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의 신화 길가메쉬 서사시
김산해 지음 / 휴머니스트 / 2005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예전부터 읽어 보고 싶었다. 가장 오래된 서사시라는 길가메쉬 서사시를 말이다. 읽어 보고 싶다는 생각만 했을 뿐 찾아보진 않았는데 알고 보니 이번에 나온 것이 원문을 다 소개한 최초의 책이라고 하지 않는가.
나로서는 다행이다. 나도 길가메쉬를 이 책으로 처음 접하게 된거니까. 어쩌면 이전에 나온 것을 읽으면서 답답함을 느꼈을지도 모르니까.

신화엔 주인공이 등장하고 그는 영웅이어야 한다. 길가메쉬도 영웅이었다. 반인반신이었던 길가메쉬. 처음에 그는 난폭하기만 해보인다. 그런 그를 제압하기 위해 원시인이었던 엔키두를 보내게 되고 그 둘은 결국 둘도 없는 친구이자 형제가 된다.
엔키두가 없었으면 영웅의 서사시는 계속 될 수 없었을 것이다.
더 높은 곳을 향하고 싶었던 길가메쉬를 위해 후와와와 하늘의 황소를 같이 죽였다. 신들은 분노했고 엔키두만을 죽음에 이르게 했다. 그리고 길가메쉬는 죽음의 두려움을 깨닫게 된다. 영생을 위한 모험을 하게 되지만 같이 모험을 할 친구는 이미 없었다.
길가메쉬는 결국 인간의 운명을 피할 수 없었다.

화려한 업적만을 보여주는 것만이 아닌 고난까지 보여주는 길가메쉬 서사시. 그리고 길가메쉬의 삶에 계속적으로 간섭하는 신들.
그 모습은 그리스 신화에서 많이 보여진다.
물론 길가메쉬 서사시를 세상에 알린 홍수이야기는 히브리족이 차용했음을 부인할 수도 없다.

신화를 낳은 신화. 그렇게 소개하고 있다. 그리스 신화와 성경의 기초가 된 신화. 그리스 신화가 만들어지던 때와 성경이 만들어지던 때엔 분명 길가메쉬 서사시가 널리 알려져 있었을 것이다. 그것이 최초였으니까. 하지만 지금은 그리스 신화와 성경이 더 유명해졌다. 그것이 당연한 것으로 여겨질 정도로 말이다. 길가메쉬 서사시를 읽고 나면 그 둘은 길가메쉬 서사시를 잘 조합해서 베낀 것이라고 생각될 수 밖에 없다. 가장 오래된 서사시가 지금껏 가장 유명한 이야기가 될 수 없었던 것은 어쩌면 나중에 생겨난 그리스 신화와 성경의 영향이 있었을지도 모른다. 그들의 신화를 유명하게 하기 위해 그들의 것을 최초로 만들기 위해 진정한 원본을 감추려는 작업이 진행되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최근에 끝을 낸 판타지의 시초라고 부르는 영화 반지의 제왕의
톨킨은 신화를 지니지 못한 조국을 안타까워 하면서 글을 썼다고 했다. 인간은 어느 정도 삶이 풍족해지면 자신의 뿌리를 찾기 마련이다. 유구한 자신의 뿌리를 만들기 위해 신화를 염원한다.

책에서 AD.BC라는 연도의 표기를 쓰지 않는다. 현재로부터 몇년전 이라는 표기를 쓰고 있는데 그리스도 이전, 그러니까 히브리족의 성경조차 길가메쉬 서사시에서 따왔으므로 당연히 현재부터 거꾸로 세는 편이 나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보편적인 표기를 따르는 것이 더 낫지 않았을까 싶은 생각이 든다. 2004년에 원고를 썼고 2004년부터 몇년전을 계산하게 되는데 책이 출판된 올해부터도 1년씩을 더해야 한다. 물론 몇천년에 비해 1-2년은 보잘것 없긴 하지만 전문적인 참고를 하게 된다면 불편해지기 때문이다. 매년 새로 책을 찍어 낸다면 더할나위 없이 좋겠지만.


댓글(3)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드무비 2005-03-29 20: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뒤늦게 보고 갑니다.^^

2005-03-29 20:49   URL
비밀 댓글입니다.

▶◀소굼 2005-03-29 21: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런 이런..아깝네요; ㅠ_ㅠ; 여름을 그녀석과 보낼까 했는데 말이에요^^;; 다른 녀석 이쁜거 보시면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