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환상동화집
헤르만 헤세 지음, 정서웅 외 옮김 / 민음사 / 2002년 6월
평점 :
이 책을 읽기 전과 읽고난 후에 느끼는 것은 아주 색다릅니다. '동화집'이라는 관념과 제가 알고 있는 '헤르만헤세'라는 인물에 대한 관념을 가지고 구입한 책입니다만, 적어도 '동화'라는 단어가 가지고 있는 이야기들과는 달라서 적지않게 당황하게 됩니다. 가장 동화 스러운 작품으로는 헤세가 10세에 썼다는 가장 뒷편에 소개된 '두형제'이야기 일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뭔가 뒤틀리고, 세밀하게 묘사된 단어들의 나열과, 암울하게 표현되는 주인공들의 감정들. 그리고, 무엇인가를 강하게 상징하는 것들 그럼에도 그것이 무엇인지 알 수 없는것 등 '동화'라고 보기엔 어울리지 않는 것들이 많습니다.
처음에는 '이런 어울리지 않는 제목'을 달아 '헤르만 헤세'의 이름을 빌어 단순하게 판매를 올리고자 하는 것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마져 들었습니다. 하지만, 관점을 잠깐 바꾸면 이 책은 말할 수 없는 매력을 주는 책으로 바뀝니다.
이 책은 주로 1910년대의 글들이 있습니다. 헤르만헤세의 유명한 작품들은 1910년대 부터 1940년대까지 이루어지죠. 다른 유명한 이야기들에 비해서 이책에 나온 이야기들을 보면 유명한 이야기들의 조각들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전체적인 이야기 구도,주인공이 노력하는 모습, 등장인물등의 유사성, 또한 무엇보다 눈에 띄는 것이 '자기고백적'인 작가나 꿈을 찾는 사람들이 등장한느 점입니다.
자기고백을 하고, 주로 '꿈'을 찾는 이야기를 풀어내는 작가는 '헤르만헤세' 본인의 솔직하고도 진솔한 이야기입니다. 그 유명한 사람조차 보통 사람들이 느끼는 '좌절'과 '혼돈'과 '감정의 기복'등을 겪으며 글을 써나갔다는 것을 엿볼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이 책의 매력은 '동화의 내용'보다도, '헤르만헤세'를 글쓰기 가정교사로 모시면서 '글쓰기'를 배우는 듯하다는 것입니다. 이 책을 읽다보면 '헤르만헤세'라는 사람이 한층 더 가깝고 친근하게 느껴질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