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부터 읽고 있는 <세 여자1, 2> 

 무척 흥미롭게 읽고 있다.

 부제가 '20세기의 봄'인데, 일제시대의 이야기이다. 세 여자 주세죽, 허정숙, 고명자는 실존인물이다.

 원체 내가 그 시대를 배경으로 한 이야기들을 좋아하기도(?)하고.

 '좋아한다'는 표현이 좀 불경스럽게 느껴지기도 한다. 나라를 빼앗기고 백성이 핍박받던 시대.

 하지만 공식적으로 반상의 구분이 없어진 시대이며 새로운 사상이 첨예하게 날 서 대립하던 시대. 모던 보이와 신여성이 거리를 활보하던 시대이기도 하다.

 그러니 그 시대의 주인공들은 서툴고, 혼란스럽다. 그러면서 순수하고 열정적이다. 그래서 그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이야기들은 매혹적이다.

 

 그래서 재미있게 읽고 있다. 다만 씁쓸한 것은 세 여자의 고민을 21세기의 내가 여전히 똑같이 하고 있다는 것이다. 세상은 쉽사리 변하지 않는다.

 

 

 영화<사도>를 아이들과 함께 보았다.

 나는 예전에 본 영화지만, 아이들이 영정조 시대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역시 조선에서는 세종대왕 다음으로는 영정조인듯.

 비극적이지만 사도세자의 이야기는 영정조 시대에서 가장 많이 회자되는 이야기이다.

 아이들은 사도세자가 뒤주에 갇혀 죽었다는 내용까지는 알고 있었다.  <설민석의 한국사 대모험>에 나오는가 싶기도 하고. 요즘 아이들이 열독하고 있다.

 그런데 그 자세한 이야기는 잘 모른다. 그러니 이해가 안 갈 밖에. 아들을 뒤주에 가둬 죽인 왕이라니.

 물론 영화<사도> 또한 그 이야기를 어느 한 관점에서만 다룬 이야기일 뿐이지만, 그래도 영화를 보면 '그럴수도 있겠구나.' 하지 않을까 싶었는데,

 영화를 끝까지 보고 나서도 질문이 많았다. 아직 아이들에게는 어려운 이야기인가 보다. ㅎㅎㅎ

 

 이번 주는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 현실너머편> 을 읽으려 한다.

 아, 또 업무용으로 <안네의 일기>를 읽고 있는데, 어린이용이지만 내가 읽기에도 손색이 없다.

 어릴 때 읽고 다시 읽으니 새록새록 재미가 있다. 음. 이 역시 재미있다로 표현하기에는 어린 안네에게 좀 미안한데,

 가슴이 아릿하다고 하면 위로가 될까.

 다 읽고 아이들에게도 읽히려 한다.

 안네는 13살, 우리 큰 애는 11살.

 서로 일면식도 없지만, 이 틈에 인사나 해두렴. 세상엔 이렇게 살다 간 언니도 있단다.

 

 <세 여자>도 그렇고, <사도>, <안네의 일기>도 그렇고

 사는 건 생각보다 비극적인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번 주에 읽을 책. 과연 다 읽을 수 있을까.

 너무 바쁜 한 주였다. 이번 주도 마찬가지일 테고...

 그래도 홧팅!

 우울한 것보다는 바쁜게 나으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계에 대한 관점의 차이는 타인에 대한 평가를 다르게 한다. 세상이 그나마 안정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사회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그 문제의 원인이 개인에게 있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사회가 안정적인데 문제가 발생한 것이니, 그 문제는 사회의 잘못이 아니라 사회에 적응하지 못한 개인의 일탈 행위라고 보는 것이다 반대로 세상이 문제가 많고 불안정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사회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 그 문제의 원인을 개인이 아닌 사회에서 찾는다. 왜냐하면 사회가 이미 문제를 내포하고 있으므로, 정상적인 개인이라도 그 부조리한 상황 안에서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는 것이다.(정치편, 192p.)

하지만 이렇게 후기 자본주의와 공산주의가 동시에 진보로 분류된다는 언어적 문제는 한국 근현대의 비극을 만들어냈다. 김대중 노무현 전대통령 등의 후기 자본주의자들이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을 주장한다는 이유만으로 공산주의자나 빨갱이로 불리기도 한 것이다 신자유주의를 옹호하고자 하는 개인과 집단에게는 정부의 개입을 주장한다는 면에서 실제로 후기 자본주의가 공산주의와 구분되지 않았을 수도 있다. 하지만 사실 이러한 문제는 순수하게 언어적 혼란 때문에 발생한 문제만으로 보기는 힘들다. 후기 자본주의와 공산주의의 구분이 의도적으로 은폐된 면이 없지 많다. 자신의 재산과 기득권을 유지하고자 하는 사람들은 어떠한 수단과 방법도 가리지 않고 신자유주의를 지켜내고자 하는 것 같다. 그런 집단은 자신의 기득권을 이용해서, 역사적인 맥락에서 한국인이 거부감을 가지고 있는 공산주의를 후기 자본주의와 함게 묶음으로써(...)(199p.)

마지막으로 4(내가 노동자이고, 보수를 선택하는 경우)의 판단이 조금 이상한데, 이 판단은 단적으로 어리석다. 4를 선택한 사람은 자본가에 비해 가난할 것이다. 그런데도 자신의 이익을 대변하는 진보 대신, 자본가의 이익을 대변하는 보수를 선택했다. 그것은 이익을 고려한 경제적 판단도 아니고, 윤리적 판단도 아니다. 가난한 사람이 자신의 이익이 아니라 부유한 타인들의 이익을 위한다는 것은 전혀 윤리적으로 보이지 않는다. 아마도 4를 선택한 이가 있다면, 그는 경제와 정치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누가 자신의 이익을 대변하는지 판단하지 못했기 때문일 것이다.(204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지난 주에는 너무 바쁘고, 읽은 책도 없어서 주간독서일지를 못썼다. 그러고 보니 처음이다. 아무것도 못 읽은 것도, 주간독서일지를 빠뜨린 것도.

 

지난 주도 아프고, 가족여행을 가고, 일이 바쁘고, 그래서 책을 많이 못읽었다. 대신 영화 <국제시장>을 보았다.

아이들과  거제, 통영, 남해 여행을 했는데. 거제도 포로수용소 유적공원에 갔더니, 흥남철수에 관한 이야기가 있었다.

그리고 남해 독일마을에도 갔다. 파독광부, 파독간호사들에 대한 이야기를 아이들에게 들려주었다. 내 말솜씨가 없어서인지, 아님, 시대상황을 이해 못해서인지, 아이들이 못알아듣는 눈치이길래 <국제시장>을 빌려다 함께 보았는데, 그제야 아이들은 이해가 가는 모양이었다. 흥남철수, 파독광부 이야기가 모두 들어있는 영화라 한큐에 설명 끝!

한려수도의 많은 섬들도 실컷 눈에 담고 왔으니, 이번주는 영화<명량>을 보려한다.

 

 

 

 

 

 

 

 

 

 

 

 

 

 

그리고 책도 좀 봐야할텐데. 지난주는 <지적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을 겨우 다 읽었다.

이번주는 <독일어 시간>이 기다리고 있다. 몸도 아픈데, 책은 아껴읽고, 잠을 푹 자야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거미집 짓기>를 모두 읽었다. 영화<덩케르크>는 아직 못봤다. 지난 주는 너무 바빴고 이제부터 쭈욱~ 바쁠 예정이다. 

당분간은 일주일에 한권 읽는 것을 목표로 해야겠다.사실 몇권의 책을 읽는가는 중요치 않다.


<10만원으로 시작하는 주식투자>를 읽고 있는데, 너무 재미있다. 그 중 차트 분석 부분이 특히 재미있었다.

주식은 하나도 몰랐는데, 책을 읽어도 모르긴 마찬가지다. 하지만 차트랑 숫자가 막 나오니까 엄~청 재미있다고 느껴졌다. 역시나 난 이과형 인간인가보다.


어제는 교보문고에 들렀다.그 유명한 <지적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을 샀다. 역사부분만 겨우 읽었는데,

소문처럼 쉽고 재미있게 읽히지만, 너무 얕은게 아닌가 싶기도 하다. 너무 아는 내용만 나온다.여하튼 더 읽어보아야 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