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림 아는 만큼 보인다 - 신개정판 ㅣ 생각나무 ART 7
손철주 지음 / 생각의나무 / 2006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을 지으신 분은 분명 공력이 많이 들었을겝니다.
그리 믿으려고 합니다. 책을 읽고 나서 얼굴도 모르는 사람의 글을 쉽사리 뭐라 말하는것
나이 먹을수록 부담스럽습니다.
그래서 장황하게 앞 글을 답니다.
그림 아는 만큼 보일겁니다. 그렇게 생각합니다.
그만큼 책도 느낌 만큼 읽힌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신문사 기자의 글 스타일이라는 것이 있더군요. 잘 몰랐었는데, 그 언저리에서 먹고 사는 일을
하다보니 대략 알게 되었습니다. 신문사 기자의 글은 신문에 있을때 가장 글 맛이 납니다.
아무리 기자가 글로, 펜으로 먹고 사는 직업이라고 해도 그건 기사일때라는 것을
이번에 절절히 느끼게 되었습니다.
힘을 많이 빼고 글을 쓰시려고 했던것 같습니다.
그리고 팩트 위주의 글로 무미건조하지 않게 쓰려고 노력을 많이
하신것 같습니다. 그런데. 가장 저자에게 미안한것은 개인적으로 전혀 공감하지 않는
글 쓰기를 하셨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별점을 두개밖에 드릴 수없다는 것입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글 쓴이와 개인적인 성향이 맞지 않았던 책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그림 이야기라면, 그림을 아는 것이라면 그림을 잘 알게 할 이야기를 듣고 싶은 것일겝니다.
적어도 하나의 그림을 더 많이 알고 싶은것 때문에 책을 읽게 되었데
아쉽게도 글쓴이는 너무 많이 알고 계십니다 그려..
적어도 그림을 깊게 알게되는 것과는 별로이 상관없어 보이는 것을 너무 많이 알고 계셨고,
그점을 너무 많이 나타내셨습니다.
하나의 그림을 이야기할때는 그 그림과 관련된 이야기를 해주셔야 하지 않을까요?
왜 갑자기 다른 화가의 이야기와 그 화가의 다른 그림으로 이야기가 뛸까요?
무엇보다 가장 큰 불만은 하나의 그림을 이야기 하면서 왜 그 그림은 보여주지 않을까요?
인터넷을 뒤지면 볼 수 있겠지요. 고해상도 이미지를 책보다 더 잘 보이는 것으로
찾을 수도 있을 것입니다.
아쉽게도 그건 책을 읽으면서도 인터넷을 뒤져야 한다는 압박이요.
둘째는 저자의 설명없는 그런 불친절함이 마음에 들지 않기때문입니다.
제가 알고 싶었던 것은 그림이지. 저자의 그림 곁다리 지식이 아니었으니까요.
또 하나. 사자성어라고 하나요? 참 많더이다. 저자가 알고 계신거 무척이나 많으시더이다.
몇개는 그래도 나이를 먹어 알아들었는데 아쉽게도 많은 수는 잘 몰랐습니다.
그런데, 알고 있는 한자때문에 책의 재미가 또는 깊이가 더 커진거 같지 않습니다.
뚝뚝 끊어지며(신문기사마냥) 사자성어를 남발하는(옛 신문 사설처럼)글은
왜 그리 목에 힘준 몰락한 양반의 모양새가 떠오르던지..
마치 10만원짜리 상품권을 흔들며 팔려나가기 기다리는 신문의 처지가 떠올랐습니다.
심한 개인적 편견때문에 이 책을 평가절하할 생각은 없지만,
누군가 이 서재를 읽고, 이 서재를 통해 고를 책을 결정하는데 조금이나마 보탬이 될지
모른다는 혼자만의 그럴듯한 생각으로 느낌 그대로 씁니다.
그림책을 수필책으로 만드셨습니다. 그래서 좀 아쉽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