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의 탄생 - 모성, 여성, 그리고 가족의 기원과 진화 사이언스 클래식 15
세라 블래퍼 허디 지음, 황희선 옮김 / 사이언스북스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남성중심사회에서 ‘자식에 대한 무조건적 헌신으로서의 모성’은 여성의 생물학적 자질로서 당연하게 간주되고 때로는 은밀하게 강요되고 있기도 하지만, 생물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암컷이 자식에게 보여주는 것은 무조건적 헌신이라기보다 조건부적 헌신에 가깝다. 실제로 자연에서는 반모성적으로 여겨지는 어미의 행동들이 심심찮게 관찰되는데, 거기에는 마냥 병리적이고 비정상적인 행동이라고 할 수만은 없는 나름의 절실한 이유가 있다. 번식상의 판단에 따른 합리적인 행동인 것.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모성성’에 부합하는 암컷의 행위와 그렇지 않아 보이는 행위- 양자를 아우르는 공통점은 무엇일까. 바로 암컷이 ‘전략적’으로 행동한다는 사실이다.
 
암컷의 번식 성공을 좌우하는 요인은 수컷의 경우처럼 단순히 수정의 횟수가 아니다. 암컷으로서는 선택한 정자의 품질도 중요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낳은 자식의 생존률 또한 중요하다. 번식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암컷은 다양한 전략을 구사한다. 번식이 불리한 환경에서 적극적으로 자가 낙태를 하거나, 태어난 새끼를 섭취해버림으로써 번식을 회수하기도 하고, 주변의 수컷들에 의해 새끼가 살해당하는 것을 예방하고자 난교 전략을 펼치기도 하며, 생존 능력이 뛰어난 새끼만을 집중적으로 관리하기도 한다. 기운이 넘치면 다른 암컷이 낳은 새끼들을 죽여버림으로써 자식의 잠재적 방해물을 제거하고 암컷 사회에서 영향력을 행사한다. 이러한 암컷의 주도면밀한 행동들은 실용주의를 추구하는 냉혈의 기업가적 마인드에 가까워 보인다.
 
어머니는 자애로운가. 아니다. 어머니는 차라리 무시무시하다. 이 책에 나오는 여러 생물학적 사례를 취합하여 떠올려보게 되는 보편적 어머니상은 봉준호 감독의 <마더>에 나오는 어머니에 가깝다. 직장에서도 내가 느끼는 바는, 워킹맘들은 일단 '한 수 위'라는 사실이다. 생에 대한 악랄하고도 숭고한 집착, 악마 같은 수완과 천사 같은 넉살, 근성, 인내력, 초인적인 태도, 일에 임하는 절박성, 그악스러움, 유능함, 대인배 마인드 등 온갖 방면에 있어서 나로서는 도저히 능가할 수 없는 한 수 위다. 숱한 위기를 뚫고 어머니의 역할과 일의 균형을 유지해나가는 과정에서 세상 모든 어머니는 점차 정신의 스케일이 커지고 무시무시해지는 걸까. 워킹맘으로 살아가면서 나날이 티라노사우르스처럼 변모해가는 내 언니를 봐도 역시 자식은 낳아볼 만하다. 잘은 몰라도, 어떤 본능적인 생물학적 절박함 때문에 삶을 몇 도씨는 더 뜨겁게 살게 되는 것 같다.
 
일하는 어머니와 관련해서 이 책에서는 수백만 년 동안 영장류 어미들이 생산 활동에 아이를 데리고 다니거나 대행 부모의 도움을 받는 등의 ‘타협’을 통해 생산과 재생산의 삶을 결합해 왔다고 하면서 오히려 생산과 재생산을 임의적으로 구획하고 사회적 노동을 접은 채 오로지 양육에만 매진하는 현대 사회 어머니야말로 새로운 유형이라고 말한다. 아울러 저자는 자연의 여러 사례를 통해 어미가 우수한 지위를 확보하기 위해 투쟁하는 것이 번식 성공의 필수적 요소임을 보여주면서, 경쟁심 · 지위 추구 · 야망과 같이 고된 업무에서 성공하기 위한 필수적인 자질들이 헌신적이고 양육적일 것으로 기대되는 ‘좋은 어머니’ 되기와 양립할 수 없다는 세간의 통념을 뒤엎는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양 2016-08-16 06: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위의 리뷰는 책의 앞부분만 짧게 옮겨본 것인데 이후로도 결혼, 출산, 육아, 성역할 등과 관련해서 흥미로운 진화생물학적/인류학적 사례들이 연달아 등장한다. 유즙분비 호르몬의 영향으로 수유 중인 어미가 방어본능과 공격성이 강해진다든지 수컷의 과시본능과 영아살해본능, 이웃의 새끼를 맡아서 데리고 있다가 싫증나면 잔인하게 쳐내버리는 대행어미의 변덕 등등. 좋은 책이다. 어떤 책이 좋은 책일까. 연구의 형태로든 문학의 형태로든 현실에서 자신이 구체적으로 당면한 절실한 문제에 천착하여 그것을 모두의 흥미와 공감을 이끌어낼 수 있는 보편적인 결과물로 만들어낸 책이 좋은 책 같다. 자기고민에서 출발한 책 그러니까 가장 일차적으로는 바로 자기 자신의 문제와 대결하기 위해 쓴 그런 책은 `리얼`하다. 이 책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