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스포터 (The Transporter) -'택시 3'인가?
'뤽 베송 제작군단 2003 스피드 혁명'
영화 포스터의 문구이다. '택시'로부터 시작하여 뤽 베송이 관여된 영화에는 "스피드" 라는 문구가 들어가는 듯 하다. 이런 빠른 방식의 영화에 의문부호를 제시하는 것은 영화의 재미를 반감하기 마련이다. 멋있고 통쾌하고 짜릿하면 될 뿐이다.
뤽 베송 영화의 최근 주류는 동양으로 눈을 돌리고 있는게 아닌가 싶다. '와사비'에는 일본의 히로수에 료코를 기용하더니, '트랜스포터'에서는 홍콩의 인기 여배우 '서기'를 기용했다. 두 명의 감독 중 한 명은 홍콩 감독 원규이다. '트랜스포터'의 액션씬은 전반부의 자동차 추격씬을 제외하면 홍콩식 액션이다. 조만간 우리나라 배우를 쓰겠다고 할지도 모르겠다. 비록 우리와는 악연이긴 하지만서도.
이 영화에서 떠오르는 단어는.......'택시 2', '트리플엑스', '성룡', '장 클로드 반담',.......
# '택시 2'인가?
초반의 자동차 추격씬은 원규 감독이 아니라 Louis Leterrier 이라는 감독이 맡은 듯 하다. 도망치는 검은색 BMW와 추격하는 경찰차의 추격씬은 정확하게 '택시 2'의 장면과 일치하다. 도망치는 주인공이 하얀 프랑스제 푸조 택시가 아니라는게 틀리다면 틀린 듯 하다.
# 새로운 캐릭터의 등장
최근 007식의 신사풍 캐릭터를 탈피하고자 하는 노력이 많은 듯 하다. 대표적인 작품이 '트리플 엑스'의 빈 디젤이다. '트랜스포터'의 제이슨 스테이섬(프랭크 역)은 빈 디젤의 케이지역과 흡사하다. 악당인 것 같지만 무지하게 순수하고 착하다. 게다가 대머리성 헤어 스타일, 우람한 체격, 익스트림 스포츠를 즐겨한다. 물론 꼭 맞아떨어지는 건 아니다. 스테이섬의 프랭크 역은 군살없는 체형에 익스트림 스포츠가 취미가 아닌 것 분명하다. 그러나 '늑대의 탈을 쓴 양'이라는 점은 너무 똑같다. 운반 중인 물건(서기)이 목마를까 음료수에 빨대까지 꽂아서 먹여준다. 더군다나 미용에 좋은 오렌지 음료다. 나중에는 납치한 경관에게도 빨대 꽂은 펩시를 먹여주려고 까지 한다.
굳이 좀 다른 점을 찾자면 프랭크는 깔쌈하다. 깔끔, 쌈박하다. 운반하는 물건의 정확한 치수와 무게를 고려하고, 한 치의 오차도 허용하지 않는다. 군 출신인 그에게서는 정신병적인 기질까지 느껴질 정도이다.
# 성룡인가? 반담인가?
주인공 프랭크의 액션씬은 홍콩식 격투씬이다. 성룡이 구사하는 정확하게 짜여진 액션씬이다. 틀리다면 성룡은 코믹액션이지만, 스테이섬은 표정의 변화조차 느낄 수 없는 무덤덤 액션이라는게다. 그러나 그 부드러운 몸놀림은 분명 성룡의 것이다. 그러나 외국인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장 클로드 반담식의 액션도 흡사한 편이다. 단지 반담의 액션은 너무나 직선적이고 딱딱하다는게 흠이 될 듯 하다.
전체적으로 90여분의 액션영화로써 흠 잡을데 없다. 중반부에 다소 흐름이 끊어진 듯한 느낌이 없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주인공 처럼 심플한 액션을 좋아한다면 주저할 필요는 없을 듯 하다. 마지막 씬에서와 같은 중국인이 컨테이너에 실려 왜 프랑스로 왔는가? 등의 의문부호는 잠시 접어둘 수만 있다면...
최근 외국영화의 국내 제목이 외국어를 그대로 표기하는게 일반적인 듯 하다. 물론 원제의 맛(?)을 제대로 전달하기에 부족하다는 점이라면 이해하지만 이유없이 외국어 옮겨다 놓은 경우는 다소 거부감이 느껴진다.
'트랜스포터'...'운반책'의 은어가 뭐였더라?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23965183324730.jpg)
P.S. 이 영화는 절대 '택시3'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