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 그리고 삶은 어떻게 소진되는가
류동민 지음 / 코난북스 / 2014년 12월
평점 :
절판


여가가 그저 노동시간의 나머지로 주어지는 것에서 끝나는 것은 아니다. 여가의 품질또한 여가를 즐기는 비용, 정확하게 말하면 여가 시간 중에 소비하는 재화나 서비스의 가격에 따라 달라진다. 여가의 품질이 여가의 가격을 규정하는 것이 아니라, 거꾸로 여가의 가격이 여가의 품질을 규정하는 일종의 전도(뒤집힘) 현상이 생겨나는 것이다. 여가의 품질 차이는 여가가 사용되는 공간의 차이로도 나타나게 된다. 나아가 품질이 서로 다른 여가를 즐기는 사람들 사이에는 여가의 공간도 분리되기에 이른다. -49

 

자본주의사회에서 은수저를 입에 물고 태어나지않았다면 누구나 질 좋은 노동력을 만들어내고 그 질 좋음을 시장에서 인정받아야 먹고 살 수 있다. 노동력의 재생산, 그것은 노동자라면 벗어날 수 없는 숙명이지만 단지 하루에 몇 천 칼로리를 섭취해야 한다는 의미에서의 생물학적 재생산만은 아니다. 어디까지나 재생산 그 자체가 사회 구조에 의해 결정된다는 의미에서 사회적인 것이다. 노동력 재생산이 결국 점점 더 자본이 짜놓은 틀 안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 그것이 바로 자본주의 발전의 논리이기도 하다. -51

 

한 가지 종류의 시험으로 수십만 명을 평가해서 서열화한 대학에 배치하는 시스템이 전형적인 대량생산-대량소비에 기초한 포드주의적 형태에 대응하는 것이라면, 입학사정관, 수시, 정시, 적성검사 등 몇 백 가지가 넘는다는 복잡한 입시 방식을 통해, 그러나 역시 서열화한 대학에 배치하는 것은 다품종 소량생산 방식에 대응하는 것이다. 더욱이 대개는 학부모의 철저한 관리, 경쟁을 내면화한 상태에서 구조에 문제를 제기하지 않는 자기관리를 성패의 필수 요건으로 만든다는 점에서 사교육은 신자유주의적 시장규율, 인적자본 이론에 입각한 자기경영의 원리에도 대응하는 것이다. -90

 

내부적으로는 공동체적 이타심을 강조하지만 외부의 집단에 대해서는 심한 배타적 태도를 취하는 것, 교회를 기업 경영에 유비한다면 모험 정신이나 이노베이션은 오히려 여기에서 나온다. 주변 환경을 고려하지 않는 공간적 실천 또한 이와 같은 배타성과 공동체성의 공존에 기인한다. 이러한 주장은 결코 종교에 대한 비아냥은 아닌데, 왜냐하면 주거의 공간인 아파트에서부터 배움의 공간인 대학에 이르기까지 다른 많은 분야에서도 일어나고 있는 일이 종교에서도 반복되는 것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어쩌면 종교에 대해서만 이타성의 실천을 요구하며 배타성을 격렬하게 비판하는 것은 우리 안의 대형 교회를 감추기 위해 희생양을 찾는 논리일 수도 있으리라. -131

 

교회의 대형화 현상은 종교적 서비스 자체가 대량생산과 대량소비의 포드주의적 단계에 머물러 있음을 의미한다. 포드주의의 유비를 밀고 나가자면, 위안의 장소와 삶의 장소는 분리되어 있다. 이윤 추구와 세속적 성공을 위한 고투의 장소에서 지내다가 일주일에 한 번 화려한 성장(盛裝)을 하고 교통 정체를 유발하는 에너지 소비적 방식으로 성스러운 곳에 가서는 죄 사함, 정확하게는 죄 사함의 느낌, 그 물신을 소비하는 것이다. -126

 

한국사회에서 렌트[지대. 이 글에서 가리키는 지대는 도시 공간에서 형성되는 지대 즉 데이비드 하비의 개념에 따르면 '독점지대'를 뜻한다. "독점지대는 사회적 행위자가 몇 가지 중요한 측면에서 독특하고 복제 불가능한 특질이 있고 직간접적으로 거래 가능한 어떤 대상에서 장기간 상당한 수입을 거둘 수 있음을 깨달을 때 발생한다.(136)"]의 원리가 작동하는 대표적인 영역은 학벌일 것이다. (...) 정의 상 '좋은 학벌'은 항상 전체 게임 참가자의 일부만 가질 수 있다는 것, 이러한 사실들로부터 마치 압구정동의 땅이나 아파트가 갖는 것과 같은 렌트로서의 성격이 학벌에도 생겨난다. (...) 물론 '능력'이라는 개념 안에 학벌을 포하시킨다는 전제 하에서 얘기하는 것이지만, 능력주의의 환상이 깨질 때 렌트를 얻기 위한 투자로서 학벌자본을 축적하려는 노력은 의미를 잃게 된다. 단도직입하자면, 자녀에게 성과가 불확실한 학벌자본을 얻도록 투자해주는 것보다는 좋은 위치에 있는 비싼 아파트 한 채를 물려주는 것이 더 확실한 방법이 될 수 있다는 뜻이다. -150

 

능력주의가 깨진다는 것, 많은 사람들이 더 이상 그것을 믿지 않고 환상이라고 생각한다는 것, 그것이야말로 자본의 한계를 드러내는 일일 수 있다. 즉 자본의 진정한 한계는 노동을 어디까지 대체할 수 있는가 하는 미래학적 호기심의 영역이 아니라 오히려 시장경제의 정당성, 나아가 민주주의의 기초까지 흔들 수 있는 능력주의 이데올로기의 붕괴 가능성에 존재하는 것이다. -270

 

도시권을 확립하기 위한 노력이 꼭 반자본주의 투쟁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다. 이를테면 일터에의 접근권을 보장하는 것, 주거지에서 일터까지 통근에 걸리는 금전적 · 비금전적 비용의 복구를 요구하는 것은 자본주의 틀 안에서도 충분히 가능하다. 열악한 주거 공간에서 살아야 하는 빈곤층과 젊은 세대의 주거권에 대한 사회적 보장은 자본주의 국가가 할 일이기도 하다. 노동력의 원활한 재생산이 그 자본주의 국가의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노동력 재생산이라는 개념에 포함되는 쇼핑이나 여가조차도 점점 더 개인의 시간과 금전비용을 소모하도록 만드는 구조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고 시정을 요구하는 것도 자본주의의 틀 속에서 얼마든지 가능하다. 이것은 마치 자본주의 초기에 노동시간의 무리한 연장이나 열악한 노동조건에 대해 개선을 요구했던 것과 같은 맥락에 놓여있다. -28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