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번역을 좋아한다. 단어를 하나씩 차곡차곡 선택해가며 문장을 꾸리고 그 문장을 쌓아서 글의 윤곽을 형성해나가는 과정이 좋다. 나의 지금은 단어 이하에서 일어나는 싸움의 연속이지만 돌아보면 문장 이상의 결과물이 산출되어 있는 게 좋다. 느리고 차분하고 정직한 작업. 모르는 걸 얼버무리거나 대충 건너뛸 수 없다는 데서 정직함은 기인한다. 출발어와 도착어가 빈틈없이 들어맞아 지금 일을 제대로 하고 있구나 확신할 수 있을 때의 쾌감은 엄청나다. 대부분의 작업은 100% 만족스럽지 않은 선택지 중 가장 나은 것을 고르고 나머지를 버리는 '솎아내기'에 할애된다. 잘 버리는 능력은 번역에 유용하다.
전문번역사가 된다는 것은 "원문이 그랬어요"라는 변명을 절대로 하지 않겠다고 암묵적으로 서약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가독성이 떨어지거나 의미가 불분명한 번역은 설사 원문이 그랬다고 하더라도 나쁜 번역이 된다. 현대의 번역사들은 대부분 지역화(localization)에 익숙하다. 현지의 독자들에게 낯선 문화와 개념은 익숙한 문화와 개념으로 치환된다. 쉬운 예로 관용어나 속담이 있다. 같은 개념이라도 다른 함의를 지니는 단어에 이르면 번역의 불가능성을 논할 수밖에 없다. 되도록 거기까지는 생각하지 않으려 한다. 다만, 단정하고 읽기 좋은 문장을 만드느라 얼마나 많은 의미들을 유실하고 있는지는 가끔 떠올린다. 가끔은 떠올려야 할 것 같고 또 가끔만 떠올려야 할 것 같다.
나의 글쓰기 습관이 번역에 흔적을 남기듯 번역하는 방식도 글쓰기에 영향을 미친다. 일 예로 편하게 써도 되는 환경에서도 나는 최대한 맞춤법을 지키고 정돈된 글을 쓰려고 노력한다. 그 사이에서 당연히 생각은 어느 정도 유실되고 말의 세기는 달라진다. 통역할 때를 떠올려보아도 말투와 목소리 톤은 의식적으로 정제할 수 있지만 무의식적인 말습관은 은연중에 배어 나왔다. 목소리를 가다듬거나, 쩝쩝대거나, 숨을 크게 쉬거나, 말을 시작하거나 마칠 때 특정 소리를 내거나, 어떤 단어를 유난히 반복하거나, 말의 속도가 들쭉날쭉하거나, 말과 말 사이 공백이 생기면 듣는 사람 입장에선 매우 거슬린다. 통역을 위해 그런 말습관에 유의하다보면 당연히 평소의 말투도 바뀐다. 나는 이전에도 욕을 안 하는 사람이었지만 더 욕을 못하는 사람이 되었다.
갑자기 웬 번역 이야기인고 하니(챗GPT 관련 "10개 직업군을 제시하고 대체 가능성을 묻자 90.9%의 비율로 번역가·통역사가 꼽혔다." (관련기사 링크) 맨날 이런 것만 1등이지!!) 지금 읽고 있는 책들 때문이다. 자살을 주제로 한 책들을 쌓아 놓고 읽으니(장 아메리 <자유죽음> 읽는 중) 짝꿍이 걱정하기에 파스칼 메르시어의 <언어의 무게>, 이레네 바예호 <갈대 속의 영원>으로 잠깐 선회했다. 두 권 다 두꺼운 편이라 출퇴근 때 들고 다니기 어려워서 진도가 더디다. 파스칼 메르시어(본명: 페터 비에리, 본업: 철학자)의 <언어의 무게>의 경우 번역가가 등장해서 언어와 번역에 관해 이야기한다(언어의 실사용보다는 언어라는 관념을 더 사랑하는 듯한 인물 레이랜드는 지중해에 면해 있는 모든 국가의 언어를 배우겠다고 결심한다). 학부 때 읽었던 <리스본행 야간열차>도 그랬지만 이 양반, 살던 곳을 떠나 인생을 리셋하고 싶은 마음을 자극하는 데 일가견이 있다(새로운 언어를 배우고 싶은 열망도!!). <갈대 속의 영원>은 읽으면서 책의 '몸 있음'을 자각하게 된다(책에 과몰입한 찐 책 덕후 찾으신다면 여기 있습니다. 책 이야기를 어디서 시작해볼까? 최초의 도서관?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을 이야기하려면 먼저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전쟁부터 훑어야지.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또 호메로스를 좋아했다고. <일리아스>는 말이야.. 이런 식). 토요일에 만나기로 했던 친구가 코로나에 걸리는 바람에 약속이 파투 났다(아직 한번도 코로나 걸린 적 없는 사람 접니다. 연중 360일은 골골대지만 의외로 역병엔 강한 편). 요즘 40분 집중, 20분 휴식을 주기로 하는 포모도로 기법에 빠진 지라 내일 시계 돌려놓고 실컷 책 읽어야지 생각하니 약속보다 신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