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놀 책세상 니체전집 10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박찬국 옮김 / 책세상 / 200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격렬한 충동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여섯 가지 방법 이외에 어떤 방법도 발견할 수 없다. 이 방법들은 본질적으로 서로 성질이 다르다. 첫째, 충동을 만족시킬 수 있는 기회들을 피하면서 가능한 한 오랫동안 불만족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충동을 약화하고 시들게 할 수 있다. 둘째, 충동을 만족시킬 때 자신에게 엄격한 규칙을 부과할 수 있다. 이렇게 충동 자체에 규칙을 부과함으로써, 그리고 그것이 일어나고 사라지는 시간을 정하고 제한함으로써 사람들은 더 이상 충동에 의해 교란되지 않는 시간들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아마도 이를 통해 첫 번째 방법으로 이행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의도적으로 충동을 거칠고 자유분방하게 만족시키면서 역겨움을 불러일으키고, 이러한 역겨움을 통해 충동을 이겨내는 힘을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죽을 때까지 말을 몰아대다가 결국 자신의 목마저 부러뜨리고 마는 기수처럼 행동하지 않는다는 것이 전제되어야 한다. 그러나 불행히도 이 방법에서는 그 기수처럼 되는 것이 보통이다.

 

넷째, 지적인 책략[=도덕적 자기 세뇌]이 있다. 이런 방법을 약간 연습한 후에는 충동을 만족시키려는 생각 그 자체가 늘 즉시 고통스러운 것으로 느껴지게 된다. (...)

 

다섯 째, 무언가 특히 어렵고 힘이 드는 일을 자신에게 부과하거나 의도적으로 새로운 자극과 즐거움에 몸을 맡기는 방식으로 생각과 육체적인 힘의 움직임을 다른 길로 유도함으로써 많은 힘의 방향 전환을 시도할 수 있다. 아울러 일시적으로 다른 충동을 우대하고 이 충동이 만족할 수 있는 기회를 풍부하게 제공함으로써, 이렇게 하지 않았으면 그 격렬함으로 인해 성가시게 되었을 충동이 사용할 힘을 소모할 경우에도 역시 결과는 동일하다. 전자의 방법을 사용하는 사람이든 후자의 방법을 사용하는 사람이든 이들은 자신들이 잘 알고 있는 모든 다른 충동들에 일시적인 고무와 축제의 시간을 주고, 전제 군주처럼 군림하려 했던 충동이 혼자 먹어치우려 했던 먹이를 다른 여러 충동들에 나누어 줌으로써 그 충동을 억제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여섯 째, 육체와 정신의 조직 전체가 약화되고 억제되는 것을 견디고 이것이 합리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 역시 물론 이런 방법을 통해 개별적인 격렬한 충동을 약화한다는 목표에 도달한다. 예를 들어 고행자처럼 자신의 감각을 철저히 굶기고, 이와 동시에 자신의 육체와, 종종 자신의 지성도 함께 굶김으로써 쓸모없게 만드는 사람의 방법이 여기에 해당한다.

 

요약하면, ①충동을 만족시킬 수 있는 기회를 회피하는 것(충동을 굶겨죽임), ②규칙을 충동에 심는 것, ③충동에 대한 포만감과 역겨움을 만들어내는 것, ④고통스럽게 하는 생각(치욕, 나쁜 결과 혹은 모욕당한 자존심과 같은 것)을 연상하는 것, 그 다음에는 ⑤힘들의 방향 전환, 마지막으로 ⑥육체와 정신 전체의 약화와 탈진- 이것이 여섯 가지 방법이다.

 

그러나 어떤 격렬한 충동을 극복하고자 하는 의지는 우리의 권능 밖에 존재한다. 마찬가지로 어떤 방법을 사용하는가, 이 방법으로 효과를 거두는가 못 거두는가 하는 것 역시 우리의 권능 밖에 존재한다. (...) 우리는 어떤 충동의 격렬함에 대해 한탄하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근본적으로 볼 때 사실은 다른 충동에 대해 어떤 충동이 한탄하고 있는 것이다. 즉 우리가 어떤 충동의 격렬함 때문에 고통 받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것은 이 충동과 똑같이 격렬하거나 훨씬 더 격렬한 다른 충동이 존재한다는 사실과, 우리의 지성이 어느 쪽이든 편을 들어야만 하는 투쟁이 임박해 있다는 사실을 전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