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이켜보면 철학책 읽을 때 강독 수업, 온라인 강의, 세미나 중에 가장 도움이 되었던 매개는 세미나였던 것 같다. 삽질도 많이 하지만 그만큼 남는 게 있다. 온라인 강의나 강독 수업이 뜨뜻한 아랫목에 누워 할머니가 생쌀을 꼭꼭 씹어 미음으로 만들어 준 것을 넙죽넙죽 받아먹는 기분이라면, 세미나는 허기진 친구들과 직접 야산에 올라 여기저기서 굴러 떨어지면서, 떨어지면 서로 손 내밀어 부축해주고 하면서 칡뿌리 같은 걸 캐먹는 기분이다. 무식하고 야만적이다. 험난하고. 먹고 나서도 내가 좋은 걸 제대로 먹었는지도 의심스럽다. 그래도 일단 야산에 한번 올라갔다 오면 나 자신이 조금은 뭔가 달라져 있음을 느낀다. 그리고 야산에서의 즐거웠던 추억들- 그또한 삶의 뜻깊고 다정했던 한 시절로 영원히 마음 한 켠에 새겨지는 것이다. 생활이 안정되고 나면 다시 세미나 모임에 나가보려고 한다. 푸코를 읽을 것이다. 모임에 가보면 별별 사람들이 다 있다. 체제 전복을 꿈꾸는 백수, 자퇴 청소년, 대학원생, 퇴직한 어르신, 주부, 시인, 선생님, 회사원, 의사, 심리상담가, 설치미술가, 그 외 정체불명의 인물들, 그리고 나- 보르헤스의 중국백과사전에 실려 있을 법한 조합이 아닌가. 이런 어중이떠중이, 아니아니, 재야인사들과 더불어 다른 누구도 아닌 푸코를 함께 읽어나간다는 거야말로 의미있는 일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