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쥬라기의 인디안 기우제 투자법 - 팍스넷 주식투자 필독서 시리즈 2
쥬라기 지음 / 팍스넷 / 2007년 4월
평점 :
절판
주식의 테크닉을 배우려 하지 말고 마음 가짐을 배워야 겠다.
그런데 40년의 장기간 호흡으로 투자를 하라고 하는 데.. 그것을 도를 닦는 것처럼 어려운 일이다.
그래서 주식으로 성공한 사람을 보기가 힘든 것이겠쥐..
나도 성공한 사람이 될 수 있을까?
---------------------------------------------------------------------------------------------------------
주식투자는 기업을 직접 경영하지 않고, 위탁하거나 동업의 형태로 사업을 하는 것과 같다.
경제가 앞을 향해 움직이고 물가가 과거보다 낮아지지 않고 오르는 한, 주가는 계속 장기적인 상승곡선을 그리게 되어 있는 것이다.
제로섬 게임에는 5%가 성공하고 95%가 실패하는 5%룰이 작용한다.
주식투자는 모두 성공하는 윈윈게임이 되거나 모두 잃는 게임이 된다. 이것이 주식투자의 본질이다.
결국 주식에 투자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상승 가능성이 높은 종목을 저가에 매수하여 장기간 보유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수익률을 조금이라도 더 높이려고 빈번하게 매매를 하거나 종목을 자주 바꿀수록 수익률은 떨어지게 되어 있다.
기업은 1년 내내 전 직원이 혼연일체가 되어 땀을 흘려도 20% 이익을 늘리기가 어려운데, 주식만 사놓고 단기간에 심지어 일주일에 30%, 100% 수익을 바라니 그 욕심이 위험한 투자 실패를 부르는 것이다. 위험한 것은 주식 자체가 아니라 주식을 도박처럼 생각하고 매매하는 투자자 자신이다.
5년이고 10년이고 쉽게 망하지 않고 살아남을 기업을 선별하는 안목과 매달 적금을 붓듯 꾸준한 주식투자, 이 두 가지만 지킨다면 반드시 성공할 수 있다.
어마어마한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그룹회장도 주가의 오르내림에 신경을 쓰지 않는 마당에 왜 우리만 골치 아프게 주가 흐름에 신경을 쓰는가?
투자를 하려면 10년, 20년이 지나도 없어 지지 않고 성장할 기업을 골라 꾸준히 매수하고 보유하면 된다.주식투자로 성공하려면 일단 시세나 차트로부터 벗어나야 한다. 선취매와 분할매수 그리고 이익을 추구하는 집단 스스로 주가를 끌어올리는 주도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주가는 개인이 팔고 자본과 정보력을 갖춘 선도 세력이 살 때 오른다. 즉 선도 세력이 주식을 산다는 것은 일반 투자자는 주식을 판다는 뜻이다.
주식을 잘하는 특별한 왕도는 없다. 다만 철저히 가치가 저평가 되어 있어 언젠가 그 가치를 발휘할 유망 종목을 사놓고, 주식은 잊은 듯 자기 할 일을 열심히 하는 것 이상 없다.
주식에 실패한 사람들의 대부분은 돈을 벌 욕심 앞에 행복을 버리는 경우가 많다.
주식투자에서 성공이란 시장을 떠나는 그날까지 치명적인 실패를 하지 않고 살아남는 것이다.
기업의 가치를 보는 관점이 다양하기 때문에 기업에 투자하는 방법도 여러가지가 있다.
1) 과거에 모아놓은 재산에 주안점을 두는 것으로, 기업의 이익창출 능력과는 무관하게 기업이 가진 현재의 실질재산 가치에 비해 주가가 얼마나 싼가의 관점에서 투자하는 방법이다. 이런 경우에는 기업의 사업성이나 적자 또는 흑자, 현금의 흐름 등은 별로 중요하지 않고, 그 기업이 가진 재산에 비해 주가가 얼마나 저평가 되어 있는 지가 더 중요하다.
2) 기업의 미래 이익창출 능력을 보는 방법으로, 대부분의 가치투자가 여기에 속한다. 미래의 수익능력을 담보하기 위해 우량주여야 하고, 블루오션이어야 하며, 경영자와 사업성이 좋고 경쟁력이 있어야 한다. 경영 마진이 좋아야 하고, 자기자본이익률, 주당순이익, 매출액증가율, 순이익증가율을 고려하는 것이 모두 미래 이익창출 능력을 보는 투자 방법이다.
3) 미래를 지향하는 투자 방법이다. 기업을 고정된 이익창출 상태로 보는 것이 아니라 항상 변화하는 것으로 보고, 미래에 이익이 얼마나 증가할지에 중점을 둔다. 그래서 적정주가를 따지기보다는 적정주가의 증분을 꼼꼼하게 따진다.
기업이 부도나는 것은 어떤 이유도 아닌 현금이 막혀서이다.
주식시장에서 40년 동안 살아남기 위해 꼭 지켜야 할 15가지
1) 주식을 미수로 매입하지 않는다.
2) 옵션을 하지 않는다.
3) 잠재 위험이 있는 종목을 제거한다.
4) 기업 규모에 제한을 둔다. - 매출액 400억 이상, 영업이익 32억 이상을 최소한의 기준으로 삼으면 무난하다.
5) 최근 시설투자가 과도한 기업은 피한다.
6) 경영자가 부도덕한 기업은 제외한다.
7) 현금흐름표상 영업현금이 마이너스인 종목은 제외한다.
8) 주식수가 늘어 가치가 희석되면 피한다.
9) 주가순자산비율이 4가 넘으면 피한다. (주가와 자산가치의 비율 PBR)
10) 불확실한 고수익보다 확실한 저수익을 선택한다.
11) 매수하기 전에 확실한 이익을 확보한다. - 기업의 가치에서 확실하게 이익이 남는 상태인지, 기업의 이익능력에서 충분한 이윤을 내는지, 기업의 배당이 충분하지 확인하고 사야 한다.
12) 분할해서 매수한다.
13) 분산하여 투자한다.
14) 전술의 선택은 40년 성공 여부로 결정한다. - 40년간 꾸준히 같은 방법으로 반복적으로 수익을 줄 수 있는가?와 40년간 같은 방법을 반복 사용했을 때 실패할 확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가? 이 두가지 질문을 만족시켜야 한다.
15) 모르면 투자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