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 쓰는 결혼이야기 1 또하나의 문화 11
또하나의문화 편집부 / 또하나의문화 / 1996년 4월
평점 :
품절


김은실 우리 나라에서의 결혼이 도구적인 관계들의 결합이라면 개인적이고 정서적인 면들을 다른 곳에서 해결한다는 것이 반드시 결혼의 위기를 말하는 것은 아닙니다. 결혼이 매우 개인적이고 정서적인 유대를 기반으로 하는 것이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한테는 위기지만 결혼이란 기본적으로 역할의 조합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게는 좀 다른 문제지요.

조혜정 내가 볼 때는 그래서 오히려 못 쓰는 것 같은데요. 결혼을 역할의 조합이라고 생각하니까 별로 문제 의식을 못 느끼는 것이지요.

김은실 그렇지요. 한쪽은 문제의식을 못 느끼는데 다른 한쪽은 문제를 느끼고 글을 쓰겠다고 하니까 골치가 아파지는 거죠. -23쪽

 

그러나 고백하자면 아이러니하게도 내가 결혼이라는 제도에 편승하기로 마음을 고쳐먹게 된 배경에는 나 역시 결혼이 ‘기본적으로 역할의 조합’이며, ‘개인적이고 정서적인 면들을 다른 곳에서 해결하는 것이 반드시 결혼의 위기를 말하는 것은 아니라는’ (문제적인?) 쪽으로 생각이 전환된 바가 크다고 해야겠다. 물론 개인적이고 정서적인 유대는 중요하다. 그러나 기본적인 역할의 조합이 상호 간에 만족스럽게 이루어진 이후라야, 다시 말해 기능적이고 도구적인 차원에서의 관계가 충족이 된 이후라야, 그러한 유대 역시 차후적으로 지속 가능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몇 번의 연애 경험을 통해 나는 역할 수행이 관계의 지속에 있어서 좀 더 핵심적이고 근본적인 전제가 된다는 걸 통렬하게 깨달았다. 상대에게 바라는 기본적인 역할 수행이 그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 혹은 역할 수행에 있어서의 견해 차가 갈등의 요소가 된다면, 처음에 견고했던 정서적인 유대마저 종내에는 파탄날 수밖에 없더라. 이 문제와 연관하여 근래에 나 자신에 대해 내린 결론은, 나 같은 인간 유형이 한국 사회에서 결혼이라는 제도에 순응하기로 결정했다면 정서적인 유대는 필연적으로 다른 곳에서 해결해야 할 것이며 그렇다면 그것이 되도록 건전하게 승화된 형태일 필요가 있겠다는 것이다.

 

이소희 이번 호를 진행하면서 30대 친구들과 결혼에 관해 많은 이야기를 해보게 되었습니다. 그들은 결혼 구조 속에 들어갔다가 너무 괴로우니까 빠져나갈 것인가, 그대로 있을 것인가 열심히 주판알을 퉁겨 보는 거였어요. 그러다가 결혼에서 빠져나가는 경우도 있고 그대로 결혼을 유지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 치열한 과정을 겪고 난 후 결혼에 안주한 친구하고 이야기를 하다가 네가 왜 결혼에 안주하기로 했는지를 풀어내 보라고 했습니다. 그 친구 이야기는 결혼이 내 인생에서 무엇인가를 생각해 보니, 서로의 필요에 의한 기능적인 관계일 뿐이라는 겁니다. 처음에 생각했던 결혼에 대한 기대치를 낮추었다는 거지요. -24쪽

 

서로의 필요에 의한 기능적인 관계. 나는 이런 관계가 냉소적으로 느껴지지 않는데. 씁쓸하게 생각되지도 않고. 그거야말로 결혼의 본질이 아닌가. <스님의 주례사>라는 책에서 법륜 스님이 그 지점을 매우 정확히 꼬집고 있다. 그는 부부라는 관계 자체가 원래 대부분의 경우 극도의 이기심으로 맺어지는 관계라고 하면서, 이기심으로 누군가를 만나면 과보를 받게 되는 것은 당연한 이치라고 강조한다. 결혼이 괴로운 것은 인과응보에 따른 당연한 결과이니, 이미 네가 그 괴로운 길을 스스로 택한 이상, 애당초 아무런 기대도 희망도 없이 전적으로 포기한 채 오로지 죽었다 생각하고 시작하라는 것이다. 최대한 이해하고 수용하면서 그저 수양하며 사는 길밖에 없다는 것이다.

 

 

사족

그렇다면 나는 왜 필연적으로 괴로움이 동반되는 이 새로운 기능적 관계 맺기를 자발적으로 택하고자 하는가. 무엇보다도 출산에 대한 본능적인 욕망이 가장 크게 작용하고 있는 것 같다. 뭐, 꼭 결혼을 안하고 애를 낳을 수도 있겠지만, 나로서는 지나치게 전위적인 방식이기 때문에 좀처럼 엄두가 안 나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