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님의 주례사 - 행복한 결혼생활을 위한 남녀 마음 이야기
법륜스님 지음, 김점선 그림 / 휴(休) / 2010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덕 보려 하지 말 것. 바라지 말 것. 기대하지 말 것. 나의 부족함을 상대를 통해 채우려 하지 말 것. "이기심으로 누군가를 만나면 반드시 과보를 받게 됩니다.", "베풀어주겠다는 마음으로 결혼하면 길 가는 사람 아무하고나 결혼해도 별 문제가 없습니다."

 

대가를 요구하지 말아라. ("나는 이렇게 해줬는데 너는 왜 이렇게밖에 안 하나" 하는...) 아무런 기대도 희망도 없이 포기하고 시작할 것. 죽었다 생각하고 살아라. 나를 버리고 상대편에서 생각하라. 이해하고 인정하라. 수용하라.

 

기본적으로 안 맞는다는 걸 전제로 출발할 것. "잘 안 맞다는 걸 알고 출발하면 사는 데 아무런 지장이 없습니다. 이런 마음으로 시작하면 문제가 생길 때 허둥대지 않고 바로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를 생각하게 됩니다. (...) 서로가 안 맞는 데서부터 출발해 하나씩 맞춰 가는 것, 이것이 바로 수행입니다. (...) 결혼할 때는 두 가지를 기억해야 해요. 첫 번째는 내가 사랑하고 내가 좋아할 뿐이지 상대에게 대가를 요구하면 안된다는 겁니다. 두 번째로 안 맞는다는 것을 전제로 출발해야 합니다. "

 

"부부는 무엇으로 맺어질까요? 대부분의 경우 극도의 이기심으로 맺어집니다. 인간관계 중에서 이기심이 가장 많이 투영되어 맺어진 관계가 바로 부부관계예요. (...) 어떤 인간관계보다 결혼관계가 가장 욕심으로 움직인다고 할 수 있어요. (...) [부부 사이가] 이해관계로 뭉친 사이임을 있는 그대로 인정할 때 타인에게 실망하지 않습니다. 내가 저 사람과 이해관계로 결합하고 있다는 것을 알 때, 저 사람이 나에게 이해관계로 접근하는 것을 발견할 때, 그를 비난하지 않게 됩니다. 나도 그렇다는 걸 잘 알기 때문이에요."

 

"공동체 중에 제일 작은 공동체가 가족공동체입니다. 그리고 공동체에서는 이해관계, 즉 이익과 손해를 따지지 않아요. 서로가 남남일 때는 내가 손해가 나면 안 만나면 됩니다. 그러나 부부가 된 다음에는 손해와 이익을 따져서는 안 돼요. 만약 아내가 아파 평생 누워 있게 되면 죽을 때까지 보살펴야 합니다. 남편이 다쳐서 평생 일을 못해도 변함 없이 보살펴야 합니다. 자식을 낳았는데 신체장애라면 평생 보살펴야 해요. 부모가 앓아누워 계시면 자식은 평생 보살펴야 합니다. 이게 공동체라는 거예요. (...) 두 사람이 가족공동체를 이루는 것은 새로운 세계를 만드는 겁니다. 지금까지 없었던 새로운 세상을 둘이 힘을 합쳐 만드는 거예요. 사랑으로 만난 사람들이기 때문에 쉽게 이룰 것 같죠? 그런데 결코 쉽지가 않습니다. 서로 다르기 때문이에요. (...) 아주 작은 일에서 사사건건 부딪칩니다. (...) 그래서 결혼할 때 주의해야 할 것은 아주 작은 사건들이에요. 이러한 작은 갈등과 충돌을 피하려면 수행을 해야 합니다."

 

"수행을 하는 이유는 스스로 자유롭고 행복해지기 위해서예요. 그런데 수행은 노력하고 애쓰면서 하는 게 아니라 그냥 하는 겁니다. (...) 평소 자식에게 화를 냈다면 자식을 탓하기 전에, 자식이 무슨 짓을 하든 그걸 보는 내가 화가 나는지 안 나는지를 관찰하는 거예요. 이렇게 끊임없이 점검하는 것이 공부예요. 공부가 따로 있는 게 아닙니다. (...) 삶에서 부닥치는 문제를 수행의 과제로 전환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삶을 늘 수행의 과제로 보고 해결해 가는 겁니다."

 

"우리는 매순간 깨어 의지에 따라 행동하기보다는 습관적으로 살아갑니다. 무의식적으로 살아가는 거예요. 내 습관, 내 카르마가 삶의 주인이지 내 자신이 삶의 주인은 아닌 거예요. 이렇게 볼 때 내 운명이란 바로 카르마의 흐름이라 할 수 있어요. 내가 내 운명의 주인이 되지 못하고 운명의 흐름에 떠내려가는 존재에 불과해요. 바로 이런 존재를 중생이라고 합니다. 카르마의 흐름에 떠다니며 가을 바람에 휘날리는 낙엽처럼 이리 뒹굴고 저리 뒹굴다 바람이 멈추면 어느 개울, 어느 골짜기에 떨어질지 모르는 존재예요. 이런 인생을, 육도를 윤회한다고 말합니다. 내가 내 운명의 주인, 내가 내 삶의 주인이 되어야 합니다. 카르마가 주인이 되는 게 아니라 내가 주인이 되어야 해요. 습관적으로 사는 게 아니라 늘 깨어서 삶을 살아야 해요. (...) 우리의 인생은 계속 흘러갑니다. 그러나 내가 내 삶의 주인이 되지 못하고 습관적이고 무의식적으로 행동할 때 우리의 운명은 이리저리 휘둘리며 괴로움 속에 살게 돼요. 마음의 눈을 뜨고 실상을 보세요. 이때 비로소 우리는 지혜로워지고, 인생의 괴로움에서 벗어날 수 있는 힘을 얻게 됩니다."

 

"결혼은 상대를 사랑한다는 마음만으로 시작할 수 있는 게 아니에요. 철저하게 상대를 책임지려는 자세, 자식을 책임지겠다는 마음을 가져야 결혼할 준비가 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제 성질대로 살면, 즉 자기 카르마, 업대로 살면 반드시 과보가 따릅니다."

 

"여성들은 결혼하고 나서 남편이 부모에게 효도하는 모습을 보면 기뻐하고 격려해야지 절대로 방해를 해서는 안 됩니다. (...) 항상 시어머니가 우선이고 내가 두 번째다, 이런 입장을 취하는 게 지혜로운 사람이에요. 그래야 남편이 어머니와 아내 사이에서 갈등을 겪지 않아요. 만약 어머니와 아내가 충돌하면, 중간에 선 남편은 죽고 싶을 지경이 됩니다."

 

"아이가 세 살 때까지만 애를 우선으로 하고 그 이후에는 어떤 일이 있더라도 남편은 아내, 아내는 남편을 우선으로 해야 합니다. 애기는 늘 두 번째로 생각하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