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쁘락에서 잘 추는 땅게라들 보면 스텝 밟는 게 좋은 글을 쓰는 것과 닮았다. 낱말들을 적재적소에 배치해 어순에 맞추어 날렵하게 완성한 문장. 지저분하지 않게, 군더더기 없이 깔끔하고 명확하게, 신중하게 바둑알 놓듯 이어나가는 문장과 문장들. 스텝도 그렇게 밟는다. 글 쓰는 것과 발 쓰는 것이 별 차이 없어 보인다. 실제로 땅게라들 발놀림 자체가 무슨 붓털 끝의 움직임 같기도 하고.
 
2 평일이든 주말이든 보통 밤 8~9시부터 시작되어 자정 넘어 문 닫는 춤판은, 마치 세상이 깊은 숙면 속에서 꾸는 하나의 화려한 꿈 같다. 밤에만 꿈틀대는 거대한 무의식. 뉴스에 나오지 않는 세계. 배면의 세계. 어떤 강습소는 제대로 된 간판도 없어 마치 해리포터에 나오는 9와 3/4번 승강장처럼, 아는 이들만 쓰윽 들어간다. 그리고 그 안에선 정말로, 머글들이 모르는 또 다른 삶의 희노애락이 펼쳐지는 것이다. 의식과 무의식의 간극이 큰, 억압된 것들이 많은 사람들이 밤마다 달콤한 악몽을 꾸듯 춤판으로 모여드는 것인지도. 몽정을 해서라도 욕망은 어떻게든 그 출구를 찾아야 하므로.    
 
3 사주적으로 보면 십신 중에서 춤은 식신·상관이다. 끼와 재주를 펼쳐내는 것이다. 요리, 출산과 육아 등도 모두 다 식상이지만 춤이 식상에 해당하는 각종 활동 중에서도 유독 허망한 까닭은 그것이 아마도 오행적으로 순환이 되질 않기 때문 아닐까. 아기를 낳으면 무럭무럭 성장하여 다음 세대가 된다. 음식을 만들면 먹는 사람이 기운을 차리고 튼튼해진다. 그러나 춤은 자족적이다. 춤으로부터 다른 무엇인가로 기운이 이어지질 않는다. 강사급을 제외하고는 식신생재로 에너지가 연결되지 않는다. 자신의 재주를 펼쳐내어 변화를 도모하지 못한다. 밤중에 꾼 꿈처럼, 환상으로 떠올랐다 저버리면 그 뿐. 춤추고 돌아올 때 우리가 종종 우주의 블랙홀 한 가운데로 떨어진 듯이 쓸쓸한 허무를 느낀다면 바로 그 때문인지도.  
 
4 오늘 아브라소를 배웠고, 아니, 배웠다기보다는 한 번 해봤고, 선생님 두 분이 한 곡 추는 걸 지켜봤다. 두 번의 감동. 땅고는 정말 멋진 춤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