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 이야기
얀 마텔 지음, 공경희 옮김 / 작가정신 / 2004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얀 마텔의 '파이 이야기'. 표지 그림이나 책 뒷면의 간단한 소개글로 인해 처음엔 오해했었다. 소년과 호랑이의 우정이 주가 되는 가벼운 청소년용 소설 정도일거라고... 그런데 뚜껑을 열고 보니 완전히 나의 오해.  뭐랄까... 로빈슨 크루소나 손도끼같은 류의 조난자 생존기이면서도 평범하지 않은 건 동거인으로 벵골 호랑이 한 마리가 있다는 것. 조난당했을 때 느끼는 여러가지 감정(그게 고독이든 절망이든)을 충실히 그려냈다는 것, 종교에 대한 깊은 성찰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먼저 호랑이 한 마리. 리차드 파커라는 사람 이름을 우연히 갖게 된 이 호랑이로 인해 늘 적당히 긴장해야 하고, 편하게 마냥 늘어질 수 없다. 그래도 리차드 파커가 없었다면 아마 주이공 파이는 외로움으로 인해 거의 미쳐버리지 않았을까싶다.

 그 전에 읽었던 게리 폴슨의 '손도끼'를 보면 깊은 삼림에 조난당한 소년이 혼자 생활을 꾸려나가는 과정을 자세히 보여준다. '파이 이야기'도 이와 비슷하지만 손도끼류의 좀 더 교훈성이 강조된 소설은 아니다. 어설픈 교훈은 없느니만 못하니 그 점이 맘에 든다.

  소설 앞부분을 읽어나가면서 가장 흥미로웠던 것은 주인공과 같은 종교생활을 하는 사람을 본 적이 없다는 것이다. 힌두교도이면서 기독교도, 이슬람교도인 사람. 혼란스러워하고 황당해 하는 사람들에게 단지 이 말을 던질 뿐이다. 본인도 그 말밖엔 달리 설명할 길이 없었으리라.

'신을 사랑하고 싶다'

신을 사랑하고 싶다는데 누가 더 뭐라고 하겠는가.

하나 더 추가.

가끔 신을 믿는 사람중엔 배고픈 노숙자, 이웃들은 늘상 있는 풍경인 듯 그냥 지나치면서, 신에 대해 부정적인 말을 들으면 굉장히 흥분하고 열변을 토하는 사람들이 있다고. 자신과 종교에 대한 생각이 다르다고 흥분하기 전에, 자기 주위부터 살피고 자신이 그토록 열광하는 신의 사랑을 그들에게 베푸는 건 어떨지... 이런 주인공의 생각에는 전적으로 동감이다.

 결국 광신은 '신이 없다'는 생각보다도 더 해로운게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