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코덱과 릴 정보 확인방법

 

영화를 다운로드 받아보시는 분들이 많으시죠?

개봉전 영화, 최신 영화라고 해서 다운받았더니 캠코더로 찍은 영화이거나 화질 또는 음질이 낮아서 실망하신 적이 많을 겁니다. 영화를 코딩해서 올리는분들(흔히 '릴리즈 그룹'이라고 합니다)은 파일명에 자신이 사용한 코덱의 종류나 릴 정보를 기재하고 있습니다. 이런 기본적인 사항만 알고 있다면 화질이 나쁜 영화를 다운받고 속상할 일은 거의 없을 겁니다. 간혹 다운받은 사람들이 이런 정보를 싹~지우고 올리는 경우도 있지만 그런 경우는 무시합시다.

아래 내용은 인터넷 검색을 통해 찾은 글입니다. 잘 정리되어 있더군요.

 

# 알고 보면 더 재밌는 DivX 상식


각종 코덱, 동영상 파일 구성, 트러블 슈팅, 영화정보 찾기

인터넷의 보급으로 예전에는 꿈도 못 꿀 방대한 자료를 손쉽게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주변에서 초고속 통신을 이용해서 DivX나 XviD 등의 코덱으로 인코딩되어 있는 영화들을 다운로드받아서 감상하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다. 하지만 습관처럼 DivX 영화 파일을 다운로드받는 사람들 중에서도 정확한 정보나 지식이 없는 경우가 많다.

DivX 파일명이나 디렉토리명 하나에도 상당히 많은 정보가 담겨져 있다. 영화 파일 포맷이나 적용 코덱 등의 정보를 미리 안다면 애써 몇 시간씩 받은 파일들을 휴지통으로 버리는 일은 없을 것이다. 꼭 필요한 DivX 관련 상식과 각종 정보, 레코더를 이용해서 영화를 백업하는 유용한 팁 등을 소개한다. 

 

1

디렉토리명으로 영화정보를 확인하자

 'Jurassic.Park.III.2000.DVDRiP.DivX.AC3.XXX'
만일 디렉토리 이름이 위와 같은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이를 해석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ㆍJurassic.Park.III 영화제목, 즉 주라기공원III 임을 알 수 있다.

ㆍ2000 출시연도, 즉 2000년에 출시된 영화임을 알 수 있다.

ㆍDVDRiP.DivX DVD 타이틀로부터 영화 데이터를 추출하고 그때의 비디오 인코딩 방식은 DivX를 사용함을 알 수 있다.

ㆍAC3 오디오 데이터의 인코딩 방식이 AC3임을 알 수 있다.

ㆍXXX 이 릴리즈는 XXX이라는 그룹에 의해서 이루어졌음을 알 수 다.

 

디렉토리 이름을 확인함으로써 영화제목은 물론 출시일과 인코딩 소스, 비디오·오디오 인코딩 방식 등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심지어 이를 배포한 그룹까지 알 수 있다. 다른 예를 하나 더 살펴보자.

 

'Spiderman.2002.DVDRip.PROPER.SVCD-VCDHell'

인터넷을 이용한 공짜로 받아보기에도 너무나 많은 영화

 

이 이름을 앞에 예와 비교해보면 몇 가지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 DivX 대신에 SVCD가 들어간 것과 앞에 PROPER가 들어간 점이 바로 그것. SVCD는 DivX로 인코딩을 한 게 아닌 'SVCD'라는 또 다른 방식으로 인코딩을 한 것이다. DivX가 MPEG-4를 기반으로 한 인코딩 방식이라면, SVCD는 MPEG-2를 기반으로 하는 인코딩 방식이다. 따라서 SVCD를 감상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PC에 MPEG-2 관련 코덱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위에는 없는 PROPER라는 문구가 나타내는 의미가 재밌다. 이는 과거에도 같은 형식으로 올라온 적이 있지만, 비디오 혹은 오디오에서 개선이 있을 때 사용하는 표현이다. 즉, 과거에 올라온 스파이더맨의 SVCD판보다 약간이나마 향상된 버전임을 알 수 있다.

 

2

영화 파일의 인코딩 종류

 

DivX
우리가 가장 많이 알고 또한 가장 많이 접하는 파일 형식이다. DVD에서 VOB 파일을 추출하여 DivX 코덱으로 압축한다. DivX 3.x, DivX 4, DivX 5의 세 가지가 존재하는데, 각각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MPEG-2 기반의 뛰어난 화질을 자랑하는 SVCD

 

좋은 화질에도 불구하고, 아쉽게도 개발이 중단된 XviD

 

●DivX 3.x 가장 널리 우리에게 알려진 코덱 형식이다. DivX ;-)라는 이㎱막琯?많이 알려진 코덱으로, Microsoft의 MPEG-4 V3를 기반으로 해서 제작된 코덱이다. 다루기가 쉽다는 장점이 있으며, 다음에 설명할 DivX 4에 비해서 약간이나마 속도가 빠른 장점 또한 존재한다.

●DivX 4 DivXnetworks에 의해서 개발된 코덱으로 많이 쓰이지는 않는 코덱이다. 이유는 바로 뒤에 설명할 DivX 5가 출시되었기 때문이다.

●DivX 5 DivX 4에 비해서 많은 기능과 높은 수준의 영상을 보여주는 코덱이다. 또한 합법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개인용도로는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이전 DivX 버전과 호환성을 가지고 있으며 가장 발전된 MPEG-4 기능들을 제공하는 코덱이다.

 

XviD
현재는 아쉽게도 개발이 중단된 상태지만 최근 혜성처럼 등장한 새로운 코덱이다. DivX와 마찬가지로 MPEG-4를 기반으로 하는 코덱이며, 합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알파 버전에서도 상당히 뛰어난 결과를 보여준다. 특히 오픈 소스를 내세우는 코덱이기 때문에 누구나 개발을 통해서 보다 나은 코덱으로로 발전할 수 있는 장점이 많은 코덱이다. 반면 코덱 설치가 DivX에 비해서 약간 번거로운 것이 단점.

 

SVCD
앞선 두 가지의 코덱과는 달리 DVD에서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은 같지만 인코딩 방식이 MPEG-2이다. MPEG-4보다는 압축률이 떨어지기 때문에 인코딩 후의 파일 용량이 좀 더 크다는 단점이 있는 반면, 화질의 손상이 적기 때문에 화질은 보다 더 깨끗하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SVCD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MPEG-2 코덱을 설치해야 한다.

 

 


3

 배포 파일 소스에 따른 분류

 

●Cam 극장에서 사람이 수동으로 캠코더로 녹화한 영화. 영상과 음성을 모두 캠코더로 처리하기 때문에 둘 다 상태가 그다지 좋지 못하다. 보통의 경우 미국에서 갓 개봉한 영화에 해당한다.

●Telesync TS라고 줄여서 쓰기도 한다. 영상은 Cam과 마찬가지로 극장에서 캠코더로 녹화하고, 음성은 따로 녹음해서 입히기 때문에 Cam보다는 조금 나은 편. 오디오 수준은 Cam 버전보다는 양호하지만 전반적으로 Cam과 거의 차이가 없다.

●Screener 영화가 개봉하기 전에 극장주에게 주어지는 VHS 테이프에서 영상과 음성을 추출한 것. Cam보다는 낫지만 역시 그다지 높은 수준을 기대하기는 힘들다.

●Telecine TC라고 줄여서 쓰기도 한다. 여러 방법을 이용해 영상과 음성을 얻지만 보育?경우 테이프으로 추출한다. Cam이나 Telesync에 비해서 보다 나은 영상과 음성을 보여준다.

●PDivX Screener나 Cam 버전의 동영상을 DivX로 다시 한 번 인코딩한 형식. 원본 자체의 영상와 음성이 좋지 못한데다가 다시 한 번 인코딩을 거쳤기 때문에 영상, 음성 모두 형편없다. 굳이 장점이라면 매우 작은 용량 정도다.

●VCD 시중에 출시된 Video-CD를 MPEG 포맷으로 인코딩한 것. 비디오 테이프보다는 약간 낫지만, 역시 높은 수준의 영상과 음성을 기대하기엔 무리가 있다.

●DVD-Screener DVD가 출시되기 전에 배포되는 DVD에서 추출한다. 화질은 DVD급이지만, 출시 이전 단계에서 배포되다 보니 복사금지와 판매금지를 알리는 경고 문구가 삽입되어 있다.

●DVDRiP DVD에서 직접 추출해 뛰어난 화질을 자랑한다. 인코딩 방식에 따라서 DivX, SVCD, XviD 등의 방식으로 불린다.

 

DivX 동영상의 원본인 DVD 타이틀 재생화면

기타

 

●SBC Smart Bitrate Control의 약자. DivX 인코딩시 생기는 일명 깍두기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책으로 제시된 방법이다. 오디오와는 상관없는 단지 영상 인코딩 기술이다.

 

●AC3 SBC와는 달리 영상과는 관계없는 음성 인코딩 기술. 일반 DivX는 음성을 MP3로 인코딩하기 때문에 DVD 수준의 음성을 기대할 수가 없다. 이 점을 보완하기 위해 AC3라는 새로운 방식을 적용했다. AC3를 적용하면 5.1채널 사운드까지 즐길 수 있다.

 

 

4

 인터넷에 배포되는 영화 파일 구성형식

동영상 파일과 샘플, 자막, 코덱 등의 영화를
구성하는 파일들

 

 영화 동영상(AVI)+SAMPLE 동영상(AVI) +영어 자막(IDX+SUB)+영화 정보(NFO)+체크섬(SFV)

아마도 요즘 가장 많이 보는 파일 형식일 것이다. 보통의 경우 RAR로 분할 압축되어 있는 파일의 압축을 해제하면 AVI라는 확장자를 가진 본 영화의 동영상 파일과 함께 SAMPLE 디렉토리에 10MB 전후의 AVI 파일이 존재한다. 이 파일은 영화의 주요 부분만을 잘라서 만든 SAMPLE 파일이다.

Subs 디렉토리를 통해서 영어 자막을 배포하는 경우도 요즘은 쉽게 찾아볼 수 있다. Subs 디렉토리 안에는 보통의 경우 CD 수에 일치하는 RAR 파일이 존재하며, 이 RAR파일의 압축을 풀면 IDX와 SUB라는 확장자를 가진 파일이 나타난다. 물론 이 파일들의 이름은 앞에서 얻은 본 영화 동영상의 파일이름과 동일해야 한다. 즉, Subs 디렉토리에서 구할 수 있는 IDX와 SUB 파일을 영화 파일과 같은 디렉토리에 놓으면 영어 자막을 보면서 영화를 감상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몇 가지 다른 확장자명을 갖고 있는 파일이 있다. 영화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를 보면 NFO 파일이 보인다. 이 파일의 확장자는 information에서 딴 것으로, 배포되는 파일에 대한 간략한 설명과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파일이다. 이 파일은 이 영화가 어떤 영화이고, 누가 주연이라는 등의 영화정보를 얻을 수 있는 URL 정보를 담고 있다.

SFV 파일은 RAR로 압축된 파일들의 문제없는 체크섬을 포함하고 있는 파일이다. 이 파일은 서버에 파일이 올라올 때 바이너리에 손상이 있는지의 확인을 위해서 필요하다. 또한 사용자가 압축을 해제하는 도중 CRC 에러 등 바이너리 파일 에러를 만났을 때 자신이 다운로드받은 파일의 체크섬과  SFV 파일의 체크섬을 비교해봄으로써 어떤 파일에 손상이 생겼는지 확인해볼 수 있다. 이때 WINSFV 등의 체크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자신이 다운로드받은 파일의 체크섬을 만들거나, 이미 존재하는 체크섬 파일과 비교해볼 수 있어 편리하다.

 

 바이너리(BIN+CUE)+영화 정보(NFO)+체크섬(SFV)

앞서 설명한 형식과의 차이점은 바이너리 파일이 BIN+CUE라는 점이다. 이는 CDRWIN이나 FIREBURNER 등의 레코딩 프로그램으로 레코딩이 가능한 이미지 파일이다. 앞서 설명한 프로그램으로 레코딩을 해보면 비디오 시디와 같은 형식의 디렉토리 구조가 생성된다. DivX 영상의 경우 BIN+CUE로 배포되는 일은 거의 드물다. VCD의 경우가 이러한 구조로 많이 배포된다.

 

 

5

 예제 파일을 통한 파일 정보 알아보기

인터넷으로 다운로드받은 파일에 대한 정보를 디렉토리 이름이나 NFO 파일로부터 어느 정도는 추측해 볼 수 있다. 하지만 영화에 대한 좀 더 부가적이고 자세한 정보는 디렉토리명과 NFO 파일만으로는 부족하다. 그렇다면 보다 자세한 정보를 얻는 방법은 없을까?

동영상 파일의 정보를 보여주는 프로그램 'TellMeAboutDivX'나 국내 원용석 님이 개발하신 'AvinfoKOK' 등을 이용하면 쉽게 동영상 파일의 정보를 알아볼 수 있다. 여기서는 국산 프로그램인 AvinfoKOK를 이용해서 영화 정보를 좀 더 자세히 알아보자.


 

DivX와 AC3 2채널로 인코딩된 동영상의 정보

 

DivX와 MP3 2채널로 인코딩된 동영상의 모습
 

 

XviD와 AC3 5.1채널로 인코딩된 동영상의 정보

 

XviD와 MP3 2채널로 인코딩된 동영상의 정보
 

 

인터넷의 보급과 더불어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divx 파일

위에서 보듯 영화마다 인코딩 정보가 각각 다름을 확인할 수 있다. DivX, XviD 등 인코딩 방식은 달라도 프레임 수와 비트레이트, 초당 프레임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혹시 본지를 읽고 있는 독자 중 영화의 등록정보를 보면서 뭔가 공통점을 느낀 것이 있는가? 동영상의 용량을 보면 유달리 시디 장수와는 관계없이 파일의 용량이 항상 700Mb에 가깝게 설정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100퍼센트는 아니지만….

영화를 인코딩할 때는 대부분 700Mb CD의 용량을 가득 채우도록 설정한다. 물론 어느 정도의 화질을 보장한다는 조건이 붙는다. 각기 재생시간이 다른 영화를 비슷한 용량에 맞춰 인코딩을 하다보면 비트레이트 등을 조정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6

 꼭 알아둬야 할 트러블 해결법

다운로드받은 파일을 재생하다 보면 온갖 에러가 다 발생하게 된다. 가장 기본적으로 동영상을 재생시켰을 때 화면에 영상이 출력되지 않는 경우부터 영상과 자막의 싱크가 안 맞는 경우, 영상은 나오는데 음성은 안 나오는 경우, 또는 음성이 나오는데 배우의 입모양과 맞지 않는 경우 등 갖가지 에러가 나타난다.

 

재생오류에 대비해 인코딩한 코덱까지 같이 담아 배포한다.

 

국내 영화정보 사이트인 FILMS에서 'SPIDERMAN(스파이더맨)'을 검색한 화면

만일 영상이 출력 안 되는 경우라면 당연한 이치겠지만 영상이 무슨 코덱을 사용해서 인코딩되었는지 확인해보고 그에 따른 코덱을 설치해주면 쉽게 해결된다. 반면 오디오 쪽의 문제라면 현재 사용하는 오디오 코덱이 최신 버전인지 먼저 확인하자. 만일 업데이트한 지 오래됐다면 최근 오디오 코덱을 디코딩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다행히 대부분의 경우 다운로드받은 파일에 보면 Codec 디렉토리에 인코딩에 사용한 코덱을 같이 동봉해서 배포하므로 이 파일을 설치해주면 된다.

싱크가 안 맞는다면 이는 코덱 사이에 충돌이 일어났거나 컴퓨터가 느려서인 경우이다. 이런 때는 코덱을 깨끗하게 다시 설치해보거나 좀 더 나은 환경에서 테스트를 해보는 것이 좋다. 이처럼 동영상 파일 재생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대부분은 그에 맞는 코덱을 설치하면 해결된다. 따라서 먼저 영상과 음성 인코딩에 어떤 코덱을 이용했는지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7

 다운로드 받은 파일의 정보 구하기

사실 수많은 영화들에 대한 정보를 다 알고 있기란 쉽지 않다. 이럴 때는 영어 단어 모를 때 영어 사전을 찾듯, 영화 정보를 많이 가지고 있는 사이트들을 참조하는 수밖에 없다. 국내 영화정보 사이트 중에는 Films(www.films.co.kr)가 유명하며, 외국 사이트로는 IMBD(us.imdb.com)가 좋다. 간단한 검색으로 영화 줄거리에서부터 주·조연배우, 독자평까지 간편하게 검색할 수 있다.

 

와레즈 그룹 통해 DivX 영화 배포

영화제목을 보다 보면 앞서 설명한 대로 디렉토리 이름의 가장 마지막에 배포한 그룹들이 나오게 된다. 흔히 볼 수 있는 PosTX나 SKY를 비롯해 QiX, TWCiSO, DOMiNiON, DVL 등 헤아릴 수 없을 정도의 많은 릴리즈 그룹들이 존재한다.

이들은 DVD SHOP 같은 곳에서 타이틀을 입수해 이를 인코딩한 후 파일 형태로 배포한다. 영화 같은 경우는 대부분 RAR로 압축을 하게 되며 보통 파일 한 개의 크기를 15Mb나 20Mb로 압축하고, 제대로 생성된 파일에 대한 체크섬 파일인 확장자 SFV를 가진 파일 역시 함께 만든다. 또한 그 영화의 간략한 정보를 담은 NFO 파일까지 자체 제작해 함께 배포해야 한다. 이중 하나라도 이상이 있으면 사이트 룰에 따라서 그 사이트에서는 배포할 수 없다.

사이트들마다 대부분 이렇게 엄격한 룰을 가지고 있고, 그에 어긋나게 패키징된 파일은 허용되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 어느 정도 규격을 지킨 파일들만 올라온다. 따라서 여러 사이트들을 거치는 파일들은 어느 정도 신빙성이 확보된 데이터라고 봐도 무방하다.

 

# 자료출처 :

 - http://bugsumovi.com.ne.kr/movi-info/divx1.htm

 - http://bugsumovi.com.ne.kr/movi-info/divx2.htm

 - http://bugsumovi.com.ne.kr/movi-info/divx3.ht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