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그다지 총명하지도 못하면서 자꾸 공부를 하려고 하는 까닭이 뭘까. 생각해보면 결론은 역시 공허감 때문인 것 같다. 어쩌면 나야말로 전형적인 히스테리 자아가 아닐까. 히스테리적 자아를 존재하게 하는 것은 엄청난 공허감이다. 거대한 무(無)로 이루어진 유(有)인 그들은 몸과 마음을 다 바칠 ‘어떤 것’을 찾아내어 그것으로 무(無)라고 하는 자기를 덮어 씌워버림으로써 오로지 그 윤곽으로 자기 존재를 확인한다. 때문에 그 ‘어떤 것’은 무엇보다도 강력해야 한다. 공허를 제대로 덮어 씌워버리기 위해서. 쉽게 구멍이 뚫리거나 벗겨지면 안 되므로 또한 견고하고 튼튼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그 ‘어떤 것’이 남편이나 가정이나 직업 따위가 될 수는 없는 것이다. 그런 것들은 결국 관계의 산물인데, 관계라는 건 허물어지기가 너무도 쉬우니까. 강력하고 안전하고 견고한 어떤 것. 내가 찾는 그것이 현재로서 학문인 것 같다. 이런 생각이 계속 이어진다면 나는 아마도 모든 학문 중에서도 가장 형이상학적인 학문에 목매달게 되지 않을까. 철학이나 신학 같은.

 

2 삶이라는 총체적인 비의에서 오는 고독과 단순히 인간관계의 단절에서 오는 고독은 다른 종류의 것일진대 나는 자꾸만 그 둘을 혼동한다. 견고한 자폐의 성 안에 틀어박혀 그간 수집한 몇 되지도 않는 책들을 세계의 전부인 양 끌어안고 마이 프레시어스를 연발하며 사는 것이 내 모습은 아닐까. 그러면서 내가 만들어낸 이 국지적인 공간의 어둠과 음습함을 존재자의 서글픈 필연이라고 거창하게 착각하며 사는 것은 아닐까. 내부로 파고드는 습벽이 나쁜 것이 아니라 그럼으로써 실재로서의 주변을 외면하는 것, 아니 심지어 냉소하고 경멸하는 것, 나와 주변을 대립적 관계로 인식하는 그 편협한 생각의 틀이 잘못된 게 아닐까. 배움이 결코 자폐의 성을 축조하는 작업이 되어서는 안 될 일인데, 오히려 배움이란 궁극적으로 세상을 향한 가교를 놓는 작업이 되어야 할 것인데, 나는 왜 자꾸만 골룸이 되어가는지. 앎이 계속될수록 책에 대한 집착과 탐욕은 늘어나고 심지어는 책에 대한 물신화 증세까지 생겨난다. 더욱 더 어둠 속으로 기어들어가고 있다.

 

3 지금 이 순간이 고독하다면 그건 내가 전적으로 사랑이 고갈된 평화주의자이기 때문일 것이다. 아무에게도 상처주지 않으면서 또한 아무로부터도 상처받지 않겠다는 일념으로 단단한 껍질을 두른 채 나는 지금 그 안에 단단히 갇혀있다. 가능하면 부딪힘의 횟수를 줄이고 내부로 은신하려는 것이다. 그 어디에도 배팅하지 않으려는 것이다. 지금은 내 안에서 일어나는 생성만이 안전하고 나는 오로지 그것만을 견딜 수 있다. 독서는 사실 배팅하지 않은 데 대한 알리바이인 것이다. 알리바이가 술이나 춤이 아니라 책이 된 것은 순전히 우연일 뿐이다. 부유하는 선택지들 사이를 아무렇게나 휘저어 낚아챈 것이 때마침 책이었을 뿐이다.

 

4 내가 풀 수 없는 문제에 관해서는 집착을 버려야 할 것이다. 흐릿한 추정과 상상 속에서 스스로를 옭아매지 말자. 무엇보다도 과거의 사건에 연연하지 말아야 한다. 그런 행동은 현재로의 투신을 지연시킬 뿐이다. 아니, 과거란 애초에 존재하지도 않는 것이다. 영원히 메울 수 없는 검고 슬픈 틈 앞에서 더 이상 하릴없이 서성이지 말자. 정념에서 벗어나자.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내 몫의 생을 꾸려 나가야 하지 않겠는가. 절망 속에서 진군할 것. 일체의 희망 없음 속에서 미소 지을 것. 현재로서는 확실히, 탐닉하고 몰두할 만한 순수하고 지고한 무언가가 필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