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리딩 - 지금보다 책을 10배 빨리 읽는 독서기술
폴 R. 쉴리 지음, 박연선 옮김 / 럭스미디어 / 2003년 3월
평점 :
품절


포토 리딩 - 목적 의식을 갖고 책 읽기

먼저 포토 리딩이 무엇인가에 대해 궁금해 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속독법이 무엇인지는 알고 있을 것이다. 요즘은 속독법을 배운다는 사람을 주변에 흔히 볼 수는 없지만, 한 때는 꽤 많은 사람들이 속독법을 배우려고 학원에 갔던 것 같다. 하지만 속독법은 단순하게 책을 빠르게 읽는데 목적이 있어 글쓴이의 논지나 책의 내용을 이해하기 어렵다는 맹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빠른 눈동자의 움직임을 요구해 쉽게 눈을 피로하게 하고 사람에 따라 다소 이상징후도 발견된다고 한다. 오히려 집중력을 키우기 보다는 산만해지는 경우도 있다. 수능에서 언어영역 공부를 위해 독서가 필요하다고 속독법을 배우는 친구들이 있다면 말리는게 좋을 듯 하다.

포토 리딩은 아주 새로운 책 읽기는 아니다. 좀 시시하게 얘기를 하면 대충대충 읽는 것이다. 하지만 아무런 계획없이 설렁설렁 읽는 것이 아니라 목적 의식을 갖고 책을 읽는 것이다. 글쓴이가 쓴 모든 내용을 토씨 하나 틀리고 기억하는 사람들은 한 명도 없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여전히 글쓴 이가 쓴대로 앞에서 부터 끝까지 차례로 순서대로 읽고 있다. 이 책에서는 그러한 읽기 방식의 탈피를 얘기하고 있다. 비교적 모든 분야에서 적용가능하다고 설명하고 있으나, 보다 효과적인 것은 사회과학 부문 서적에 괜찮은 읽기 방법인 듯 하다.

간단하게 얘기하자면 책을 읽기 전에 왜 이 책을 읽어야 하는가를 생각하고 목차를 중심으로 자신이 주의깊게 읽어야 할 내용들을 미리 생각한 뒤에 책을 읽기 시작하는 것이다. 그리고 처음에는 주마간산으로 책을 훓어가면서 핵심단어를 눈여겨 본 다음, 책을 사진을 찍듯이 핵심단어와 내용을 중심으로 다시 읽어가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이 처음에는 어색할 수도 있으며, 책을 전부 읽고 싶다는 욕심이 들기도 할 것이다. 그리고 읽은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고 기억할 수 있는가에도 의심이 들지도 모른다. 하지만 의외로 기존의 책 읽기보다 분명하게 기억하고 있음을 느끼게 될 것이다. 300쪽을 처음 부터 끝까지 읽고 머리속에서 정리하는 것이 아니라 읽기 전에 미리 정리하고 읽어야 할 것만 뽑아서 읽었으니 머리가 처리해야 할 양이 비교적 적기 때문이다.

그동안 나는 잡지나 신문을 볼 때  무의식적으로 이런 방식을 이용하고 있었다. 신문을 빠르게 30여초간을 훓어가면서 읽어야 할 내용을 머리 속에서 체크 한 다음, 다시 처음 부터 읽어야 할 내용만 골라서 세세하게 읽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신문에서 놓친 것은 없는지 훓어보는 것이다. 물론 포토리딩이라고 하기에는 다소 어쭙잖게 생각되지만 내 방식의 포토 리딩인 것이다.

다소 의심스러운 것은 소설 같은 문학 작품을 이렇게 읽을 수 있다고 얘기하고는 있지만 과연 그게 무슨 재미가 있을지 궁금해졌다. 물론 수능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는 속독법 보다는 이런 방식이 훨씬 효율적일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문학을 가슴으로 이해하는 부분에서 다소 글쓴 이의 의도와는 전혀 다르게 해석할 우려가 있을 것 같다.

모든 책을 이렇게 읽으라고 얘기하진 않겠다. 하지만 정보의 홍수 시대에 짧은 시간에 웹사이트의 정보나 잡지, 신문을 읽을 때는 아주 효율적인 읽기 방식이라고 얘기하고 싶다. 단, 문학 작품을 이런 식으로 읽는 것은 개인적으로 말리고 싶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홀돌 2006-10-23 03: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포토리딩을 잘 이해하지 못하고 계시는 것 같군요. 포토리딩을 실천하고 있는 사람들은 한결같이 포토리딩은 속도는 무지하게 빠르지만 대충 읽는 것이 아니며 원한다면 사전에서 뽑아내듯 그 책에 몇 페이지에 무슨 단어가 있는지도 기억해낼 수 있으며, 포토리딩으로 문학이나 소설을 읽으면 오히려 책을 읽는것의 감동이 더 커진다고 말합니다. 역자의 세미나에도 참여한 적이 있는데 역자의 말로도 포토리딩은 읽을 때 집중도가 훨씬 뛰어나기 때문에 문학작품등을 읽을때도 감동이나 기억이 한층 배가된다고 합니다. 책읽는 속도가 월등히 빠른 사람이 문학작품을 남보다 빨리 읽는다고 감동을 적게 느끼는 것이 아니듯이 포토리딩도 그런것 같습니다.

빅블루 2006-10-23 15: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홀돌님은 제가 적은 글의 앞과 뒤만 읽으신 듯 합니다. 포토리딩의 폐해인가요? 설마 그건 아니겠죠? 포토리딩은 목적의식을 갖고 책을 읽는 것입니다. 이 책의 저자가 의도한 바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책에서 원하는 부분을 뽑아 읽는 것입니다. 집중도가 높을 수 있다는 것은 그러한 점을 의미하는 것이겠죠. 하지만 한 편의 시의 주제와 저자가 의도한 바를 알았다고 해서 그 시를 이해했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글 행간에 숨겨져 있는 의미를 읽어내고 감동을 느낄 때 비로소 한 편의 시를 이해하는 것입니다. 포토리딩이라는 책은 나름대로 의미가 있습니다만 문학작품은 시간을 갖고 천천히 음미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문학작품을 하나의 정보로 인식하거나 시험치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면 말입니다. 삼국지는 매 번 읽을 때마다 다른 느낌입니다. 우리가 삼국지를 10번 이상 다시 읽는 이유는 포토리딩으로 해결할 수 없는 부분이 있기 때문입니다. 포토리딩을 통해 문학작품의 감동을 얻을 수 있다고 저자가 얘기했다면 큰 어폐일 것입니다. 책을 번역한 역자의 단순논리에 불가한 것입니다.

ㅁㄴ 2009-12-15 03: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빅블루님이 포토리딩에 대해 잘못이해하고 있는게 맞습니다.
분명히 포토리딩 책에서도 소설읽는 법이 나와있는데 왠 목적의식 이야기인지...

소설읽을때는 일단 약간의 사전정보 알기와 포토리딩만 하구요.(이것으로 내용을 먼저 알아 재미없어지는 경우는 없습니다.)
그다음에 활성화단계는 건너뛰고 바로 카약단계로 넘어가는 겁니다.
그러면 영화처럼 그 몰입도가 매우 높아진다 하더군요.

빅블루 2009-12-15 10: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ㅁㄴ님은 홀돌님보다도 포토리딩을 제대로 읽지 않으신 분 것 같습니다. 제 글의 말미에 포토리딩의 소설 읽는 방법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어 있습니다. ㅁㄴ님이 얘기하신 약간의 사전정보 알기(준비단계)와 포토리딩(사전검토단계?) 부분이 우리가 왜 이 책을 읽어야 하는지에 대한 목적의식을 갖기 위한 단계입니다. ㅁㄴ님은 한 권의 책을 몇 번 읽으시는지요? 제 글은 몇 번 읽고 댓글을 다셨는지요? 혹시 준비, 사전검토 단계없이 카약단계로 넘어오신 것은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등산을 할 때 정상에 오르는 것만이 목적은 아닙니다. 산을 오르며 주변의 풍광을 바라보는 여유가 진짜 등산입니다. 포토리딩은 빠르고 효과적으로 정보를 습득하는 방법으로 분명 유용합니다. 소설을 읽으면서 왠 목적의식이냐 라고 제게 반문한 ㅁㄴ님의 생각이 제가 포토리딩에서 가진 의문이었습니다. 소설은 마음으로 느끼며 천천히 읽는게 보다 옳은 책읽기가 아닌가 합니다.

덧붙여 온라인에서 자신의 신분을 밝히지 않고 댓글을 다는 것은 자신이 올린 글에 대한 정당성을 저하시키는 행위입니다.

빅블루 2009-12-15 10: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포토리딩을 처음 읽었을 때만 해도 이 책은 서점 한 귀퉁이에 처박힌 신세였습니다. 몇 년에 한 번씩 댓글이 달리는 것을 보니 이 책이 스테디셀러인 것은 분명한가 봅니다. 제 글에 댓글 다신 분들의 특징을 살펴보니 소설을 포토리딩으로 읽는게 옳은가에 반론을 가지신 것 같습니다. 포토리딩이 주목을 받기 시작하면서 영업(?)을 하시는 분들이 계시더군요.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독서논술을 가르키는 분들에게 포토리딩은 꽤 매력적인 도구(?)로 보이는 것 같습니다. 시간에 쫓기는 학생들에게 이만큼 좋은 독서기술이 있겠습니까? 책을 빨리 읽으면서도 내용을 오랫동안 분명하게 기억할 수 있다. 제가 학생이라도 포토리딩을 배우고 싶어질 것입니다.
저는 포토리딩이라는 방법으로 책을 유용하게 읽습니다. 하지만 포토리딩을 통해 읽는 책들은 업무와 관련된 책들입니다. 소설은 산들바람이 불어오는 나무그늘 아래 벤치에서 한 장씩 넘겨보는게 진정한 재미가 아닌가요? 드라마나 영화를 보며 주인공의 사상과 작가의 주제의식이 무엇인지를 따지며 보시는 분들은 많지 않습니다. 그런 건 그걸 업으로 하는 평론가들에게 맡겨두고 편히 읽으시는게 올바른 문학감상이 아닐런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