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포토리딩 - 지금보다 책을 10배 빨리 읽는 독서기술
폴 R. 쉴리 지음, 박연선 옮김 / 럭스미디어 / 2003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포토 리딩 - 목적 의식을 갖고 책 읽기
먼저 포토 리딩이 무엇인가에 대해 궁금해 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속독법이 무엇인지는 알고 있을 것이다. 요즘은 속독법을 배운다는 사람을 주변에 흔히 볼 수는 없지만, 한 때는 꽤 많은 사람들이 속독법을 배우려고 학원에 갔던 것 같다. 하지만 속독법은 단순하게 책을 빠르게 읽는데 목적이 있어 글쓴이의 논지나 책의 내용을 이해하기 어렵다는 맹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빠른 눈동자의 움직임을 요구해 쉽게 눈을 피로하게 하고 사람에 따라 다소 이상징후도 발견된다고 한다. 오히려 집중력을 키우기 보다는 산만해지는 경우도 있다. 수능에서 언어영역 공부를 위해 독서가 필요하다고 속독법을 배우는 친구들이 있다면 말리는게 좋을 듯 하다.
포토 리딩은 아주 새로운 책 읽기는 아니다. 좀 시시하게 얘기를 하면 대충대충 읽는 것이다. 하지만 아무런 계획없이 설렁설렁 읽는 것이 아니라 목적 의식을 갖고 책을 읽는 것이다. 글쓴이가 쓴 모든 내용을 토씨 하나 틀리고 기억하는 사람들은 한 명도 없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여전히 글쓴 이가 쓴대로 앞에서 부터 끝까지 차례로 순서대로 읽고 있다. 이 책에서는 그러한 읽기 방식의 탈피를 얘기하고 있다. 비교적 모든 분야에서 적용가능하다고 설명하고 있으나, 보다 효과적인 것은 사회과학 부문 서적에 괜찮은 읽기 방법인 듯 하다.
간단하게 얘기하자면 책을 읽기 전에 왜 이 책을 읽어야 하는가를 생각하고 목차를 중심으로 자신이 주의깊게 읽어야 할 내용들을 미리 생각한 뒤에 책을 읽기 시작하는 것이다. 그리고 처음에는 주마간산으로 책을 훓어가면서 핵심단어를 눈여겨 본 다음, 책을 사진을 찍듯이 핵심단어와 내용을 중심으로 다시 읽어가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이 처음에는 어색할 수도 있으며, 책을 전부 읽고 싶다는 욕심이 들기도 할 것이다. 그리고 읽은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고 기억할 수 있는가에도 의심이 들지도 모른다. 하지만 의외로 기존의 책 읽기보다 분명하게 기억하고 있음을 느끼게 될 것이다. 300쪽을 처음 부터 끝까지 읽고 머리속에서 정리하는 것이 아니라 읽기 전에 미리 정리하고 읽어야 할 것만 뽑아서 읽었으니 머리가 처리해야 할 양이 비교적 적기 때문이다.
그동안 나는 잡지나 신문을 볼 때 무의식적으로 이런 방식을 이용하고 있었다. 신문을 빠르게 30여초간을 훓어가면서 읽어야 할 내용을 머리 속에서 체크 한 다음, 다시 처음 부터 읽어야 할 내용만 골라서 세세하게 읽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신문에서 놓친 것은 없는지 훓어보는 것이다. 물론 포토리딩이라고 하기에는 다소 어쭙잖게 생각되지만 내 방식의 포토 리딩인 것이다.
다소 의심스러운 것은 소설 같은 문학 작품을 이렇게 읽을 수 있다고 얘기하고는 있지만 과연 그게 무슨 재미가 있을지 궁금해졌다. 물론 수능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는 속독법 보다는 이런 방식이 훨씬 효율적일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문학을 가슴으로 이해하는 부분에서 다소 글쓴 이의 의도와는 전혀 다르게 해석할 우려가 있을 것 같다.
모든 책을 이렇게 읽으라고 얘기하진 않겠다. 하지만 정보의 홍수 시대에 짧은 시간에 웹사이트의 정보나 잡지, 신문을 읽을 때는 아주 효율적인 읽기 방식이라고 얘기하고 싶다. 단, 문학 작품을 이런 식으로 읽는 것은 개인적으로 말리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