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모 비룡소 걸작선 13
미하엘 엔데 지음, 한미희 옮김 / 비룡소 / 1999년 2월
평점 :
품절


'내이름은 김삼순' 드라마에서 삼순이가 남자친구의 조카에게 읽어준 '모모'를 처음 접하고, 바로 읽어야지 하고는 이제야 읽게 되었다. '모모'는 쉽게 읽히는 책이지만 다루고 있는 주제는 결코 쉽지 않은 철학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모모'는 원형극장의 구석에서 혼자 사는 여자아이. 모모에게는 사람을 끄는 매력이 있어서 어른, 아이 할거없이 모든 사람들이 좋아한다.  이번 설날에 아버님이 리더가 되기위해서는 '남의 이야기를 들어주면 된다'는 말과 일맥상통하게 모모는 자신의 이야기를 하기 보다는 그저 들어주는 것을 즐긴다. 싸우다가 모모에게 잘중재를 부탁하러 온 사람들은 상황을 이야기 하다보면 서로 부끄러워져서 화해를 하게 되고, 모모 앞에만 서면 말을 잘 하지 못하는 사람도 말을 잘하게 된다. 

그렇게 평화스러운 마을에 시간을 저축하라는 회색신사들이 오면서 조용하던 사람들은 서로 싸움을 하게 되고,  시간에 쫓겨 웃음을 잃어 갔으며 더이상 모모를 찾지 않게 된다.  다행히 호라박사와 카시오페이아 거북의 도움으로 예전의 평화로운 마을로 돌아간다.

회색신사들의 의미는 무엇일까? 무의미한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사람, 게으른 사람에게 무언의 경종을 올리는건 아닐까? 하루를 무의미하게 산 사람은 일주일을 무의미하게 살게 되고, 한달, 1년을 무의미하게 살게될것이다. 그러다 보면 나이가 들어 젊은 날을 후회하게 된다는 의미일듯.  아니면 늘 시간에 쫓겨 왜 바쁜지 이유도 모른채 바쁘게 살아가는 사람들은 회색신사들에게 벌써 시간을 저당 잡힌건 아닐런지. 

이 책은 주인공 모모를 통해서 남의 이야기에 진심으로 귀 기울여주고, 시간을 소중히 다루라는 메시지를 전해준다. 설날 연휴 없는 시간을 쪼개서 읽게 되었는데,  값진 선물이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