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한국문화>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조선인의 유토피아 - 우리 할아버지의 할아버지가 꿈꾼 세계 키워드 한국문화 5
서신혜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먼저, 책이 생각보다 작고 얇다.  '책세상문고'보다도 작은 듯.

 

<조선인의 유토피아>에서는 신화적 이상공간인 산해경형, 도교적 이상향 신국인 삼신산형, 인위적 권력을 배제하여 현실 속에 이룬 이상공간이 무릉도원형, 현실 속에 이룬 유교적 이사공간 인 대동사회형 등 다양한 형태의 동양의 이상사회를 언급한다.   

 

사실 환상적 이미지가 가득한, 현실에 발을 딛지 않은 이상사회에 대한 얘기는 읽기가 싫었다. 이 세상과 단절된 유토피아란 무슨 의미가 있겠나. 그렇다고 참신한 상상력도 아닌 그저 그런 이야기.    

 이 점은 저자도 인정을 하고 있고 따라서 저자는 "우리가 사는 오늘을 어떻게 하면 더 행복하게 만들 수 있는가"에 대한 현실적 관점으로, 무릉도원형과 대동사회형을 더 세세하게 주목하고 있다.  

 

조선사람들이 꿈꿨다는 '현실적' 이상사회의 특징에는 다음과 같은 점이 눈에 띈다.  

"우리 선인들이 꿈꾼 이상사회는 단순히 놀고먹는 사회가 아니다. 모두가 함께 열심히 일하면서 노동에서 오는 풍요와 즐거움을 누릴 수 있는 공간이다" 

"자연이 그 생명력을 최대한 발휘하고 사람도 자연의 법칙을 거스르는 과도한 욕심을 부리지 않아 조화를 이룬 것을 알 수 있다." 

"추수를 마친 농한기인 늦가을부터 겨울 동안에는 그저 노는 것이 아니라 함께 모여 글을 읽는다고 했다."  

 

이는 '청구야담'에 실려있는 이야기라고 한다. 이러한 '이상사회'라면 저 멀리 있는 것도 아니고 이룰 수 없는 것도 아니다. 굳이 과장하여 '유토피아'라 말할 것도 없이, 이미 수많은 선인들이 제시해둔 더 나은 삶을 위한 우리의 실천과제에 가까운 듯 하다. 그리고 이런 이상의 모습 그리고 그 실현을 위한 공동체 구성은 지금의 우리에게도 절실한 당면과제라고 생각한다.

물론 위와 같이 '이상사회'를 꿈꾼 걸 우리조상 일반으로 여겨서는 안되겠지만, 이런 생각을 품고 공동체를 잘 꾸려가려고 노력한 사람들이 그 옛날부터 실제 있었다는 점은 이 책에서 가장 인상 깊은 대목이었다.  

 

그렇지만 책에 대한 총평은(전적으로 개인적 견해), 조선문화에 남다른 흥미를 가진 사람이 아니라면 굳이 찾아서 읽을 필요가 없지 않을까... 우리가 만들어가야할 '이상사회'에 관심을 갖고 책을 보고싶은 사람도 있겠지만 그들의 목적엔 이 책의 내용은 너무 밋밋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