 좋다고 한다. 아래 글에 우리나라의 구세대 영문학자라고 할 수 있는 나영균 교수(이화여대 명예교수)는 나오키의 번역을 극찬했다는 내용과, 신세대 영문학자라고 할 수 있는 전은경 교수(숭실대)는 교코의 방식이 일반독자에게 접근 가능한 방식이라고 호감을 표시했다는 내용이 나오는 것도, 필자의 지금 생각과도 비슷한 간극(間隙)을 보여준다.

* Ito Eishiro: he even translated Joyce's style into Japanese. Yanase's translation is a novel in its own right and a great masterpiece of Japanese literature. However, his translation is too esoteric for the general reader: only a very limited number of academic and patient readers could finish it.

from Two Japanese Translations of Finnegans Wake Compared:Yanase (1991-1993) and Miyata (2004)

- 이 논문은 2004년 11월 한국제임스조이스학회가 서울에서 개최한 국제학술대회에서 발표되고, 위 학회가 발간하는 James Joyce Journal(JJJ) 2004년 12월호에 실렸다고 되어 있는데, 위 학회 홈페이지(www.joycesociety.or.kr)에서 다운받을 수 있는 자료를 보면, 제목에는 나오는데 내용은 빠져있다(pp.117-162 missing). 이는 아마도 판권 때문일 것으로 생각된다. 지금 내용은 아래 홈페이지에 나와 있는 것이며, 판권이 있는 자료(copyrighted material)이다. 지금 일어번역과 관련된 내용은 다 이 자료를 참고하였다. 필자는 일어 능력이 없다.

(http://p-www.iwate-pu.ac.jp/~acro-ito/Joycean_Essays/FW_2JapTranslations.html)

 

 

필자가 이 책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변죽만 울리고 있는 형편에(사실 다른 방법이 없기도 했다) 서평을 쓰는 만용을 부리는 것은, 필자가 발견한 이 책의 비밀을 여는 키 중의 하나를(물론 키는 하나가 아니라 무수할 것이다) 독자들과 공유하고 싶어서이며, 이 책과 같이 나온 "김종건, 피네간의 경야 안내, 범우사, 2002. 3"을 다시 사야 하는 고민과 함께, 우리나라에서도 일반 독자를 위한 미야타 교코 같은 번역자가 나올 수는 없나 기대를 가져보기 때문이다.

 

 

 

 이 책을 다 읽을 능력도 없고 번역에 대한 기본적 입장마저 다른 처지에, 무슨 서평을 쓰며, 게다가 만점 평점까지 주느냐 욕할 사람도 있겠지만, 필자로서는 이 큰 산을 옮긴 노교수의 정열에는 이의(異義)가 없으며, 앞으로 이 위에 연구성과가 계속해서 쌓이는 것을 보고 싶은 것이다. 관점이 다르다고 그 존재와 의의마저 부정하는 것이야말로 세상의 더 큰 부분을 놓치기에 딱 좋은 방법일 테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