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곳에서 만큼은 이기적으로 살고 싶다. 오로지 나를 위한 글쓰기. 나를 위무하고 나를 보살피고 나를 기쁘게 하는, 오로지 나만의 순수하고 완벽한 쾌락을 위한 글쓰기. 여기서 나는 감히 그렇게 행동해도 될 만한 충분한 자격을 지닌다. 왜냐하면 나는 이곳에서 돈을 벌지 않기 때문이다. 돈을 벌어야 하는 상황에서 나는 철저히 이타적이 된다. 지금 당장 등뼈를 구부려 바닥까지 몸을 낮추고 네 발등이라도 핥을 수 있을 만큼. 그것은 처절하다 못해 자못 숭고한 일이지. 그러나 어쨌든 이곳은 돈벌이의 현장이 아니므로 그리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보여지되 보여짐에 구애받지 않는 내부지향적 글쓰기. 배설에의 쾌락만을 노리는 글쓰기. 오로지 쓰기의 즐거움만을 향유하고자 하는 자족적 글쓰기. 홀로 추는 괴이한 춤 같은 글쓰기. 말기 중이병자 같은 글쓰기. 좀 더 적극적으로 이렇게 써보면 어떻게 될까. 점입가경이려나. 그러나 오픈된 공간에서의 글쓰기란 그 형식이 아무리 폐쇄성을 띠더라도 존재론적으로 이미 교신과 소통에의 의도를 품고 있다고 해야 하지 않을까. 그렇다면 이러한 모순이 낳는 독특한 비틀림의 미학이 있지 않을까. 그걸 적극 추구해 보자.

 

2 초등학교 다닐 때는 매해 봄마다 학급이 재편성되는 게 가장 고역이었다. 늘 이방인처럼 어색한 표정으로 쭈뼛대며 지내다가 2학기가 끝나갈 즈음에야 겨우 교실이 어느 정도 익숙해지고 아이들과도 조금은 친해졌다 싶어 안도감을 느끼면 그새 또 새 학년이 되어 반 친구들이 일순 연기처럼 흩어져 버리는 것이었다. 이듬해 새로운 학급에서 새로운 일 년을 보내면서도 흩어져버린 지난해의 급우들을 곱씹으며 역시나 또 이방인 같은 어색한 포즈로 학년이 끝날 때까지 쭈뼛대며 지내던 얘가 나였다. 어쩌면 나는 급우들의 기억 속에 언제 봐도 방금 막 전학 온 것 같던 애로 남아있을 지 모르겠다. 만성 부적응이라고 해야 할까, 요즘은 유년 시절의 이러한 태도가 세계에 대한 나의 어떤 근본적인 태도가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4-10-15 17:1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4-10-17 12:52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